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1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1
 2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2
 3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3
 4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4
 5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5
 6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6
 7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7
 8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8
 9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9
 10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10
 11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여기에서 관계는 마틴 부버의 I와 Thou의 관계로 만남과 대화를 통한 의미생성이며 상상력을 통한 의미 이해(계시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교육방법은 신약의 예수님에게로 이어졌고, 예수님은 비유와 은유와 논쟁과 대화를 통해 말씀하셨다. 그러나 교리학교, 주일학교 등을 거치면서 이야기를 통한 하나님의 교육방법 ibid., pp. 22-23,51
은 언어중심적이고, 인지 중심적인 사회과학적 종교수업의 형태로 변해 버리고 말았다. 이러한 교육의 분리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교회는 종파별로 교재 개편을 통한 다양한 교육적 방법론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최근 가장 두드러진 현상으로 대두된 것이 상상력에 기초한 해석학적 상상력으로서의 담화신학이다. 상상력으로서의 기독교적 해석은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이미지, 하나님의 내용, 하나님의 지식, 하나님의 계시, 그리고 깨달음을 통한 아-하에 이르는 것으로 만남과 대화를 통해 본래의 자기 자신을 이루어가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상력은 처음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것은 아니다.
역사적 변천사를 통해 살펴보면 상상력은 저급하고 악마적인 것으로 치부되어 오다가 문화예술의 부흥기를 통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되어지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따라 전재되어진 본서의 내용들을 주요 학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본 후 우리에게 현안으로 작용하는 기독교 교육의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1. 역사적 과정 속에 나타난 상상력 이해의 유형들
상상력은 처음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던 것은 아니다.
헬라시대는 상상력이 죄의 결과를 가져오는 불순한 요소로 취급되었다. 플라톤은 상상력이 무지의 산물이며, 비교육적, 비도덕적, 우상 숭배적이라고 정의했으며 플라톤 철학의 핵심은 실재, 이데아, 형식에 관한 것으로 궁극적 실재는 영적인 것이었다. 물질계는 단지 이상적 세계의 그림자와 같은 복사물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시인(상상적 문학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은 물질계에 있는 다른 물체에 관해 쓰는 것이므로 단지 모방을 모방하는 것이었다.
강영계, 철학의 흐름, 제일출판사, 1987, p. 22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보다는 조금 낫게 상상력을 이해했으나 여전히 상상력은 실재에 대한 모사이며 이성에 복종해야 하는 저급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서양철학사에서 상상력에 대해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 사람은 아리스토텔레스이다. 그는 상상을 지각에 근거해 발생하는 지각과 유사한 일종의 운동 또는 Phantasmata 가 나타나도록 해 주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나아가 그는 상상력을 지각도 아니고, 사고 또는 믿음도 아니며, 지각과 믿음의 결함도 아니라고 주장함으로써 상상력에 독립된 위치와 기능을 부여했다.
송명국, 지각과 상상력(흄과 칸트를 중심으로), 서울대 철학과대학원석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