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통한 성주(星州) 세종대왕자태실(世宗大王子胎室)의 인식 및 활용방안
임진강 ( Lim Jin-kang ) , 박지환 ( Park Ji-hwa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78~88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세종대왕자태실의 문화적 가치에 따른 활용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대중이 가지는 다양한 인식과 의견을 종합·분석하고자 SNS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기간은 2007년 06월 01일-2017년 06월 30일까지(약 10년 동안)이며, ‘태실, 성주태실, 세종대왕자태실’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블로그, 카페, 지식IN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 기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에 따라 태실의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세종대왕, 왕자, 성주, 풍수, 문화, 보존, 축복 등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키워드 ‘세계’, ‘유산’, ‘문화유산’의 연관성과 ‘태실’, ‘경상북도’, ‘문화재’의 연관성이 높아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태실의 가치를 확인할 수 ...
TAG Cultural Heritage, Image, Prince of King Sejong(世宗大王子), Seongju-gun, Text Mining, 문화유산, 성주군, 세종대왕자, 텍스트마이닝
대추야자나무(Phoenix dactylifera)의 명칭문제 고찰
김영숙 ( Kim Young-so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34~44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세종대왕자태실의 문화적 가치에 따른 활용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대중이 가지는 다양한 인식과 의견을 종합·분석하고자 SNS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기간은 2007년 06월 01일-2017년 06월 30일까지(약 10년 동안)이며, ‘태실, 성주태실, 세종대왕자태실’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블로그, 카페, 지식IN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 기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에 따라 태실의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세종대왕, 왕자, 성주, 풍수, 문화, 보존, 축복 등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키워드 ‘세계’, ‘유산’, ‘문화유산’의 연관성과 ‘태실’, ‘경상북도’, ‘문화재’의 연관성이 높아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태실의 가치를 확인할 수 ...
TAG Date Palm Tree(Daechu Yaja Namu), Jongryeo Tree, Natsumeyashi, Palm Tree, 나쯔메야시(なつめやし), 대추야자나무(海棗), 성경, 야자나무, 종려나무(棕櫚)
고문헌 고찰을 통한 중국 가로수의 역사에 대한 연구
종타오 ( Zhong Tao ) , 안계복 ( Ahn Gye-bo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가로수의 역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사상적 배경과 각 시대별 가로수의 식재 수종, 그리고 가로수의 관리제도 등에 대한 고문헌들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춘추전국시대의 제자백가 가운데 노자, 장자, 묵자, 맹자, 관자의 사상이 중국의 수목과 가로수의 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대별 가로수의 수종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 가장 많이 심겨진 수종은 버드나무류, 그 다음은 소나무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周)나라 때부터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복숭아나무와 자두나무 같은 유실수(有實樹)가 가로수로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로수의 명칭과 가로수를 담당하던 관리는 시대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재 중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가로수 ...
TAG Appellation, Dike, Hundred Schools of Thought, Management System, Remains, Roadside Tree, 관리제도, 명칭, 유적, 제방, 제자백가, 행도수
베를린 서울정원 이용객의 한국성 인지 양상
윤영조 ( Yun Young-j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67~77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독일 베를린 마르찬 세계정원 내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인 서울정원의 현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과 정원의 선호요소, 인접한 중국, 일본 전통정원과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정원은 앞서 조성된 중국정원, 일본정원보다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르찬공원 내에서의 한국정원의 특별성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수준으로 타 국가의 전통정원과의 차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동양 3국의 전통정원이 공원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이용객들의 연속적인 관람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과 자연형 배식기법의 적용에 따른 유사한 수종의 구성을 통해 경관이 연출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정원이 타 동양정원과 비교될 만한 독특한 공간구성, 식재 수종의 다양성과 대표성, 설계단계에서의 해당 국민의 동양정원...
TAG Korean Traditional Gardens, Koreaness, Oriental Garden, Recognition, Traditioal Landscape Architecture, 동양정원, 인지성, 전통조경, 한국성, 한국전통정원
문헌 분석을 통한 창경궁 식생보전방향 연구
백종철 ( Paek Chong-chu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11~19페이지(총9페이지)
1484년 9월 성종조에 조성된 창경궁은 순종 1년(1907) 창경원으로 격하되기 전까지 조선시대 궁원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준 전통공간이다. 일제강점기에 창경궁 내에 대온실, 박물관, 동·식물원이 개설되며 전통건축물과 궁궐의 정원이 소실되거나 변형되었다. 1984년 「창경궁 정비계획」에 의해 일제강점기 설치된 각종 시설과 관람로 등이 정비되었고, 전통적인 궁궐로 복원하고자 1986년 중건 공사를 통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한 이후 30여 년간 1980년대 중건 계획의 모습대로 유지·관리되고 있다. 창경궁 궁원(宮苑)의 모습은 19세기 초반 창경궁을 그린 「동궐도」에 그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동궐도」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궁원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다. 1984년부터 시작된 창경궁 식생조사는 2005년, 2010년, 2016년에 걸쳐 4회 전...
TAG Changgyeonggung Palace, Conservation, Donggwoldo, Joseon Dynasty, Vegetation, 동궐도, 보전, 식생, 조선시대, 창경궁
경주지진피해로 본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의 지형적 입지유형 분석
구민아 ( Koo Min-ah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109~119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2016년 9월 12일 발생한 경주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한 전통공간 44곳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문화재 연구를 위해 지형적 입지정보 데이터화와 지형별 유형에 따른 피해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지형의 유형은 위요형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위치형은 도시와 농촌과 같이 주변이 건물인 지역의 빈도가 더 많았다. 수문형은 산의 정상쪽을 제외하고는 모두 강, 하천, 계곡, 호수, 바다를 끼고 입지하였으나 이 지역은 퇴적층 지역으로 위요형과 함께 지질학적인 면에서도 지진에 취약한 곳으로 밝혀져 지진과 문화재 관리적 측면에서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체 44개 중 26곳이 사찰이었으며, 평지형, 배경형, 위요형, 산지형, 정상형으로 갈수록 고도와 경사가 높아졌으며, 1-20% 경사지에 가장 많이 입지하였으며...
TAG Background Type, Enclosed Type, Landform Type, Location Type, Traditional Position, Waterside Type, 배경형, 수문유형, 위요형, 위치유형, 전통입지, 지형유형
서울시 전통문화공간의 귀화식물 분포현황 - 4대 고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
강민정 ( Kang Min-jung ) , 이고운 ( Lee Go-woon ) , 김신원 ( Kim Shin-w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45~5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시의 국가지정문화재이자 도심 속 전통문화공간인 4대궁(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과 종묘를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고 귀화식물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분류군은 82과 201속 285종 1아종 29변종으로 총 31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덕수궁이 33분류군, 종묘가 14분류군, 경복궁이 21분류군, 창덕궁이 11분류군, 창경궁이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원산지 분석결과 북아메리카(nA)와 유럽(Eu) 그리고 유라시아 (Eu-As)가 높은 분포율을 보였으며, 생활형 분석결과 목본류보다 초본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경복궁을 제외한 나머지 대상지는 다년생 비율보다 일년생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귀화도 분석결과 귀화도 3과 귀화도 5에 해당되는 귀화식물의 비율이 높았으며...
TAG Exotic Plants, Flora, Management Plan,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관리방안, 국가지정문화재, 식물상, 외래식물
제주해녀의 자아인식, 공동체 의식, 유네스코 등재 인식에 대한 연구
유원희 ( You Won-hee ) , 서세진 ( Seo Se-jin ) , 최병길 ( Choi Byung-k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89~96페이지(총8페이지)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제주해녀문화는 물질이라는 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해 새로운 해녀 진입 인구수는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며 해녀의 노령화로 인하여 제주해녀문화의 보존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해녀들의 자아인식과 공동체 의식, 유네스코 등재 효과 인식을 살펴보고 제주해녀의 연령별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제주해녀문화를 지속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9월 30일 제주 구좌읍 해녀박물관 일원에서 열린 ‘제10회 제주해녀축제’에 참가한 해녀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제주해녀는 연령대별로 자아인식과 유네스코 등재 효과 인식에 있어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앞으로 제주해녀문화를 전승해야 할 60대 이하의 연령대에서 해녀로서의 자긍심, ...
TAG Community Awareness, Jeju Haenyeo, Self-awarenes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ICH),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ICH) Designation Awareness, 공동체 의식,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인식, 자아인식, 제주해녀
근대기 서양인들의 조선견문기를 통해 본 19세기 말 조선의 경관 - 경관 관련 어휘와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김동현 ( Kim Dong-hyun ) ,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1호, 20~33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조선이 근대화되기 시작한 19세기말 조선의 경관을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서양인들의 경관 관련 기록의 역사적 의미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경관의 유형화 및 그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시 조선을 방문했던 서양인들은 조선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개입되거나 오랜 기간 여행을 통해 조선의 문화를 이해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이 여러 저서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점은 그들의 기록을 통해 당시의 경관을 조명하는 과정이 유의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양인들의 기록에 나타나는 조선의 경관은 소도시 및 마을, 자연환경, 명승·고적, 근대시설, 경작지 등이 주로 언급되었다. 소도시 및 마을은 허름한 뒷골목과 빼곡히 들어선 가옥들이 주로 언급되고 있으며, 자연경관은 산악경관과 해안 및 하천을 따라 펼쳐지는 다양한...
TAG Landscape Change, Landscape Preception, Modern Landscape, Residential Landscape, Traditional Landscape, 경관변화, 경관인식, 근대경관, 전통경관, 주거경관
국가지정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가심의 실태조사연구 -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회의록을 중심으로 -
조홍석 ( Cho Hong-seok ) , 박현준 ( Park Hyun-j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110~125페이지(총16페이지)
1962년 문화재를 보존하여 이를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수준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제정된 문화재보호법은 2000년 지정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대상적 범위의 극복을 위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제도를 도입, 이후 허가 절차 및 대상 등의 보완을 위해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용기준 작성 지침 제정(2006), 국가지정문화재 주변 경미한 현상변경 행위 고시(2008) 등 지속적인 개선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개별 현상변경 허가처리 건수는 2010년부터 다시 증가, 2014년에는 총 1554건이 접수되었고, 그 중 약 29%가 불허 또는 심의 중에 있는 것으로 확인, 문화재 주변 지역주민들의 주민 불편사항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5년간(2010~2014) 문화재위원회 가운...
TAG 문화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건축행위 등에 관한 허가제도, 통계분석, Cultural properties, Permission System for Construction Activities in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y Historical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 Statistics Analysi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