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두실(斗室) 심상규(沈相奎)의 남한산성 옥천정(玉泉亭) 정원유적
노재현 ( Rho Jae-hyun ) , 김화옥 ( Kim Hwa-ok ) , 박율진 ( Park Yool-jin ) , 김세호 ( Kim Se-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4호, 75~87페이지(총13페이지)
이 논문은 남한산성(南漢山城) 행궁(行宮) 후원에 위치한 옥천정(玉泉亭)을 조명한 논문이다. 옥천정 일대는 남한산성 행궁 내에 존재했던 관설(官設) 정자터이지만 이 못지않게 조선후기 경화세족의 정원 문화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기존의 남한산성 발굴 조사에서 바위글씨를 통해 자취가 알려졌지만 그동안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건축시기 및 조영자 등에 대한 기초적인 사항조차 정립되지 못했다. 본고는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문헌분석을 통해 옥천정의 기초자료를 구축하였으며, 현장의 바위글씨를 판독하여 옥천정 정원의 면모를 추찰하는 한편 문헌과의 대조를 통해 옥천정의 정확한 위치를 비정하였다. 옥천정은 19세기 대표적인 경화세족 중 하나인 심상규가 광주유수의 임소였던 남한산성 행궁 후원에 조성하고 경영한 정자로 산기슭의 맑은 물줄기에 연하여 입...
TAG 청량산(淸凉山), 바위글씨, 경화세족(京華世族), 풍애폭(楓靄瀑), 정원 복원, Cheonglyang Mountain, Epigraph(Carved Letters on the Rock), Patricians, Pungaepok, Restoration of Garden
주련(柱聯)을 통해 본 창덕궁 옥류천 일원의 경관 해석
장림 ( Zhang Lin ) ,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1~1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창덕궁 옥류천 일원에 소재한 소요정(逍遙亭), 태극정(太極亭), 청의정(淸?亭), 취한정(翠寒亭)에 걸린 주련시(柱聯詩)에 표현된 경관요소들을 중국 당대(唐代) 의경 이론을 정리한 왕창령(王昌齡, 698-757)의 세 가지 경계로 구분하여 경관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경(物境)과 관련하여 봄날 새벽녘이나 달밤, 비가 개이고 이슬이 내려앉은 고즈넉한 정원에는 꽃이 피고, 연못에서 물고기가 노닐고, 울창한 소나무 숲에서 꾀꼬리가 우는 경관이 그려졌다. 둘째, 정경(情境)과 관련하여 임금이 화려한 부채 아래로 붉은 장막을 친 수레에 앉아 옥류천 일원으로 행차하는 모습을 그려서 태평한 시절에 대한 감정이 표현되었다. 셋째, 의경(意境)과 관련하여 옥류천 일원의 승경이 자연과 물아일체를 경험하는 청정한 경지를...
TAG Landscape Elements, Wujing, Qingjing, Yijing, 경관요소, 물경(物境), 정경(情境), 의경(意境)
순천 초연정(超然亭) 원림의 문화경관 변용 양상
강병선 ( Kahng Byung-seon ) , 이승연 ( Lee Seung-yoen ) , 신상섭 ( Shin Sang-sup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13~21페이지(총9페이지)
순천시 송광면 삼청리 왕대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초연정이 왕의 피난처, 제각, 별업, 강학공간으로 변모되는 양상에 착안하여, 시기별로 변모되는 장소성과 문화경관의 변용양상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추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재 송병선이 명명한 ‘초연’이란 정자명칭은 노자의 도덕경에 연원하는데, 순천 초연정을 비롯하여 포천 초연대, 가평 초연대, 창덕궁 후원 초연대, 유성 옥류각의 초연물외 등 정(亭), 대(臺), 각(閣) 등 공간속에 다양하게 투영되고 있어 도가적 풍류가 유가적 공간에 자연스럽게 접목되는 유불도 습합양상을 도출할 수 있다. 둘째, 초연정은 모후산 풍수경관과 수목석이 어우러진 계류풍광과 암경, 월출경, 도가적 이상향을 반영한 동천복지, 성리학적 이상향을 반영한 구곡처 등 승경향유의 요처에 절묘하게 자리하고 있으며, 왕대마을(왕의 주...
TAG Cho-Yeon, Rock Inscription, Sam-Cheong, Cho-Yeon Pavillion and the Nine Cultural Landsaapes, Enjoyment of Nature, 초연, 바위글씨, 삼청, 초연정구곡경관, 산수유상
성재 유중교의 가평 옥계구곡 위치추정 연구
강기래 ( Kang Kee-rae ) , 이해주 ( Lee Hae-ju ) , 이현채 ( Lee Hyun-chae ) , 김희채 ( Kim Hee-chae ) , 김동필 ( Kim Dong-phil ) , 하성근 ( Ha Seung K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32~40페이지(총9페이지)
조선건국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성리학의 도입과 그 모태가 되었던 유학은 우리의 생활과 학문, 사상의 근원이 되었다. 또한 이들 학문의 주창자인 공자(孔子), 맹자(孟子), 자사(子思), 주자(朱子) 등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최고의 선이라 여기었다. 그들 중 자기 수행의 길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이는 주자이며, 이(理)와 기(氣)의 발현과 그 관찰을 통한 심성(心性)의 체득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진리의 체득을 위한 수신의 장소와 도구로서 산과 물이 있는 자연을 택하였고, 이러한 존주자(尊朱子), 학주자(學朱子)의 신념이 조선유학자들의 기본적 사상과 실천 철학이 되었고, 위정척사파의 유중교도 옥계구곡을 명명하고 경영하였다. 이러한 사상적 바탕으로 조선후기 유학자인 유중교가 설정한 옥계구곡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한 본 연구는 옥계구곡의 위치 비정을 ...
TAG Dongcheon, Neo-Confucianism, Gugok, Traditional Sceneries, Confucian Scholar, Muyi Gugok, 동천(洞天), 성리학(性理學), 구곡(九曲), 전통경관, 유학자, 무이구곡(武夷九曲)
북한산 이계구곡(耳溪九曲)의 위치비정과 집경(集景) 특성
정우진 ( Jung Woo-jin ) , 노재현 ( Rho Jae-hyun ) , 이희영 ( Lee Hee-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41~6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이계 홍양호가 설정하고 그의 손자 관암 홍경모가 경영한 이계구곡의 향유거점을 문헌 및 현지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추적하는 한편, 구곡의 형식 및 집경방식에 나타난 특징을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이동은 조선시대에 도성의 영역에 속한 땅이자 지금도 행적구역상 서울특별시에 속한 곳이다. 따라서 이계구곡은 예나 지금에나 수도에 있는 유일한 구곡이었다는 특별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계구곡은 우이천 상류의 만경폭을 제1곡으로 시작하여 계곡을 따라 내려오며 제2곡 적취병, 제3곡 찬운봉, 제4곡 진의강, 제5곡 옥경대, 제6곡 월영담, 제7곡 탁영암, 제8곡 명옥탄, 제9곡 재간정으로 구성된다. 이중에서 만경폭, 찬운봉, 옥경대는 그 위치를 확정할 수 있을 정도로 특징적인 경물상이 명확히 드러나 있었으며, 진의강, 월영담, ...
TAG Yigye Hong, Yang-ho, Gwanam Hong, Gyeong-mo, Byeolseo(Byeoleop). Ui-gukok, ‘Yigye-gugok Daejacheop’ Specimens of Handwriting, 이계 홍양호, 관암 홍경모, 별서(별업), 우이구곡, 이계구곡대자첩(耳溪九曲大字帖)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 구곡·동천 위치연구
강기래 ( Kang Kee-rae ) , 이해주 ( Lee Hae-ju ) , 김희채 ( Kim Hee-chae ) , 이현채 ( Lee Hyun-chae ) , 김동필 ( Kim Dong-ph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67~75페이지(총9페이지)
유교의 사상적 완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곡(九曲)과 동천(洞天)의 문화는 조선시대에 널리 성행하였다. 이는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학주자(學朱子), 존주자(尊朱子)의 기치 아래 자연 속에서의 심신수양을 통한 주자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다는 의지의 표현이며, 진리의 체득을 위한 과정에 있다는 자기 위안의 행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의지의 표출로서 각 지역의 경치가 좋은 곳에 주자의 무이구곡(武夷九曲)을 모방한 ‘구곡’과 이상향을 나타내는 ‘동천’을 설정하고 경영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구곡·동천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학계에 보고된 우리나라 전체 구곡은 약 60여 개소에 이르며, 동천은 이보다 더 많지만 정확한 위치나 집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 경기, 강원도에 산재하고 있는 구곡·동천에 대한 위치확인을 위해 수행되었다. 구곡과 동천...
TAG Gugok(九曲), Dongcheon(洞天), Zhu Xi(朱子), Mui Gugok(武夷九曲), 구곡, 동천, 주자, 무이구곡
18세기 한강(漢江)의 누정(樓亭) 조사 연구 - 엄경수(嚴慶遂)의 「연강정사기(沿江亭?記)」를 중심으로 -
안대회 ( Ahn Dae-hoe ) , 박진욱 ( Park Jin-wook ) , 김세호 ( Kim Se-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76~93페이지(총18페이지)
이 논문은 조선 후기 한강변 누정(樓亭)의 현황을 개괄하고 향후의 복원 방향을 고찰한 것이다. 1716년 저술된 엄경수(嚴慶遂, 1672∼1718)의 「연강정사기(沿江亭?記)」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조선이 한양을 도읍으로 정한 이래, 한강은 최고의 유상지로 각광받았다. 조선의 사대부들은 한강 변에 누정을 건립하고 뱃놀이를 행하며 한강의 풍류를 만끽했다. 엄경수는 「연강정사기」에서 강안의 누정 29개를 순서대로 기록했는데 직접 배를 타고 실사한 정보에 기왕의 정보를 취합하여 한강의 누정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연강정사기」를 살펴보는 작업은 한강의 문화와 역사에 주목하는 시대적 분위기와 맞물려 한강변 누정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엄경수의 「연강정사기」에 나타난 누정을 분석했다. 「연강정사기」의 ...
TAG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use, Gyeong River(京江), villa, Han River(漢江) Pavilion, 조선 후기 문화, , 경강, 별서, 한강 정자
포항 칠인정원림(七印亭園林)의 조영특성과 ‘괴목(槐木)’ 식재(植栽)의 문화변용(文化變容)
노재현 ( Rho Jae-hyun ) , 한상엽 ( Han Sang-yup ) , 김정문 ( Kim Jeong-moon ) , 정푸름 ( Jeong Poo-reu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22~31페이지(총10페이지)
포항 칠인정원림의 건립취지, 조형의도 그리고 변천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조선조 누정 조영의 시대적 감각과 조영의장을 조명하고, 원림내 회화나무와 느티나무 식재의 문화변용 현상을 살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주의 괴목(槐木) 식재로 인해 쌍괴정(雙槐亭)이라는 또 다른 이름을 얻은 칠인정(七印亭)은 고려말 관료 출신의 장표(張彪)가 태종9년(1409) 초곡리 사일마을에 건립한 은거형 정자이며, 칠인정원림은 쌍계구곡(雙溪九曲)의 제3곡인 초곡(草谷)의 핵심이기도 하다. 칠인정원림은 사일마을 비보숲 초입의 진입부(進入部)와 칠인정 및 느티나무와 회화나무로 이루어진 정자부(亭子部) 그리고 방지방도(方池方島)의 지당과 배롱나무로 이루어진 지당부(池塘部)로 구분된다. 칠인정 기문 내용이나 아들과 사위 7인의 인수(印綬)를 쌍괴수(雙槐樹)에 내건 것에서 ...
TAG Guimok, Sophora japonica, Zelkova serrata, Scholar Tree, Quadrangular Pond and Island, 괴목, 회화나무, 느티나무, 학자수, 방지방도
문화재 활용 사업 모니터링 및 평가 - 2016년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
박동석 ( Park Dong-se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94~104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문화재청이 2016년도에 지역문화재 활용사업으로 추진하는 살아 숨 쉬는 향교·서원문화재 만들기 사업의 예산지원을 받은 전국 77개 향교·서원문화재 활용 사업을 대상으로 문화재 활용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는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전문가 현장평가 및 컨설팅과 일반인 모니터링 그리고 관람객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사업의 계획·운영·실적·성과·연차별 특별지표 부문에 종합평가는 모두 양호 수준으로 나타났다. 사업의 종합적인 성과 중 우수한 점으로는 첫째, 지역의 문화재 향유권 신장, 둘째, 지역 내 문화재 활용 인적 네트워크 확대, 셋째, 지역 내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 넷째, 자유학기제 연계 사업을 통한 문화재 활용 교육콘텐츠의 다양화 등이 있었다. 반면 미흡한 점으로는 첫째, 프로그램 품질 저하, 둘째, 사업계획 대비 실행 부족, 셋...
TAG Local Economy, Local Identity, Local Resident, Tourism,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관광, 문화유산 활용, 지역 경제, 지역 정체성, 지역 주민
기후디자인 기반 건축물통합형 입면녹화시스템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은 ( Park Sung-e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105~112페이지(총8페이지)
도시화를 주도하는 건축, 도시개발 사업은 주변자연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적인 개발행태로 인하여 기존 부지에 대한 생태성을 급진적으로 저하시켜 도시열섬화 현상, 대기오염, 도심 내 종 다양성 저감 등 환경 및 생태계를 교란하는 주요원인으로 인식되었다. 지속 가능한 시스템 중에서 도심 내 생태적 연결을 제공하는 건축물녹화는 기존의 건물을 지속 가능한 도시환경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전이시켜줄 수 있는 구체적 생태기술공법의 하나이다. 본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입면녹화 개발방안수립을 위해 기본기술개발방향, 기후환경인자, 기후디자인 기술요소, 소재 등을 고찰하였고 이에 준하여 입면녹화시스템 설계프로세스를 도식화하고 분석, 전략, 개발방안, 유형 설정의 순서로 건전한 한국형 입면녹화시스템 설계를 진행하였다. 국내 환경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입면녹화시스템 구축을 위해 식물...
TAG Climate Design, Green Building, Climate Analysis, Design Process, Prototype, 기후디자인, 녹색건축, 기후분석, 설계프로세스, 프로토타입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