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2017년 하계학술답사를 다녀와서 2017. 8. 15 화요일 ~ 8. 20일 일요일 / 북인도 (델리, 바라나시, 아그라)
서은정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3호, 113~119페이지(총7페이지)
암각장기판의 형상 및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정푸름 ( Jeong Poo-reum ) , 김정문 ( Kim Jeong-moon ) ,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15~25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과거부터 토착화 된 놀이문화인 장기(將棋)가 산 속·계류(溪流)의 정자(亭子)·고목(古木) 아래에서도 행해졌다는 증좌(證左)인 암각(巖刻)된 장기판에 대한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의 조사·분석을 통해 암각장기판의 위치와 형태, 주변 공간의 입지 등의 물리적인 환경과, 지명유래 및 주변경물 등 역사적 의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국내 암각장기판의 입지유형과 경관의미 그리고 보존가치 등을 다각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집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양문화를 대표하는 한(韓)·중(中)·일(日) 세 국가에 동일하게 전파된 장기(將棋)를 각 국가의 사상과 민족적 성향에 맞도록 변형시킨 양식을 정리하여 한국의 장기(將棋)가 이미 토착화를 마친 전통문화임을 입증하였다.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암각...
TAG 놀이문화, 전통문화, 한국경관, 토착문화, 풍류(風流), Play Culture, Traditional Culture, Korean Landscape, Naturalized Native Culture, Taste for the Arts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의 정비과정으로 살펴본 전통의 남용과 발명
정우진 ( Jung Woo-j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26~44페이지(총19페이지)
한국 전통 연지의 시원으로 평가되는 궁남지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무왕의 연지 축조 기록, 사비왕궁으로 추정되는 관북리 유적 및 화지산 이궁지 남쪽에 위치한 지리적 정황에 의해 궁남지로 비정되는 한편 사적으로 지정ㆍ복원되었다. 본 연구는 궁남지의 복원정비 과정에 나타난 진정성 왜곡과 전통의 발명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되었으며, 연구의 요약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마래방죽[마천지]으로 불려왔던 궁남지는 일제 강점기 때만 해도 3만여 평의 광대한 자연 저습지의 상태로 존재했다. 궁남지 복원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홍사준은 1940년대만 해도 마래방죽에 백제시대 궁남지 유적으로 추정되는 섬과 석축시설이 남아있었고 그 위에 전각 및 정원을 조성한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전했다. 또한 화지산 이궁터의 조사 후 서동설화와 연관시켜 마래방죽을 궁남지와 동일시하는 의견을 ...
TAG 복원, 원지, 전통의 발명, 진성성, 사적지 조경, Restoration, Palace Pond, Authenticity, Invention of Tradition, A Landscape Architecture of Historic Site
융릉과 건릉의 역사경관 보전에 관한 연구
이창환 ( Lee Chang-hwan ) , 김두규 ( Kim Du-gy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45~57페이지(총13페이지)
조선왕릉은 제례행위의 특성에 따라 능역 내외사신사의 능원 안에 진입공간-제향공간-능침공간으로 나누어진다. 각 공간에는 제례행위 및 공간의 특성에 따라 능제시설이 배치되어 보존 관리되고 있다. 2009년 세계유산에 등재 된 조선왕릉의 경우 더욱 원형 보존과 관리의 철저가 요구되며 원형복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특히, 융릉과 건릉은 2009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국가사적으로 세계유산 관리 규정에 맞게 경관 관리가 요구되며 능원의 전면경관(60도) 수평각의 중점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많이 훼손된 능원(융릉과 건릉)의 핵심지역 주변경관에 관한 원형검증 및 이들의 보존 및 복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고문헌 및 문헌자료를 통한 검증 및 현장조사를 통해 풍수적 내외사신사의 능선과 수계 그리고 전후경관, 제례동선 주변의 경관, 그...
TAG 융릉과 건릉, 역사경관, 만년제(萬年堤), 보존, 복원,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Yungneung, Geolleung,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Historic Landscape, Manyeon Canal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의 등나무 분포 특성 및 관리방안
이창우 ( Lee Chang-woo ) , 오해성 ( Oh Hae-seong ) , 이철호 ( Lee Cheol-ho ) , 최병기 ( Choi Byoung-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77~86페이지(총10페이지)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지에 대한 개체군생태학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지역은 1966년에 천연기념물 제176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자생적 기원을 가지며 등나무가 대규모의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경우는 매우 희귀하여 높은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범어사 등나무군락은 군락지 내의 등나무 분포 현황 및 생태에 대한 해상도 높은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등나무군락 내의 개체 분포 현황과 개체군 특성을 확인하고, 보존방안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장 조사를 통해 범어사 등나무군락과 그 일대를 대상으로 등나무의 분포, 근원직경, 감고 올라가는 방향 및 식물종과 연구지역 내 식물상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 내 등나무 개체 수는 총 1,158개체가 확인되었고, 등나무의 근원직경은 평균 69.0 ㎜ (±45....
TAG 개체군 구조, 식물지리학, 천연기념물, 현존식생도, Actual Vegetation Map, Natural Monument, Phytogeography, Population Structure
MaxEnt 모형을 활용한 부산광역시 내 오동나무 및 참오동나무의 분포 경향과 생태적 특성
이창우 ( Lee Chang-woo ) , 이철호 ( Lee Cheol-ho ) , 최병기 ( Choi Byoung-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87~97페이지(총11페이지)
오동나무는 한국 전통 문화에서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왔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종의 가치에 대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MaxEnt 모형을 활용하여 부산광역시 내 오동나무 두 종의 분포 경향 및 생태적 특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MaxEnt 모형은 현장 조사로 수집된 오동나무 종의 위치 정보와 지형, 기후, 잠재인간간섭도와 같은 환경 인자로 구축되었다. 연구결과 AUC 값은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가 각각 0.809으로 모형의 정확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포모형에 따른 연구지역 내 오동나무와 참오동나무의 분포 경향은 두 종 모두 시가지, 나지가 밀집해 있는 도심위주의 분포를 나타냈다. 두 종의 잠재분포가능면적은 오동나무 137.4 ㎢, 참오동나무 135.0 ㎢로 확...
TAG 잠재인간간섭도, 종분포모형, 특산식물, 지리정보시스템, Anthropogenic Distribution Potentiality, Endemic Species, GIS, Species Distribution Models
한성부 동촌(東村) 어의동지(於義洞池) 일대의 환경 특성과 장소적 의미
길지혜 ( Gil Ji-hye ) , 손용훈 ( Son Yong-hoon ) , 황기원 ( Hwang Kee-w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1~14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고지도에서 한성부 성내 동쪽인 `동촌(東村)`에 표기된 못의 환경 특성과 장소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여러 문헌과 지도 자료를 검토하여 못의 명칭을 정리하였고, 연구에서는 그중 국가 공식기록과 지리적 명칭을 따라 `어의동지(於義洞池)`로 명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입지 및 환경 특성을 보면 어의동지 일대는 도성 내에서 전원적 정취가 있는 지역이었다. 산자락 계곡부 물이 많이 모이는 지대에 있었고, 약 2천 평 정도의 필지 안에서 수위에 따라 못 경계가 변화하였다. 둘째, 조성 배경을 볼 때 어의동지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못을 국초 도성 내 수체계를 관리하면서 함께 정비한 것으로 보인다. 유수지 역할과 함께 연(蓮) 관련 부산물을 진상하는 연지(蓮池)로 운영되었고, 인근에 별궁이 활발히 이용되면서 함께 관리된 것으로 ...
TAG 낙산, 동지(東池), 역사적 도시환경, 연못골, 연지동(蓮池洞), Dongji Pond, Historic Urban Environment, Lotus Pond Village, Mt. Naksan(駱山), Yeonji-dong
<영사정팔경도(永思亭八景圖)>와 팔영시로 본 영사정팔경의 경관구조와 의미
노재현 ( Rho Jae-hyun ) , 손희경 ( Son Hee-kyung ) , 김홍균 ( Kim Hong-k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58~68페이지(총11페이지)
문헌조사 및 시화(詩畵) 분석 및 해석 그리고 현장조사를 통해 <영사정팔경도>와 청계 양대박의 영사정팔영시에 드러난 영사정팔경의 경관구조와 의미를 분석·해석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영사정과 그 일원은 조영자 안전이 선친의 음택을 향해 망배를 올리던 `영사`의 공간으로, 영사정팔경은 남원 형승의 거점이자 요체인 지리산과 순자강 그리고 요천, 금석교, 청계동 등 영사정을 중심으로 한 남원 승경을 관망대상으로 하고 있다. 영사정팔경은 일반적인 정자팔경과는 달리 다시점 구도와 시점 그리고 장소의 전이를 보이는 가운데 영사정은 물론 순자강과 요천 일대의 산수경관을 조망하는 파노라믹한 부감적 구도를 보인다. 영사정팔영은 중국 소상팔경과의 시각적 결속의 흔적이 다수 엿보이는 가운데 남원지역의 토속적인 경관과의 어울림을 추구한 조선중기 과도기적 특성을 지닌...
TAG 팔경, 남원, 청계 양대박, 소상팔경, Palgyeong, Namwon, Cheonggye Yang Dae-bak, Sosangpalkyung
도금양나무(Myrtus communis)의 명칭문제 고찰
김영숙 ( Kim Young-sook ) , 안계복 ( Ahn Gye-bo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69~76페이지(총8페이지)
`도금양(천인화)나무`의 명칭문제를 고찰하기 위해서 문헌분석과 한중일 21종의 성경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르투스(Myrtus co㎜unis)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유다, 그리스, 고대 로마, 중세 스페인에 이르기까지 사랑과 부활을 상징하는 중요한 수목이었다. 성경에서 미르투스(sd:h] hadas)는 초막절에 초막을 만드는데 사용되거나 여러 가지 의식을 행할 때 사용되던 중요한 나무다. 미르투스는 이스라엘 백성을 상징하는 나무이고, 평화와 감사의 상징이기도하며, 또한 불멸성과 부활을 상징하는 나무로 나타난다. 한중일 성경에서 미르투스는 시기별로 崗拈樹(千里香), 千里香, 鳥拈, 番石榴, 감탕나무, 석류나무, 화석류, 소귀나무, 도금양나무 등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myrtle을 桃金孃으로 번역하는 것은 일본의 사전...
TAG 성경, 도금양(桃金孃), 화석류, 천리향, 천인화, Bible, myrtle(Myrtus), Hwaseoglyu, Cheonlihyang, Cheoninhwa
국가중요농업유산의 보전관리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백승석 ( Beak Seung-se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7] 제35권 제2호, 98~107페이지(총10페이지)
농림축산식품부는 2012년부터 국가중요농업유산을 지정하여, 농촌지역에 보전가치가 있는 농업유산을 보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국가중요농업유산 7개를 지정하였고, 세계중요농업유산 2개를 등재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농업유산제도가 도입된 초기와 현재의 정책 환경은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농업유산 정책 현황을 살피고, 농업유산 정책의 환경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업유산 자원 발굴의 미흡, 농업유산 모니터링 관심 증가, 농업유산 활용을 통한 농촌 활성화 기대, 농업유산 보전·관리 예산 부족이라는 정책 환경 변화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변화를 반영한 농업유산 보전·관리 정책으로 농업유산 보전·관리체계 확립, 국가중요농업유산지정기준 완화, 농업유산 모니터링 의무화, 농업유산 브랜드 강화, 농업유산 보전관리를 위한 예산 확대를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
TAG 농업유산, 세계중요농업유산, 보전관리, 모니터링, 지정기준, Agricultural Heritage, GIAH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onitoring, the Designation Standard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