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구결학회 AND 간행물명 : 구결연구42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고(中古) 한어(漢語)의 음운(音韻)(2)
히라야마히사오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1권 195~248페이지(총54페이지)
이 글은 中古 漢語의 음가 추정 방법, 실례, 한계를 중심으로 中古 漢語의 音價가 어떻게 재구될 수 있는지를 보이고, 이렇게 재구된 中古 漢語가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는지를 다룬 것으로 「中古 漢語의 音韻(1)」에 이어 平山久雄의 「中古漢語の音韻」의 후반부를,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번역한 것이다. 음가 추정에 관해서 말하자면, 聲母의 음가는 36字母를 『廣韻』의 反切에 맞도록 약간 수정을 한 후에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全淸의 聲母는 無聲無氣音으로, 次淸의 聲母는 無聲有氣音으로, 全濁의 聲母는 有聲音으로 음가를 추정하였다. 牙音의 聲母를 가지고 예를 들자면, 見母 k-, 溪母 kh-, 群母 g-로 추정하였는데, 다른 聲母의 음가 추정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마찬가지로 사용한다. 韻母...
TAG , 古音(中古 漢語), 音韻體系, 音價 推定, 聲母, 韻母, 聲調, 變化
지정사의 개념과 차자표기 지정문자설의 문제에 대하여
이용 ( Lee Yong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107~138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에서는 지정사(determinatives)의 개념을 중심으로 기존에 차자표기 연구에서 지정사(=지정문자)로 다루어져 왔던 것들을 살펴보았다. 지정사는 수메르문자, 이집트 상형문자, 한자 등 고대문자를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개념이다. 고대문자 연구에 있어서 지정사는 그 자신은 발음이 되지 않지만 어떤 기호의 앞이나 뒤에 와서 의미정보를 부가해, 그 기호의 의미 구별을 돕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그런데 한국어 차자표기 연구에 있어서는 ‘선행(또는 후행)하는 기호의 의미를, 그것이 가진 다른 의미와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함으로써 그 기호의 의미를 분명히 해 주는 무음성적 기호’ 또는 ‘음상과 의미 기능이 모두 결여되어 있으면서 앞에 오는 문자를 훈독하라고 지정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의는...
TAG 지정사, 지정문자, 한정사, 차자표기, 향가, 수메르 문자, 이집트 상형문자, 한자, 고대문자, determinatives, Hyangchal, Chaja Pyogi, Chinese Characters, cuneiform, hyeroglyph, Sumerian writing systems, ancient Egyptian writing systems
전적(典籍)으로서 본 훈점(訓點) 자료(資料)
우츠노미야케이고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139~162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훈점 자료를 언어 면에서가 아니라, 필자의 연구를 바탕으로 거기에 기록된 서지 정보와 재료 도구라는 전적(典籍)으로서의 측면에서 그 가치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훈점의 색과 삭제, 그리고 장식경(裝飾經)과 훈점, 전적사상(典籍史上)의 문제, 성교조사(聖敎調査)와 그에 대한 디지털 아카이브화의 시도에 대해서 소개한다.
TAG 訓點 資料, 加點樣式, 料具, 装飾經, 聖敎調査
연세대 소장 각필구결본 『묘법연화경』의 부정문
이전경 ( Lee Jeon-kyung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163~183페이지(총21페이지)
연세대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각필법화경은 조선 초기 이전의 자료로 추정되는 것이다. 여기에 현토된 점토의 양상에 대해서는, 조사를 나타내는 단점에 대한 보고를 통해 유가사지론과 일치된다는 점이 알려졌을 뿐 점의 위치 변이나 구결토의 용법에 대해 정밀히 연구된 적이 없다. 점도에 대한 연구의 전단계로서 이 논문에서는 법화경에 나타난 부정구문을 사진자료와 함께 소개하고 명사문 부정과 동사문 부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 자료에는 ‘無, 非, 靡, 莫, 未, 不, 勿’의 부정문이 나타난다. ‘靡不’등 이중부 정문과 능력부정구문이 다수 나타나 부정문 논의에 자료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자료에 나타난 부정문의 양상은 자토 및 점토구결에 사용된 양상과 전반적으로 일치하나 세부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석독구결은 화엄경 계통과 유가사지론 계통으로 나...
TAG 법화경, 점토구결, 點吐口訣, 점토, 點吐, 부정법, Myobeop yeonhwagyeong(妙法蓮華經: Lotus Sutra), Code Kugyol, Jeomto, negative sentence
저작(著作) 겸(兼) 발행인(發行人)(김송규(金松圭))이 동일(同一)한 『사체(四體) 천자문(千字文)』의 한자(漢字) 음(音)·훈(訓) 비교(比較) 연구(硏究)
朴秉喆 ( Park Byeong-cherl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185~218페이지(총34페이지)
金松圭가 廣韓書林에서 두 번에 걸쳐 著作 겸 發行한 『四體 千字文』은 書眉의 三體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에서 간행되어 온 가장 일반적 형식의 『千字文』과 같은 형식의 책이다. 이 두 책에 등장하는 漢字의 音과 訓은 앞서 간행된 『千字文』 異本들의 전통을 잇고 있다. 그러나 두 책의 간행 시기가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표기를 달리한 것이 상당수 발견된다. 1937년에 간행된 책(A본)이 이보다 8년 늦게 간행된 1945년본(B본)보다 進步的인 表記를 보여 준다. 口蓋音化, 單母音化 등 音韻變化의 形態를 A본은 反映하였으나 B본은 反映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리고 A본은 1933년의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라 表意的 表記를 하였으나 B본은 1930년 이전에 通用되었던 表音的 表記를 하였다. 된소리 표기 또한 A본과 B본이 확연히 구분되는데 A본의 경우 ㄲ, ㄸ, ...
TAG 千字文, , , 맞춤법, 動搖, 比較,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The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 The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The Korean Orthography, Confusion of Orthographic Practice, Comparative Study
근대계몽기(近代啓蒙期) 국한혼용문(國漢混用文)의 유형(類型)·문체(文體) 특성(特性)·사용(使用) 양상(樣相)
韓榮均 ( Han Young-gyun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219~256페이지(총38페이지)
이 논문은 <近代啓蒙期 國漢混用文 코퍼스> 구축에서 母集團이 될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 텍스트 중에서 코퍼스에 포함할 표본을 추출하는 데에 準據가 될만한 言語 特性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近代啓蒙期 國漢混用文 텍스트에서 그러한 언어 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示顯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2장에서는 近代啓蒙期의 國漢混用文을 여섯 유형으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현대 한국어의 국한혼용문 문체 성립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는 네 유형의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문체상의 특성을 보여 주는 요소를 한문 문법과의 간섭 결과의 반영이라는 관점에서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그것은 ‘① 한문의 요소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② 한문 문법의 간섭 결과가 체언구에 반영된 경우 ③ 한문 문법의 간섭 결과가 용언구에 반영된 경우 ④ 기타’로 정리할 수...
TAG 근대계몽기, 국한혼용문, 문법적 간섭, 코퍼스 언어학, Mixed-texts in Enlightment Era, grammatical interference, cospus linguistics
中古 漢語의 音韻(1)
히라야마히사오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257~297페이지(총41페이지)
「中古 漢語의 音韻」은 中古 漢語 연구에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보여 주었고, 학술적 성과에서도 탁월함을 인정받아 필독서가 된 것으로, 그간 漢字音 연구자들이 中古音을 연구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도움을 주리라 의심하지 않는다. 이에 이번에 原文을 번역함은 물론이고,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같이 번역하여 소개하게 되었다. 다만 원문이 길어서 한 번에 싣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두 차례로 나누어, 音價 推定의 방법과 實例, 추정된 音價表는 다음에 싣기로 하였다. 이 번역본이 한자음 연구자들과 국어사 연구자들에게 두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中古 漢語는 『切韻』(601)의 기초가 되었던 方言의 音을 가리키는 것으로, 오늘날 우리가 그 전면적인 양상을 알 수 있는 最古의 것이다. 이런 중고 한어...
TAG 中古音(中古 漢語), 廣韻, 韻鏡, 反切, 音韻 體系, 聲母, 韻母, 聲調
한자자체규범사(漢字字體規範史)에서 바라본 『룡감수경(龍龕手鏡)』
이시즈카하루미치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5~21페이지(총17페이지)
이 책(韓國指定文化財 國寶 第291號)은 崔南善氏 舊藏本으로, 僚卷인 楡岾寺 舊藏本과 더불어 天下의 孤本으로서 일찍이 알려져,1929년 京城帝國大學法文學部에 의한 複製本도 刊行되어 있다. 『龍龕手鏡』은 基本的으로는 書名이 보이는 바와 같이 一切의 佛典을 읽기 위한 字書이다. 漢字文化圈에 있어서 일찍이 重用되어 왔지만, 中國에서는 특히 敦煌本에 出現하는 俗字의 硏究와 더불어 연구되어 왔다. 이 분야의 연구를 主導한 潘重規 先生은 1990년 10월의 敦煌에 관한 國際學術硏討會의 언어 분과에서 一週間의 討論을 거듭하는 사이에, 本書에 대해 누차 언급하고 그 硏究의 重要性을 指摘하였다. 이와 같은 背景 下에서, 2011년 12월 16~18일 日本의 東京外國語大學 아시아·아프리카 言語文化硏究所를 會場으로 하여 開催된 國際 심포지움 「字體規範과 異體의 歷史」에서는 本資料...
TAG 中國語字書, 佛典字書, 漢字字體, 規範字體, 中世韓國版本, 中國語字書Chinese dictionary, 仏典字書Buddhistic glossary, 漢字字体Chinese scripts, 規範字体Normative glyphs, 中世韓國版本Medieval Korean printing
한자 자체(字體)의 실용례와 자서기술(字書記述)을 통해 본 『룡감수경(龍龕手鏡)』
이케다쇼주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23~52페이지(총30페이지)
『龍龕手鏡』의 표제자로 수록된 한자의 字體를 대상으로 하여 한자자체규범 데이터베이스(HNG)에 수록된 실용례를 바탕으로 初唐 시기의 궁정사경에 쓰인한자 자체(初唐 표준자체)와 晩唐 시기의 開成石經에 쓰인 한자 자체(開成 표준자체)와 비교하였다. HNG의 실용례는 불전과 漢籍 그리고 國書 가운데 표준적인 문헌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사용 빈도가 높은 예들이 많다. 반면 『龍龕手鏡』에는 難字나 僻字에 속하는 글자들이 많아서 初唐 표준자체 및 開成 표준자체와 비교 가능한 字種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한 한계를 감안한 검토를 통해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初唐 표준자체와의 일치율은 약 70%이고 開成 표준자체와의 일치율은 약 90%이다. ·字體注記는 初唐 표준자체와 開成 표준자체 양쪽 모두 無注記인 용례가 약 60%로 가장 큰 ...
TAG 龍龕手鏡, 한자자체규범 데이터베이스, 初唐 표준자체, 開成 표준자체, 漢字字體規範デ一タベ一ス、初唐標準字体、開成標準字体
동대사(東大寺) 소장(所藏) 신라화엄경사경(新羅華嚴經寫經)과 그 석독구결(釋讀口訣)에 대하여
南豊鉉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3] 제30권 53~79페이지(총27페이지)
현재 일본에 전해지는 新羅의 寫經으로 알려진 것은 奈良市 東大寺圖書館에 소장된 華嚴經(권12-권20) 1축과 正倉院에 소장된 華嚴經(권72-권80) 1축뿐이다. 이들은 같은 秩에 들어 있던 것이 나뉘어져 전해진 것이다. 이들은 740년 이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에 角筆로 여러 종류의 부호와 문자들을 기입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신라 시대의 언어와 석독구결의 實在는 물론 한문의 석독법이 일본에 전파된 과정을 논증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2009년 8월부터 매년 2회씩 조사하여 2012년 8월까지 모두 7회에 걸쳐 조사한 結果物 가운데 借字 □(良)/아, 占/뎌, 白/□, 乃/나이, 叱/ㅅ, 沙/사, □/며,금, □/로, 毛刀/모도, 自/저 등의 기능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는 이 자료가 8세기의 석독구결...
TAG 新羅 寫經, 角筆 기입, 석독구결, 설총의 구결, 한문 독법의 전파, 新羅寫經, 角筆記入, 釋讀口訣, 薛聰の口訣, 漢文訓讀傳播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