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산악기상관측정보를 이용한 위성정보 기반의 전천후 기온 자료의 평가 - 강원권역을 중심으로
장근창 ( Keunchang Jang ) , 원명수 ( Myoungsoo Won ) , 윤석희 ( Sukhee Yoo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1호, 19~26페이지(총8페이지)
지표면 기온(Tair surface air temperature)은 기상 및 기후학 분야에서 대표적인 기상인자일 뿐만 아니라 육상생태계 기능을 조절하는 주요 환경조건 인자이다. MODIS와 같은 인공위성정보 활용 기술은 지표면 기온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하지만 복잡 산악지역에서의 관측 정확도의 한계와 구름 등에 의한 자료 결측은 연속적인 모니터링을 제한한다. 이 연구에서는 위성정보를 기반으로 복잡 산악지역에서인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전천후 기온정보를 생산하여 산악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산악지역에 대한 정확도 개선을 위해 Aqua MODIS 기온정보(MYD07_L2)에 대기기온감률 방법을 적용한 결과, 기존보다 약 4% RMSE 개선효과(ME의 경우 95%)가 ...
TAG Air temperature, MODIS, AMSR2, Brightness temperature, AMOS, Mountain weather
온도와 일장에 따른 국화의 식물계절과 출엽 예측 모델 개발
서범석 ( Beom-seok Seo ) , 박하승 ( Ha-seung Pak ) , 이규종 ( Kyu-jong Lee ) , 최덕환 ( Doug-hwan Choi ) , 이변우 ( Byun-woo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253~263페이지(총11페이지)
단일식물인 국화의 생육은 온도, 일장, 일사량 등 기상환경과 재배관리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기상환경과 재배관리를 고려한 국화의 생육예측모델은 국화 재배 시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화 생육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온도와 일장뿐만 아니라 에세폰 처리, 야간 전조처리리 등 재배관리 정보를 입력변수로 하여 국화 품종 백선의 출엽과 식물계절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국화의 생육시기를 유약기(Juvenile phase), 유약기 이후 발뢰기까지 기간, 발뢰기부터 개화기까지의 기간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계산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유약기는 출엽속도의 온도 반응 곡선과 유약기의 종료를 결정하는 기준 엽수를 이용하여 추정하도록 구성 하였다. 한편 모주와 이식 후 식물체에 대한 에세폰 처리가 유약기 종료시점...
TAG Chrysanthemum, Phenology, Leaf appearance, Simulation model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적정위치 선정 연구 - 호남·제주 권역을 대상으로
윤석희 ( Sukhee Yoon ) , 원명수 ( Myoungsoo Won ) , 장근창 ( Keunchang J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208~220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매년 발생하고 있는 산불, 산사태 등의 산림재해방지를 위해 호남과 제주의 산악지역을 대상으로 최적의 산악기상관측망 입지를 선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적정위치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항목들을 공간자료화한 후 공간 분석을 통해서 후보지를 선정하고 현장 조사를 통해 정량적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인 적정위치를 선정하였다. 공간자료는 과거 10년간의 산불발생 정보와 과거 7년간의 산사태위험등급 정보, 산림청의 국사경계도, 국유지의 임도와 등산로 그리고 기상청의 자동기상관측소(AWS)와 산림청의 산악기상관측소 위치정보, 30m 해상도의 수치표고모델(DEM)을 사용하였다. 공간분석은 산불과 산사태의 1-2등급의 위험지에 대한 추출 및 중첩 분석, 산림청 국유지 내에 100m 버퍼를 준 임도와 등산로의 접근성 분석, 기상관측소의 2.5km 버퍼를...
TAG Automatic mountain meteorology observation system (AMOS), Optimal site selection, Spatial analysis, Field assessment
하늘상태와 음영기복도에 근거한 복잡지형의 일조시간 분포 상세화
김승호 ( Seung-ho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233~241페이지(총9페이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넓은 지역의 수평면 일조시간 정보를 복잡한 산간집수역의 지형특성을 반영한 실제 일조시간 분포도로 변환하기 위해 지형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경남 하동군 악양면 단일 집수역을 대상으로 정밀 DEM을 이용하여 그림자모형화 및 공제선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일중 시간대별 음영기복도 1년 자료를 제작하였다. 2015년 5월 15일부터 2016년 5월 14일까지 1년 간 지형조건이 서로 다른 3지점에서 바이메탈식 일조계로 측정한 일조시간자료에 음영기복도 상 해당 지점의 휘도값을 추출하여 회귀시킴으로써 맑은 날의 휘도-일조시간 반응곡선을 얻었다. 이 곡선식을 하늘상태(운량)에 따라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일조시간 상세화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모형의 신뢰도를 기존 수평면 일조시간 추정기법과 비교한 결과 추정값의 편의가 크...
TAG Sunshine duration, Sky condition, Shaded relief, Topographical brightness
온도 및 CO2 상승이 고추의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 ( Eun Young Song ) , 문경환 ( Kyung Hwan Moon ) , 손인창 ( In Chang Son ) , 위승환 ( Seung Hwan Wi ) , 김천환 ( Chun Hwan Kim ) , 임찬규 ( Chan Kyu Lim ) , 오순자 ( Soonja Oh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179~18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온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상승조건에서 노지채소인 `무한질주` 고추의 생육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SPAR (Soil Plant Atmosphere Research) 챔버에서 수행하였다. 대조구인 대기온도는 노지고추 주산지인 안동지역의 평년(1971∼2000; 30년) 5∼10월의 생육기 평균기온(20.8℃)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대기온도, 400ppm CO2), 이산화탄소 상승구(대기온도, 800ppm CO2), 온도 상승구(대기온도+6℃, 400ppm CO2), 이산화탄소+온도 상승구(대기온도+6℃, 800ppm CO2) 등 4수준으로 설정하였다. 대...
TAG Climate change, Temperature, CO2, Fruit quality, Fruit yield
2000년대 기후변화를 반영한 봄철 산불발생확률모형 개발
원명수 ( Myoungsoo Won ) , 윤석희 ( Sukhee Yoon ) , 장근창 ( Keunchang J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199~207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1990년대와 2000년대 봄철에 발생하는 산불의 공간적 분포가 크게 변화됨에 따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산불발생확률모형의 변화를 비교하고, 2000년대 이후의 산불발생확률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기후 변화로 인한 산불발생 변화 예측을 현실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특정지역의 일일 산불발생위험도 예측하기 위하여 산불발생과 관련이 있는 기상요소로 규명된 습도, 기온, 풍속 등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기후변화를 반영한 2000년대의 전국 9개 권역의 봄철 기상요소에 의한 일일 산불발생위험지수(daily weather index, DWI)를 개발하였다. 첫 번째로 구체적인 개발방법은 전국 9개 광역지역별로 산불발생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를 규명하여 지역별로 산불발생의 유무를 종...
TAG Forest fire occurrence, Daily weather index, Forest fire danger rating, Climate change
BIOME-BGC 모형을 이용한 국내 소나무 고사의 기후 및 토심 영향 분석
강신규 ( Sinkyu Kang ) , 임종환 ( Jong-hwan Lim ) , 김은숙 ( Eun-sook Kim ) , 조낭현 ( Nanghyun Ch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242~252페이지(총11페이지)
생태계 과정 모형인 BIOME-BGC를 이용해 국내 상록침엽수림의 탄소-물 순환 과정의 계절 및 연간 변화를 모의하여 국내의 소나무 고사 현상의 기후-토심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지로 2009년과 2014년 각각 소나무 대량 고사가 발생한 밀양과 울진을 선정하였다. 두 지역의 표준강수지수를 산정한 결과 약 5년 내외의 주기의 가뭄현상을 판별하였다. 2000년 중반 이후 가뭄은 고온건조 기후 특성을 보였다. 모형의 여러 변수를 조사한 결과, 임시탄소저장소인 Cpool 변수가 탄소기아에 의한 소나무고사 현상과 개연성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Cpool의 감소는 총일차생산성(GPP) 감소 혹은 유지호흡(Rm) 증가의 결과로 발생하였고, 연구기간 중 Cpool이 최저값을 보인 해는 각 연구지역에서 소나무 대량 고사가 발생한 해와 잘 일치하였다. ...
TAG Pine tree dieback, BIOME-BGC, Drought, Warmer temperature, Temporary carbon pool
만개기 단근처리를 통한 수분스트레스가 `후지`/M.9 사과나무의 수체반응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사공동훈 ( Dong-hoon Sagong ) , 윤태명 ( Tae-myung Yoo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264~273페이지(총10페이지)
본 시험은 5∼6월 수분스트레스가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단근은 만개기(4월 30일)에 원줄기에서 30cm와 60cm 떨어진 곳에서 열 방향에 따라 양쪽 혹은 한쪽으로 처리 하였다. 무처리구의 5∼6월 오후 평균 잎수분포텐셜은 -1.80MPa 이상을 유지하였지만, 단근 처리구들은 -1.80MPa 이하였다. 단근 처리 정도에 따른 5∼6월경 오후 평균 잎 수분포텐셜은 양쪽 30cm 단근구(-2.06MPa), 양쪽 60cm 단근구(-2.02MPa), 한쪽 30cm 단근구(-1.91MPa) 순으로 낮았다. 한쪽 30cm 단근 처리와 양쪽 30cm 단근 처리는 5∼6월 광합성속도를 각각 무처리구의 80% 및 65%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한쪽 30cm 단근구의 무처리구 대비 총 ...
TAG Malus domestica Borkh., Fruit weight, Leaf water potential, Photosynthesis
재배기간 동안 이상고온 발생에 따른 콩의 수량반응 탐색
정유란 ( Uran Chung ) , 조현숙 ( Hyeoun-suk Cho ) , 김준환 ( Jun-hwan Kim ) , 상완규 ( Wan-gyu Sang ) , 신평 ( Pyeong Shin ) , 서명철 ( Myung-chul Seo ) , 정우석 ( Woo-seuk Ju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188~198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콩 생육모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콩 재배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이상고온에서 파종일 이동에 따른 콩의 수량반응과 그 영향을 탐색하였다. 또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2041-2070년)에서도 파종일 이동이 잠재수량(yield potential)의 변화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981-2010년 동안 전주와 밀양 두 지점에서, 6월 10일의 파종일을 기준으로 5월 25일과 30일의 파종일 단축에 의한 상대적 잠재수량의 변화는 증가보다는 감소 경향으로 나타난 반면, 6월 5일의 파종일 단축에 의한 잠재수량은 증가(평균 +3%)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월 15일과 20일의 파종일 지연에 의한 잠재수량의 감소(평균 -5%)가 증가(평균 +2%)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지점의 최근 2003...
TAG High temperature, Reproductive stage, Soybean, Rainfed crop, Climate change, Crop simulation models
국내 일사량 추정을 위한 Angstrom-Prescott계수의 평가
현신우 ( Shinwoo Hyun ) , 김광수 ( Kwang Soo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221~232페이지(총12페이지)
농업 생태계의 생산성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의 필수 입력변수인 일사량은 비교적 적은 수의 기상관측소에서만 관측되고 있어, 이들 관측값을 대신하기 위해 일사량을 추정하는 모델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간단한 계수를 사용하여 일조시간을 이용하는 Angstrom-Prescott (AP) 모델이 일사량 추정을 위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국내에서 보편적으로 적용가능한 AP모델의 계수값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 20개 기상관측소의 30년간의 일단 위 관측자료를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얻어진 계수와 Frere and Popov(1979)가 제시한 계수(APFrere)를 이용한 일사량을 추정하고, 이들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전역최적화 과정을 통해 시공간적으로 신뢰도가 높은 일사량을 얻을 수 있는 AP계수의 범위를 탐색 ...
TAG Sunshine duration, Solar radiation, Crop model, Input data,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 Degree of agreemen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