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참다래 궤양병 피해 예측
도기석 ( Ki Seok Do ) , 정봉남 ( Bong Nam Chung ) , 최경산 ( Kyung San Choi ) , 안정준 ( Jeong Joon Ahn ) , 좌재호 ( Jae Ho Joa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2호, 65~73페이지(총9페이지)
RCP4.5와 RCP8.5 미래 기후 변화 시나리오자료와 참다래 궤양병 피해 예측 모형인 D-PSA-K, 미래 참다래 재배적지 지도를 활용하여 궤양병의 미래 피해를 예측하고 참다래 궤양병의 발생 변화의 경향성을 찾아 보았다. 병원 세균에 의한 감염이 충분히 있다는 가정 아래에서 RCP4.5와 RCP8.5 시나리오의 2020년대와 2050년대에서 궤양병의 최대이병주율은 제주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75% 이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두 시나리오들 모두에서 월동기 저온환경이 없다는 가정 아래에서의 참다래 궤양병에 의한 가지 피해량은 거의 모든 재배가능지에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된 반면에 월동기 저온에 의한 가지 피해량 증가율은 거의 모든 재배가능지에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역 및 시나리오...
TAG Bacterial canker, Kiwifruit, Climate change, Disease forecast model, Disease incidence
고온, 일장 및 저일사 조건이 감자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김연욱 ( Yean-uk Kim ) , 이변우 ( Byun-woo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2호, 74~87페이지(총14페이지)
지구 온난화에 의한 미래의 기후변화는 감자의 생물계절, 생육 및 수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그 영향을 평가하여 적응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조건을 포함한 다양한 기상 조건에서 감자의 생육과 수량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작기이동 실험은 2014년과 2015년, 수원의 서울대학교 부속실험농장에서 실시되었으며, 봄 실험에서는 조생종인 남작과 수미 그리고 중만생종인 대서를 세 번의 파종기에 걸쳐 재배하였다. 가을 실험에서는 수미와 대서를 두번의 파종기에 걸쳐 2014년에만 재배하였다. 괴경형성기는 품종과 파종기에 따라 출아 후 11일부터 22일까지 다양한 시기에 나타났다. 기상요인들이 괴경형성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현재 기후조건에서 괴경형성기는 기온 상승과 단일조건하에서 촉진되었다. 반면에 고온과 장일 조...
TAG Potato, Climate change, High temperature, Planting date, Tuber initiation, Tuber yield
설마천 사면의 토양층 저류량의 분포양상에 관한 연구
장은세 ( Eun-se Jang ) , 김상현 ( Sang-hyun Kim ) , 이정훈 ( Jung-hoon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2호, 88~98페이지(총11페이지)
설마천 유역의 범륜사 사면에서 2010년 3월26일에서 동년 11월 30일까지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하여 사면에서의 저류 특성을 산정하고 분석하였다. 측정지점들을 위치와 특성에 따라 A, B 단면 C 지역으로 구분하여 저류변수들을 계절별로 분석하였으며, 지점별 초과유출과 저류상수도 계산하였다. 설마천의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를 이용하여 저류량의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간적인 저류량의 변동양상은 봄철에 식생의 활동으로 저류량이 낮게 나타났고, 여름철에 강우사상에 의한 증가를 보이다가 가을철과 겨울철에 건조기간으로 인해 감소현상이 나타났으며, 공간적인 저류량의 변동양상은 상부사면은 충전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부사면은 상부사면보다 높은 초기 저류량을 가지며 일정량을 유지하는 특성이 나타났고, 하부사면은 강우사상에 의한 증가폭이 크며...
TAG Soil moisture, Soil storage, Discharge
광릉숲, 태화산, 가리왕산 활엽수림에서 낙엽에 의한 수종별 엽면적지수 추정
권보람 ( Boram Kwon ) , 전지현 ( Jihyeon Jeon ) , 김현석 ( Hyun Seok Kim ) , 이명종 ( Myong Jong Yi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1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광릉숲, 태화산 서울대 학술림, 가리왕산의 낙엽활 엽수림에서 연간 낙엽·낙지 생산량과 가을철 낙엽에 의한 수종별 엽면적지수를 산출하고, 간접적인 방법의 것과 비교하였다. 연간 낙엽·낙지 생산량은 천이 단계 증가에 따른 임분의 바이오매스 축적량이나 수종 구성 등에 따라 그 양과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Table 2), 특히 수종마다 낙엽의 양에 차이는 있지만 모든 임분에서 여름철 이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Fig. 1), 가을철의 한시적인 낙엽 수집만으로도 최대엽면적지수의 추정은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러한 낙엽의 수집으로 낙엽의 양 뿐만 아니라 수종마다 SLA와 탈락시기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었고 (Table 3), 간접방법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각 수종별 엽면적지수를 국내 최초로 산출 할 수 있었다(F...
TAG Canopy clumping, Leaf area index(LAI), Litter fall production, Temperate deciduous forest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논 서식 애물땡땡이 (Sternolophus rufipes)와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의 비행시기 예측
최순군 ( Soon Kun Choi ) , 김명현 ( Myung Hyun Kim ) , 최락중 ( Lak Jung Choe ) , 어진우 ( Jinu Eo ) , 방혜선 ( Hea Son B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1호, 16~29페이지(총14페이지)
우리나라 농경지 중 논은 약55%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논에 서식하는 생물 중 논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일정한 방향의 반응을 보이는 생물종은 생물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생물계절 및 서식범위등 생물지표를 이용한 분석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직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논에 서식하는 수서생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생물반응 연구는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계획 수립과 기후변화 감시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계절을 관측하기 위하여 일 단위 관측이 가능한 무인관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무인관측시스템은 유인부, 촬영부,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며 위도를 고려하여 해남, 부안, 당진, 철원에 설치하였다.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철원을 제외한 세 지역에서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
TAG Climate change, RCP 8.5 scenario, Phenology, Unmanned monitoring system, Hydrochara affinis, Sternolophus rufipes
광릉 산지사면에서의 선행강우지수와 토양저류량 비교연구
곽용석 ( Yong Seok Gwak ) , 김수진 ( Su Jin Kim ) , 이은형 ( Eun Hyung Lee ) , 함세영 ( Se Yeong Hamm ) , 김상현 ( Sang Hyu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1호, 30~41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델링에서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여러 선행강우지수를 활용하여, 실제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들로부터 평가된 토양 저류량과의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선행강우지수와 측정된 토양저류의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이전연구들에 비해 보다 명확한 관계를 이끌어낼 수있었다. 이 관계를 바탕으로 약 2년여동안의 강우자료만을 통해 일 토양저류량을 모의하였으며, 측정된 일토양저류량 값과 비교를 하였다. 모의된 토양저류량은 실제 측정된 토양저류량의 변화를 대체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지만, 식생의 계절적인 변화와 영향과 관련한 수문학적 과정들의 변화로 인해 다소 차이가 있었다. 비록 본 연구결과가 경험 식으로부터 도출되었지만, 미 계측유역에서의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AG Soil moisture, Antecedent precipitation index, API, Soil storage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키위 품종 ‘해금’의 개화시기 변동과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 전남 키위 주산지역을 중심으로
김광형 ( Kwang Hyung Kim ) , 정여민 ( Yeo Min Jeong ) , 조윤섭 ( Youn Sup Cho ) , 정유란 ( Uran Chu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1호, 42~54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출모델링에서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여러 선행강우지수를 활용하여, 실제 측정된 토양수분자료들로부터 평가된 토양 저류량과의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선행강우지수와 측정된 토양저류의 변화특성을 이용하여, 이전연구들에 비해 보다 명확한 관계를 이끌어낼 수있었다. 이 관계를 바탕으로 약 2년여동안의 강우자료만을 통해 일 토양저류량을 모의하였으며, 측정된 일토양저류량 값과 비교를 하였다. 모의된 토양저류량은 실제 측정된 토양저류량의 변화를 대체적으로 잘 묘사하고 있지만, 식생의 계절적인 변화와 영향과 관련한 수문학적 과정들의 변화로 인해 다소 차이가 있었다. 비록 본 연구결과가 경험 식으로부터 도출되었지만, 미 계측유역에서의 선행습윤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AG Phenology, Kiwifruit, Variation, Uncertainty, Climate change
기온감률의 일중 경시변화 예측 가능성
김수옥 ( Soo Ock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1호, 55~63페이지(총9페이지)
경계층 내에서는 일중 시간대에 따라 기온감률의 변이가 크므로, 복잡지형의 기온분포 추정에 흔히 사용되는 표준기온감률보다 현실성 있는 매시 기온감률 추정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기온 경시변동의 장기간 평균을 기준으로 하되, 표준등압면 1000- 925hPa 층위의 기온감률을 이용하여 기온감률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여기에 매시 운량에 따라 보정된 기온감률이 모의된다. 신뢰성 검증을 위해 대관령 지역에 적용하여 10개월 간 매시 기온감률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초음파 기온프로파일러로부터 얻은 지상 500-600m 층위 실측 기온감률과 비교한 결과, ME -0.0001℃/m, RMSE 0.0024℃/m였다. 이 방법을 지상 1.5m에서 측정되는 산사면의 고도별 기온감률 추정에 적용할 수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복잡지형인 ‘하동2수위표’ 표준유역의 3...
TAG Lapse rate, Mountain slope, Diurnal temperature cycle, Temperature interpolation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전주지역의 농업가뭄 전망
김대준 ( Dae Jun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275~280페이지(총6페이지)
미래 기후조건에서 농업부문 가뭄양상을 전망하기 위해 우리나라 농업의 중심지인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1951-2100 기간의 기후변화시나리오(RCP8.5) 일자료를 이용하여 토양의 물수지에 근거한 농업가뭄지수를 계산하였다. 계산결과는 과거(1951-1980), 현재(1981- 2010), 그리고 3개의 미래 기후학적 평년기간(2011- 2040, 2041-2070, 2071-2100)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거부터 현재까지 계절적으로 가장 부족한 이른봄의 토양수분은 점차 개선되어 금세기말이면 수분부족현상이 해소될 것으로 전망되며, 봄철 가뭄발생빈도 역시 지금보다 줄어들어 이른봄에는 가뭄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반면 여름작물 생육기간에는 토양수분상태가 악화되며 가뭄발생빈도가 대체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TAG Drought index, Agriculture, RCP8.5 scenario, Residual soil moisture
기상청 동네예보의 영농활용도 증진을 위한 방안: IV. "하늘상태"를 이용한 일조시간 및 일 적산 일사량 상세화
김수옥 ( Soo Ock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281~289페이지(총9페이지)
일조시간 및 일사량은 작물생육에 중요한 기상요소 이지만 기상청 동네예보 항목에 없기 때문에 3시간간격 ‘하늘상태’를 활용하여 일조시간 및 수평면 일사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기상청 동네예보의 3시간 간격 ‘하늘상태’ 자료를 수집하고 전국 22개 일사관측 기상대의 동시간대 실측 운량과 비교하여 ‘하늘상태’의 4단계 격자값 ‘맑음(1)’, ‘구름조금(2)’, ‘구름많음(3)’, ‘흐림(4)’을 0부터 10까지의 운량으로 변환하였다. 22개 일사관측 기상대의 일 평균운량 0인날에 대하여 일조율을 비교하여 관측여건이 가장 좋은 3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점의 3년치 운량과 일조시간 실측자료로부터 운량-일조시간 추정식을 도출하였으며, 이 식에 의해 추정된 일조시간값으로 Angstrom-Prescott 모형을 구동하여 수평면 일사량을 산출하였다. ‘하늘...
TAG Sunshine duration, Solar radiation, Sky condition, Cloud amount, Digital forecas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