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산간집수역의 농민과 농촌지도사를 위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현업서비스
신용순 ( Yong Soon Shin ) , 박주현 ( Joo Hyun Park ) , 김성기 ( Seong Ki Kim ) , 강위수 ( Wee Soo Kang ) , 심교문 ( Kyo Moon Shim ) , 박은우 ( Eun Woo Park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290~305페이지(총16페이지)
필지단위 재해발생 가능성을 적절한 대응방안과 함께 재배농가에게 농장 맞춤형으로 전달할 수 있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시스템’의 실용성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업 서비스 시스템을 국립농업과학원에 구축하여 2014년도 10월부터 2015년 3월까지의 시범 서비스 운영기간 동안 현장 적용을 위한 개선, 서비스 안정화 단계를 거쳤다. 현업 서비스 시스템은 섬진강 하류 유역(행정구역상 광양시 일부, 하동군 일부, 구례군 일부)의 약 470 자원농가와 950여필지를 서비스 대상으로 하였다. 자원농가에게 필지단위 사전경보를 개별 문자로 통보하는 시스템과 해당 지자체가 관내 현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분포형 사전 경보시스템(웹 GIS 기반) 형식의 투트랙(Two track)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1차 연구대상지역인 섬진강 하류에 대하여 현업 서...
TAG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ervice, Weather hazards, Mountainous watershed, Farm weather, Farm weather risk
온도 조건에 따른 벼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 반응의 품종간 차이
이규종 ( Kyu Jong Lee ) , 김동진 ( Dong Jin Kim ) , 반호영 ( Ho Young Ban ) , 이변우 ( Byun Woo Lee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06~316페이지(총11페이지)
생태형이 다른 8개 벼 품종을 대상으로 포트 실험을 실시하여 대기온, 대기온 대비 +1.5oC, +3.0oC, +5.0oC 온도 조건에서의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삭수를 제외한 수량 및 수량 관련 요소들의 온도 상승 조건에 대한 반응은 생태형 및 품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화수는 증감의 경향이 명확하진 않았으나 대체로 대기온보다는 증가하였고, 천립중과 등숙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량 관련 요소중 온도 상승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요소는 등숙률이었으며, 가장 둔감한 요소는 천립중이었다. 등숙률의 하락과 맞물려 수량은 고온 조건일수록 낮아졌으나, 영화수 증가 영향으로 수량의 저하 정도는 등숙률의 그것보다 크지 않았다. 생태형 및 품종별 반응은 조생종의 오대...
TAG Rice, Temperature, Yield, Yield component, Fully-filled grain, Fertility
지형이 복잡한 집수역의 소규모농장에 맞춘 기상서비스의 실현가능성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17~325페이지(총9페이지)
우리나라 농촌은 지형이 복잡하고 소규모 농장이 많아 농업기상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기상청 종관예보의 규모축소가 필요하다. 지형기후학에 근거한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하여 기상청의 기온예보자료 가운데 0600과 1500 LST자료를 선정된 집수역에 대해 30 m급의 국지규모로 상세화하고, 14개 관측소의 실측기온자료를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0600 LST기온의 경우 집수역 가운데 고도가 낮은 곳에서, 1500 LST 기온의 경우 계곡의 서향 및 남향 사면에서 정확도가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세화 한 기온실황자료를 이용하여 지역 내 소규모 농장을 대상으로 하는 시범서비스를 시작하였으며 농장 맞춤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예컨대 이 서비스시스템은 기온자료를 토대로 작물의 발육단계를 추정하고, 발육단계별 최...
TAG Temperature downscale, Topoclimatology, Early warning system, Field-specific service, Climate extreme
국내 봄배추 재배지의 아산화질소 배출계수 개발에 관한 연구
김건엽 ( Gun Yeob Kim ) , 박우균 ( Woo Kyun Park ) , 정현철 ( Hyun Cheol Jeong ) , 이선일 ( Sun Il Lee ) , 최은정 ( Eun Jung Choi ) , 김필주 ( Pil Joo Kim ) , 서영호 ( Young Ho Seo ) , 나운성 ( Un Sung Na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26~332페이지(총7페이지)
우리나라 밭토양에서 국가고유의 온실가스 배출계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봄 배추를 대상으로 재배기간 동안에 N2O를 포집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봄 배추 밭에서의 N2O 배출량은 정식 후 생육초기인 1개월 정도까지 높게 유지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생육초기에 수원지역의 N2O 배출량이 춘천지역보다 높았는데, 이는 수원의 강수량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기인한다고 볼수 있다. 질소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N2O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귀분석한 결과를 보면 99.8%의 상관성이 보였다. 본 연구에서 3년 동안의 봄 배추 재배기간 중 N2O 배출량을 분석하여 산정한 국가고유N2O 배출계수는 0.0056kg Kg N2O-N/kg N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가고유 N2O 배출계수를 등록과 더불어 국가 온...
TAG N2O emission factor, Nitrous oxide emission, Spring Chinese cabbage
온도시간 기반의 배추 생육단계 추정
김진희 ( Jin Hee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33~339페이지(총7페이지)
기온자료만으로 배추의 결구시기 및 수확적기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실측자료에 근거한 배추 생육단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배추의 일생을 생육기와 결구기로 나누고 각각에 대해 매일의 생장량이 최적 함수식에 의해 계산된다. 최적 함수식의 도출에는 강원도 고랭지 여름배추 주산지와 전남해남의 가을배추 주산지 7개 농가, 8개 작형에서 수집된 2012-2014년 자료가 활용되었다. 예측모형의 성능검증에는 같은 지역의 다른 농가 17개에서 수집된 생육자료와 소기후모형에 의해 복원된 국지기온자료로 구성된 독립자료세트가 사용되었는데, 17개 지점의 3년간 수확예정일 평균추정오차(RMSE)는 5.3일 이었다. 이 모형은 기상청의 일별 기온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역과 작형에서 재배되는 배추의 결구기와 수확기를 예측하는 소위 ‘농업기상예보’ 목적으로 활용될 수...
TAG Kimchi cabbage, Phenology growth stage, Thermal time, Harvest date
경상북도 지방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상주둥시 감나무의 과실특성 및 수확량
박윤미 ( Yun Mi Park ) , 김만조 ( Mahn Jo Kim ) , 박상병 ( Sang Byeong Park ) , 오성일 ( Sung Il Oh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40~347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상주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상주둥시를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과실 특성 및 수확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기상환경 요인으로는 5년간 월별 평균기온, 적산온도 및 일 수, 일조시간, 일교차, 강수량 등이 포함되었다. 과실 특성과 기상환경 요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실 과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기상요인은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인 4월과 무게 증가시기인 10월의 일조시간이었다. 당도의 경우는 연 강수일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과중과 마찬가지로 4월, 10월의 일조시간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당 총착과량과 수확량의 경우는 공통적으로 4월의 평균기온이 높을 수록, 10월의 적산일수가 많을 수록 많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과...
TAG Climate factor, Diospyros kaki THUNB, Fruit weight, Soluble solids, Yield
GARP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잣나무의 지리적 분포 변화
천정화 ( Jung Hwa Chun ) , 이창배 ( Chang Bae Lee ) , 유소민 ( So Min Yo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48~357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그간 우리나라에서 경제적인 가치를 인정 받아온 수종인 잣나무를 대상으로 잣나무의 현존 분포를 파악하고,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생태적 지위 모형에 기반하여 향후 잣나무의 분포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5년간의 NFI 자료에서 조사지점별 잣나무의 풍부도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종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변수를 선정하기 위해 생태적지위 모형 가운데 하나인 GARP (Genetic Algorithm for Rule-set Production)를 이용하였다. 총 27개의 환경요인변수에 대해 각각 모형을 구동하고 컨퓨전 매트릭스(Confusion Matrix) 기반 산출 통계량인 AUC (Area Under C...
TAG Ecological niche modeling, GARP, NFI, Pinus koraiensis, Climate change, RCP 8.5 secnarios, Geographic distribution
탄소발자국 개념의 발전 과정과 농림 부문에서의 활용 전망
최성원 ( Sung Won Choi ) , 김학영 ( Hak Young Kim ) , 김준 ( J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58~383페이지(총26페이지)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들의 구체적인 배출량을 정량화하는 수단으로서 2000년대 중반부터 ‘탄소발자국’의 개념이 발전하였다. 아직도 명확한 정의나 측정 단위 또는 범위에 대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지만, ‘개인이나 조직에 의해 제품의 전 생산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대기로 배출된 전체 온실가스의 양을 이산화탄소 상당량으로 나타낸 것’이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ISO/TS 14067에 따르면, 제품의 탄소발자국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단위공정들의 활동량 자료에 해당 공정의 배출계수를 곱하고 이를 모두 합산하여 산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비교·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 생산자들의 자발적인 온실가스 배출 감축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이 제도의 일환으로 농업 분야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는 ‘저...
TAG Carbon footprint, Greenhouse Gases, Carbon lavelling, Life cycle assessment
2014년 특별관측 기간 동안 청미천 농경지에서의 WRF/Noah-MP 고해상도 수치모의
송지애 ( Ji Ae Song ) , 이승재 ( Seung Jae Lee ) , 강민석 ( Min Seok Kang ) , 문민규 ( Min Kyu Moon ) , 이정훈 ( Jung Hoon Lee ) , 김준 ( Joo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84~398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농경지를 중심으로 고해상도 지형 및 토지피복 자료 기반의 WRF/Noah-MP 결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수치모의 한 결과를 2014년 8월 21일부터 9월 10일까지의 청미천 하계 특별관측 자료와 비교하여, 농경지에서의 지면 및 대기모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지면 및 대기 변수의 단기 및 중기모의에 있어서 Noah-MP의 동적 식생 가동이 얼마나 유용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동적 식생을 포함하지 않은 실험(CTL)과 포함한 실험(DVG)을 관측기간에 대해 양방향 6중 둥지격자 시스템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서 다음과 같다. 1) CTL 실험은 낮 동안의 순단파 복사 에너지를 과대 모의 함에 따라 현열 및 잠열 플럭스와 보웬비도 관측에 비해 과대 모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CTL 실험의 기온은 관측을...
TAG High-resolution, Atmospheric simulation, Farmland, Land surface model, WRF, Noah-MP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호두나무 재배지역 변화 예측
이상혁 ( Sang Hyuk Lee ) , 이상훈 ( Peter Sang-hoon Lee ) , 이솔애 ( Sol Ae Lee ) , 지승용 ( Seung Yong Ji ) , 최재용 ( Jae Yong Choi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5] 제17권 제4호, 399~410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호두나무에 대하여 단기임산물 재배적지도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전국의 재배가능지역을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RCP 4.5 및 8.5 시나리오와 HadGEM2-AO모델을 이용하여 2050년대와 2070년대의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역 변화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의 재배적지면적을 현재수치와 비교하였을 때, RCP 4.5에서는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이르는 우리나라 서쪽 지역이 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 8.5에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고도가 600m 이상으로 높은 지역인 강원도는 2070년대 RCP 4.5에서 18.3%, RCP 8.5에서 56.6%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의 영향 정도에 따라 전국적으로 재배가...
TAG Cultivation Area, MaxEnt Model, Regional Climate Prediction, Climate Chang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