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작물모형의 생물계절 및 잠재수량 예측력 개선 방법 탐색: I. 유전 모수 정보 향상으로 콩의 개화시기 및 잠재수량 예측력 향상이 가능한가?
정유란 ( Uran Chung ) , 신평 ( Pyeong Shin ) , 서명철 ( Myung-chul Seo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4호, 203~21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진주, 수원, 춘천의 정보로만 추정한 유전 모수(New1∼New3)와 지역 조합으로 추정한 유전 모수(New4∼New7), NICS (2010)와 Kim et al. (2004)의 유전 모수의 개화시기 및 잠재수량의 예측력을 평가하여 기존의 유전 정보와 새로운 유전 정보에 대한 불확실 정도를 알고 다음 후속 연구에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했다. 결과적으로, 개별 및 지역조합 유전 모수에서 모수 추정 지점 혹은 참여한 지점의 유전 모수의 평가 지표들은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지만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대구, 밀양, 전주에서 New7 유전 모수의 개화시기의 예측력은 NICS (2010)나 Kim et al. (2004)의 유전 모수의 개화시기 예측력보다 개선되지 않았다. 그러나 New7 ...
TAG soybean, genetic characteristics, crop model, uncertainty, climate change
생육기 온도상승이 극조생 양파의 생육 및 구 비대에 미치는 영향
송은영 ( Eun Young Song ) , 문경환 ( Kyung Hwan Moon ) , 위승환 ( Seung Hwan Wi ) , 김천환 ( Chun Hwan Kim ) , 임찬규 ( Chan Kyu Lim ) , 오순자 ( Soonja Oh ) , 손인창 ( In Chang So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4호, 223~23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하여 예측되는 온도 상승조건에서 노지 월동채소인 극조생 양파 ‘싱싱볼’의 생육 및 구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온도구배터널에서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인 대기온도(일평균 9.8℃) 조건, 온도상승구인 대기온도 +2℃(일평균 12.0℃)와 대기온도 +5℃(일평균14.3℃) 조건 등 3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생육기 온도상승에 따른 양파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인 대기온도 조건에 비해 대기온도 +2℃ 고온조건에서 자라는 양파가 초장도 길었고, 엽초경도 두꺼워졌으며, 총엽면적, 지상부 생체중 및 지상부 건물중이 증가되었다. 양파의 구 특성을 조사한 결과, 구경이나 구중은 생육후기로 갈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대조구에 비해 대기온도 +2℃ 고온조건에서 구 크기가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구 비대...
TAG Climate change scenarios, Growth temperature, Bulb quality, Onion
2017년 우박에 의한 산림피해의 기상, 수종 및 지형 특성 분석
임종환 ( Jong-hwan Lim ) , 김은숙 ( Eunsook Kim ) , 이보라 ( Bora Lee ) , 김선희 ( Sunhee Kim ) , 장근창 ( Keunchang J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4호, 280~292페이지(총13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Trees dieback, Hydraulic failure, Carbon starvation, Climate change, Drought and high temperature
기계학습법을 이용한 서리 발생 구분 추정 연구
김용석 ( Yongseok Kim ) , 심교문 ( Kyo-moon Shim ) , 정명표 ( Myung-pyo Jung ) , 최인태 ( In-tae Choi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3호, 86~92페이지(총7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Frost, Artificial neural network, Random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평년 평균기후자료 기반 농업기후도의 신뢰도
김진희 ( Jin-hee Kim ) , 김대준 ( Dae-jun Kim ) , 김수옥 ( Soo-ock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3호, 110~119페이지(총10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Agroclimatic index, Climatological normal year, Flowering date, Last frost date, Late frost risk
시공간평균 기준기후에 기인한 농업기상특보의 불확실성
김대준 ( Dae-jun Kim ) , 김진희 ( Jin-hee Kim ) , 김수옥 ( Soo-ock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3호, 120~129페이지(총10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Agricultural Drought Index, Digital climate map, Climate normal data, Weather risk
야간 역전조건 하의 지표기온 경시변화 추정
김수옥 ( Soo-ock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3호, 75~85페이지(총11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Temperature inversion, Temperature estimation, Nocturnal temperature profile, Clear night, Hourly temperature
일 최대풍속의 추정확률분포에 의한 농작물 강풍 피해위험도 판정 방법
김수옥 ( Soo-ock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3호, 130~139페이지(총10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Wind damage, Crop damage, Maximum wind speed, Weibull distribution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에서의 고해상도 격자형 자료의 처리 속도 향상 기법
박주현 ( J. H. Park ) , 신용순 ( Y. S. Shin ) , 김성기 ( S. K. Kim ) , 강위수 ( W. S. Kang ) , 한용규 ( Y. K. Han ) , 김진희 ( J. H. Kim ) , 김대준 ( D. J. Kim ) , 김수옥 ( S. O. Kim ) , 심교문 ( K. M. Shim ) , 박은우 ( E. W. Park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3호, 153~163페이지(총11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ervice, GPU PRISM, Speed-up raster calculation
국내 옥수수 재배적지 예측을 위한 R 기반의 기후적합도 모델 병렬화
현신우 ( Shinwoo Hyun ) , 김광수 ( Kwang Soo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7] 제19권 제3호, 164~173페이지(총10페이지)
우박은 흔하지 않은 기상현상이며 산림의 피해에 대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우리나라도 2014년 충북 음성군에서 14.1ha의 피해 이외에는 공식적 보고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럽과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2000년대 들어 우박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과 호주, 우리나라 충북의 경우 산림에서 우박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수종은 소나무류이었고, 우박에 의한 물리적 피해 이후 2차적으로 병이나 가뭄이 겹치면 그 피해가 커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7년 5월 31일 전남 일대에서 0.5∼5.0cm(최대 10.0cm), 6월 1일 경북 봉화에서 1.5∼3.0cm(최대 5.0cm) 크기의 우박이 내려 농작물은 물론 숲에 많은 피해를 입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박으로 인한 산림 피해지에 대해 드론 및 항공사진 자료를 활용하...
TAG Climate change, Suitability, EcoCrop, High resolution, Parallel computing, Maiz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