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림기상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71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 산림의 장기 기후변화 연구시설
서동진 ( Dong-jin Seo ) , 김현철 ( Hyun-chul Kim ) , 이현석 ( Hyun Seok Lee ) , 이솔지 ( Solji Lee ) , 이위영 ( Wi-yeong Lee ) , 한심희 ( Sim-hee Han ) , 강준원 ( Jun Won K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4호, 274~286페이지(총13페이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2%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CO2)는 지구온난화를 야기하는 대표적인 온실가스로 분류되어 있다. IPCC의 제5차 기후변화 종합평가 보고서(2014)에 의하면, 지난 100년간 지구 대기의 CO2는 약 35% 증가했으며 지구의 온난화는 최근 30년간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기상이변으로 산림식생대의 이동과 식물계절 변화가 유발되고 있다. 산림은 교토의정서에서 인정한 유일한 온실가스 흡수원으로서 보전 및 증진 필요성이 있으며 기후변화에 대한 수목 반응의 연구는 미래의 산림생태계 변화를 예측하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따라서 장기 기후변화 연구시설을 이용한 수목의 생리·생태적 반응 연구와 실제 산지에서 이루어지...
TAG Climate change, Carbon dioxide, Global warming, Open top chamber
농작물의 기상재해 발생위험 판정기준 설정 및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준기상위험의 변화 전망
김대준 ( Dae-jun Kim ) , 김진희 ( Jin-hee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62~169페이지(총8페이지)
기준기상위험이란 한 지역의 평년기후조건이 작물재배에 미칠 수 있는 ‘농업기상학적 피해가능성’으로서, 동일 작물 재배 시 지역에 따른 재해위험을 비교하는 기준이 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겨울 온도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상이변의 빈도 또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미래 기후조건에서 과수의 동해, 상해 등 저온에 의한 재해위험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기후의 변화는 과수 생물계절도 변화시키므로 기상조건에 근거한 단순한 재해위험 전망은 기후변화적응의 실용측면에서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주요 지역의 과거 및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배, 복숭아, 사과의 생물계절을 예측하고 생육단계별 기온과의 상호작용에 근거하여 저온 유래 기준기상위험을 계산함으로써 미래의 재해가능성을 전망하였다. 휴면해제일은 미래로 갈수록 늦어질 것으로 전망되었...
TAG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ex, Frost damage, Phenology, Climate change scenario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환경요인과 토양 이산화탄소 방출의 계절적 변화
백경원 ( Gyeongwon Baek ) , 조창규 ( Chang Gyu Jo ) , 김춘식 ( Choonsig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20~126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유사한 입지에서 생육한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토양 이산화탄소(CO₂)와 이들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인 토양 온도, 토양 수분, 토양 pH, 전기전도도, 토양 유기탄소 농도 등을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1년 동안 조사하였다. 토양 CO₂ 방출량의 월별 변화는 두 임분 사이에 차이가 있어 하절기인 6월과 7월의 경우, 굴참나무 임분이 소나무 임분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타 계절은 차이가 없었다. 연 평균 토양CO₂ 방출량의 경우, 굴참나무 임분이 2.27±0.22 μmol m-2 s-1로 소나무 임분의 1.63±0.12 μmol m-2 s-1 에 비해높게 나타났으며, 연 평균 토양 온도와 토양 수분함량도굴참나무 임분이...
TAG Carbon cycling, Carbon dynamic, Q10 value, Soil respiration, Soil temperature
기상청 동네예보의 영농활용도 증진을 위한 방안: Ⅴ. 하늘상태 기반 기온감률 추정기법의 실용성 평가
김수옥 ( Soo-ock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35~142페이지(총8페이지)
운량 기반 기온감률 추정모형을 이용하여 0600과 1500의 기온감률을 모의하고, 최저 및 최고기온 추정과 정에 활용되었던 기존의 단일 기온감률(­6.5°C/km, ­9°C/km)에 비해 추정 기온감률이 0600, 1500 기온의 추정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경남 하동과 전남 구례, 광양 지역의 ‘하동 2 수위표’ 집수역을 기온감률 추정기법의 실용성 평가 지역으로 선정하고, 이 집수역 내 기상관측지점 12곳의 0600, 1500 기온자료를 2015년 한 해에 대해 수집하였다. 또한 2015년의 기상청하늘상태 초단기예보 5km 격자자료를 이용, 대상 집수역의 0600, 1500 운량(0∼10) 공간평균값을 계산하여기온감률을 추정하였다. 검증지점의 0600 기온 추정오차는 기존 기온감률을 적용한 경우 평균 ME...
TAG Lapse rate, Temperature estimation, Complex terrain, Sky condition
엘니뇨 발생연도의 우리나라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
심교문 ( Kyo-moon Shim ) , 정명표 ( Myung-pyo Jung ) , 김용석 ( Yong-seok Kim ) , 최인태 ( In-tae Choi ) , 김호정 ( Ho-jung Kim ) , 강기경 ( Kee-kyung K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43~150페이지(총8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1980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n=14)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은 466.3kg 10a-1으로 미발생한 해(n=16)의 전국평균 쌀 생산량 476.5kg 10a-1 보다 단위면적당 10.2kg적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215, p=0.234). 또한, 엘니뇨 종료해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이엘니뇨 시작해와 엘니뇨 미발생해의 쌀 생산량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2.355, p=0.114). 엘니뇨 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는 0.57회/년으로 엘니뇨 미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6...
TAG Abnormal meteorology, El Nino, Meteorological anomaly, Oceanic Nino Index, Rice yield
농업부문 기후시나리오 활용의 주의점
김진희 ( Jin-hee Kim ) , 윤진일 ( Jin I.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70~178페이지(총9페이지)
농업부문의 기후변화 적응은 농작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의 정량평가로부터 시작된다. 이를 위한 조건으로서 작물모형 외에 과거­미래 간 이음새 없는 기후자료가 필요하지만, 기후시나리오에서 산출된 과거 기간의 자료는 실측 기후와 차이가 난다. 이것을 보정 없이 작물모형 구동에 사용한다면 농작물의 생육과 수량예측이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되어 모의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된 적응대책은 실효성이 낮아진다. 또한 동일한 기후시나리오를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시공간적 상세화 작업이나 기후모델의 편의보정을 위한후처리 작업을 수행한다면 작물모형 구동결과는 달라질수 있다. 농업부문에서 불확실성을 최소화한 영향평가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최종 사용자의 목적에 적합한 공간적 및 시간적 규모를 설정하는 일이다. 나아가 과거기후의 재현성을 포함한 시나리오기후의 불확...
TAG Climate scenario, Uncertainty, Downscaling, Bias correction
멕시코 톨루카 지역의 겨울 기온상승에 따른 한국 밀 품종의 출수생태 변이
박태일 ( Taeil Park ) , 정유란 ( Uran Chu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99~108페이지(총10페이지)
최근 겨울 기온이 상승하면서 밀의 파종시기가 변화되고 있다. 겨울 밀의 경우, 파성 소거에 필요한 저온 노출지속기간이 충족되지 않으면 출수뿐만 아니라 생육이불안정해질 수 있다. 한국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국제옥수수밀 연구소의 멕시코 톨루카에서 한국의 기후에 맞는 밀 육종을 위해 1996년 이후 지속적으로 밀적응시험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톨루카의 최근 겨울기후가 상승하는 등 이상기후 발생에 의해 밀 파종시기 및생육에 변화가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 겨울 밀의 육종 및 적응시험 전략의 변화가 필요하여 이를 위한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3년과 2014년에 파종된 CIMMYT 교배 품종과 우리나라 겨울 밀 교배 품종의 출수생태를 그룹별(II and III) 저온노출지속기간의 변화와 결합하여 파종시기의 변화에 따른 저온 노...
TAG Cold exposure duration, Vernalization, Winter wheat, Sowing day, Winter temperature rise
연도별 생장도일의 변화가 신갈나무의 잠재분포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임종환 ( Jong Hwan Lim ) , 박고은 ( Ko Eun Park ) , 신만용 ( Man Yong Shi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09~119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 활엽수종 중의 하나인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연도별 생장도일의 변화가 잠재분포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신갈나무 분포 지역의 기후특성을 반영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7개의 기후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에 포함된 시군에서 수집된 일평균기온 자료를 기반으로 1951년부터 2010년까지 60년 동안의 연도별 생장도일과 기온효과지수를 산출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른 신갈나무의 잠재분포 범위와 생장의 변화 추이를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적용하여 2011년부터 2100년까지 연도별 생장도일과 온도효과지수를 산출하여, 기후변화에 의한 신갈나무의 잠재분포 범위와 생장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신갈나무가 현재 분포하고 있는 지역의 생장...
TAG Tree-ring growth, Growing degree days, Temperature effect index, Climate change scenario, Cluster analysis
기후 및 토양 정보에서 최대저해인자법을 이용한 재배적지 구분의 통합에 관한 연구
김호정 ( Hojung Kim ) , 심교문 ( Kyomoon Shim ) , 현병근 ( Byungkeun H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27~134페이지(총8페이지)
사과 및 배의 재배적지 구분을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한 토양조건에 의한 재배적지값과 국립원예특작과 학원에서 제작한 미래 상세 전자기후도 제공 시스템을 통한 기후조건에 의한 재배적지값을 최대저해인자법을 이용하여 통합된 적지 구분을 하였다. 사과 및 배 모두에서 통합된 적지구분은 토양의 적지 구분의 패턴과 상당히 유사하였다. 기후조건에 의거한 구분도에 비해서 토양조건에 의한 구분도가 전체적으로 상대적으로 적지의 등급이 낮은 것이 그 이유로 여겨진다. 토양조건에 있어서 적지등급을 결정하는 최종구간 값들이 상당히 높게형성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등급이 낮게 결정된 것으로 사료되어 최종구간값들의 정확도에 대한 보정이 요구된다. 최대저해인자법은 이렇게 하나의 인자의 값들이 저평가되었을 때, 그 값들이 대표화되어 전체적으로 등급의 영향을 미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
TAG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pples, Pears, A maximum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
휴면 정도 및 탄소 함량이 ‘후지’ 사과나무 과대지의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
권헌중 ( Hun-joong Kweon ) , 박무용 ( Moo-yong Park ) , 송양익 ( Yang-yik Song ) , 사공동훈 ( Dong-hoon Sagong )  한국농림기상학회,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16] 제18권 제3호, 151~161페이지(총11페이지)
본 시험은 휴면 정도 및 탄소 함량이 사과나무의 과대지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는 M.26과 M.9에 접목된 성목기 ‘후지’ 사과나무의 과대지였다. 과대지의 휴면 정도는 자발휴면기(1월말), 자발휴면 타파 초기(2월초), 자발휴면 타파 후기(2월말), 발아기(3월말) 및 개화기(4월말)로 구분 하였다. 저온처리 범위는 0oC부터 -40oC 사이였다. 탄소 함량의 차이에 따른 내동성은 갈색무늬병에 의해 낙엽이 심하게 발생한 ‘후지’/M.9 사과나무(낙엽구)와 과다결실에 의해 평균 신초장이 20cm 이하였던 ‘후지’/M.9 사과나무(수세가 약한 시험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과대지의 내동성은 자발휴면 타파 후에 약해졌다. M.9와 M.26에 접목된 ‘후지’ 사과나무 과대지의 탄소 함량의 차이는...
TAG C/N ratio, Defoliation, Internal dormancy, Malus domestica Borkh, Rootstock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