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두륜산도립공원 상록활엽수림의 식생 특성 -대흥사 일대를 중심으로-
강현미 ( Hyun-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9] 제33권 제5호, 552~564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효하는 곳으로 식물학적 가치가 높은 두륜산도립공원 일대의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4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두륜산도립공원이 위치한 해남군은 난대림지역으로 40년간의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랭지수 -8℃ㆍ월, 온량지수 109.2℃ㆍ월, 연평균강수량 1,310.5㎜로 상록활엽수림의 분포적지라 할 수 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붉가시나무군락-Ⅰ, 붉가시나무군락-Ⅱ, 참식나무-푸조나무군락 총3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두륜산도립공원 내 상록활엽수림은 교목층에 우점하고 있는 붉가시나무가 아교목층에서도 세력을 넓혀가고 있으며, 붉가시나무 외에 교목성상의 상록활엽수인 참식나무와 생달나무 등이 전 층위에서 확인되고 ...
TAG 난대림,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WARM-TEMPERATE FOREST, TWINSPAN, Quercus acuta, Neolitsea sericea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전영문 ( Young-moon Chun ) , 이호영 ( Ho-young Lee ) , 권재환 ( Jae-hwan Gwon ) , 박홍철 ( Hong-chul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9] 제33권 제5호, 565~577페이지(총13페이지)
설악산 분비나무 개체군의 쇠퇴징후에 대한 요인과 군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 지역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군락구조, 개체군동태, 비대생장 및 활력도 등을 2009년부터 모니터링 하였다. 설악폭포지를 제외한 3개 조사지는 아교목층이 수관층을 형성하는 3층구조를 보였다. 목본수종의 중요치에서는 분비나무, 눈측백,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분포하였으며, 설악폭포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45.3%에서 2018년 36.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생육목의 개체수(DBH≥5cm)는 귀때기청봉2와 관모능선에서 각각 1,800개체/ha와 1,700개체/ha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 10년 동안 고사율은 귀때기청봉1과 설악폭포지에서 각각 38.3%와 3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TAG 개체군 동태, 연간 비대생장, 아고산 식생, 중요치, 흉고직경 분포, ANNUAL RING GROWTH, DBH-FREQUENCY DISTRIBUTION, POPULATION DYNAMICS, IMPORTANCE VALUE, SUBALPINE VEGETATION
한라산국립공원 소나무림의 공간분포 변화
김종갑 ( Jong-kab Kim ) , 고정군 ( Jung-goon Koh ) , 임형택 ( Hyeong-taek Yim ) , 김동순 ( Dong-so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9] 제33권 제5호, 578~586페이지(총9페이지)
한라산국립공원 내 소나무림의 공간분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6년과 2015년의 분포면적과 수관밀도를 조사하고 해발고도, 경사, 방위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5년 소나무림의 전체 면적은 1,259.9ha로 조사되었는데, 2006년 1,208.5ha에 비해 10년 동안 4.1%에 해당되는 51.4ha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의 수관 밀도가 11~40%에 해당되는 소밀도의 면적은 10년 동안 59.8ha가 증가하였고 41~70%에 해당되는 중밀도의 면적도 59.0ha가 증가하였으며, 71% 이상의 조밀한 소나무림은 67.3ha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2015년에 1,010∼1,400m 구간에서 전체 면적의 79.6%인 1,003.0ha로 가장 넓었으며, 1,100~1,30...
TAG 소나무, 수관밀도, 분포변화, 자생지 환경,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CROWN DENSITY, DISTRIBUTION CHANGE, HABITAT LOCATION ENVIRONMENT
도심 산지형 공원 능선부 식생유형에 따른 공기이온 평가 -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
김정호 ( Jeong Ho Kim ) , 이상훈 ( Sang Hoon Lee ) ,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9] 제33권 제5호, 587~595페이지(총9페이지)
도심 산지형 공원 내 식생유형별 요인이 공기이온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충주시 탄금대 공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측정지점은 능선부 내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에 따라 설정하였으며, 기상요소와 공기이온을 측정하였다. 공기이온 측정결과, 양이온 발생량은 평균 610.90±50.27ea/㎤, 음이온 발생량은 평균 723.58±64.25ea/㎤, 이온지수는 1.19±0.10 이였다. 식생유형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이온은 수종, 흉고직경, 층위구조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온지수와 식생유형과의 관계에서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 층위구조 모두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으며, 양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울폐도와 부의 상관관계, 음이온의 경우 수종, 흉고직경, ...
TAG 이온지수, 음이온, 수종, 울폐도, 층위구조, AIR ION INDEX, NEGATIVE, SPECIES, CROWN DENSITY, LAYERED STRUCTURE
연안 저질 SOD의 특성과 유발 영향인자에 대한 상관관계
김범근 ( Beom-geun Kim ) , 모하메드아케트키룰 ( Md Akhte Khirul ) , 권성현 ( Sung-hyun Kwon ) , 조대철 ( Dae-chul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9] 제33권 제5호, 596~604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퇴적물이 소모하는 산소량(SOD)과 환경 인자가 서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퇴적물 배양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실에서 용출 반응조를 설치하여 20일간 배양하였으며, 퇴적물에 존재하는 물질 중 P 및 Fe와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수층의 용존 산소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퇴적물의 산화환원전위 또한 음의 방향으로 진행되어 혐기적 환원환경이 조성되었다. 퇴적물 산소요구량(SOD)은 배양 초기 0.05mg/g로 측정되었으며, 20일차 0.09mg/g으로 퇴적물이 소모하는 산소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이는 chl-a의 증가로 퇴적물 표층에 축적된 유기물의 분해에 의한 산소 소모(Biological-SOD), 그리고 환원반응에 의해 생성된 금속 환원물이 재산화 할 경우 소...
TAG 퇴적물 산소요구량, 퇴적물 인 존재형태, 인 용출, 용존 산소, SEDIMENT OXYGEN DEMAND, PHOSPHORUS FRACTION, PHOSPHORUS RELEASE, DISSOLVE OXYGEN
합천호의 장기간 (2002~2017) 부영양화 특성, 경험적 모델 분석 및 몬순강도에 따른 시공간적 이화학적 수질 변이
강유진 ( Yu-jin Kang ) , 이상재 ( Sang- Jae Lee ) ,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9] 제33권 제5호, 605~61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합천호에서 2002~2017년까지 16년간의 장기간 동안 수질변수를 이용하여 부영양화 특성, 경험적 모델분석 및 몬순강도에 따른 수질변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장기간의 연별 수질 분석에서 합천호는 중영양 ~부영양 상태로 분석되었고, 계절별 수질분석에서 부영양화 현상은 하절기 이후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의 수질변이 특성은 유역의 점오염원 및 비점 오염원이 크게 변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매년 강우 사상 (집중 강우 vs. 약한 강우) 및 계절적인 강우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인(TP), 총질소(TN),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이온 농도변화는 건기해(Dry year)와 홍수해 (Wet year)의 비교분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 영양염류, 유기물 농도 및 이온농도 변동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
TAG 인(P), 수질, 부영양화, 경험적 모델, 엽록소-a, PHOSPHORUS, WATER QUALITY, EUTROPHICATION, EMPRICAL MODEL, CHLOROPHYLL-A
한국산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동면지점과 춘면지점의 특징에 관한 연구
박승민 ( Seoung-min Park ) , 최재혁 ( Jae-hyeok Choi ) , 강희진 ( Hee-jin Kang ) , 박혜린 ( Hye-rin Park ) , 천승주 ( Seung-ju Cheon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5(총1페이지)
서식지는 생물이 살아가고 번성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 포함된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다. 따라서 생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생물의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꺼비(Bufo gargarizans)는 국내에 서식하는 대형 양서류로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오염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줄고 있으며, 저수지에 산란하는 특징으로 산림과 저수지가 연결되어 있는 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또한 두꺼비는 일반적인 양서류와 달리 물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서 산림에서도 서식할 수 있으며 번식이 끝나면 한 달 정도 휴식을 취하는 ‘춘면’을 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착양서류인 두꺼비의 생태적인 이해와 종 보존을 위한 자료 수집의 일환으로 두꺼비들의 ‘동면’과 ‘춘면’이 이루어지는 서식지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부산광역시 해안림에 분포한 곰솔군락의 식생구조
신해선 ( Hae-seon Shin ) , 이상철 ( Sang-cheol Lee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강현미 ( Hyun-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6(총1페이지)
해안림이란 바닷가에 인접한 숲으로서 여러 생물들이 해안의 환경에 적응하며 이루어진 숲이다. 또한 바다와 내륙에 위치한 생태학적 전이지대로서 생물 다양성이나 자원집약도가 높으며 기술적·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국민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항구도시인 부산광역시는 남해안과 동해안이 만나는 접경지로 긴 해안선을 이루고 있으며 부산시 면적의 절반이상이 해안선을 끼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곰솔은 내염성이 강한 수종으로 동해, 서해, 남해안 지역과 제주, 울릉도에 자생하는 해안림의 대표적인 수종이다. 최근 곰솔해안림은 인간의 개발 및 각종 병해충으로 식물생리학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놓여있다. 특히 남부산림권역의 경우 해안림이 파편화로 인해 생태축이 단절되어 있어 종다양성 유지를 위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안림의 식생유형과 구조를 ...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부산광역시 식생구조 분석
장정은 ( Jung-eun Jang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이상철 ( Sang-cheol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7~28페이지(총2페이지)
사스레피나무(Eurya japonica)는 우리나라 제주도 해안가와 산지, 남해안 도서 및 남부지역에 흔히 자생하는 상록활엽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반음수로 양지에서 천연하종이 잘 되며, 5~8℃ 이상에서 월동하고, 13~21℃에서 잘 자란다. 건조하고 척박한 사질양토에 잘 자라며 내염성, 내조성이 강하고 수분요구도가 적어 남부지방의 절개지 혹은 사방지 조림에도 쓰이며 내공해 수종으로 공원수, 정원수, 생울타리로도 식재된다. 조경수 및 약용으로 쓰이는 것 외에도 사스레피나무는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식물의 분포 및 생육지의 확대 ·축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체군간의 경쟁, 외래종에 의한 침입, 지형의 변화, 인간의 간섭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다수 식물이 북상하는 가장큰 요인은 기후변화이다. 이러한 기후변화...
전국 보호지역 팔색조 생물계절 정밀관측 연구
최세준 ( Se-jun Choi ) , 정태준 ( Tae-jun Jung ) , 최대훈 ( Dae-hun Choi ) , 정승준 ( Seung-jun Jeong ) , 김윤재 ( Yoon-jae Kim ) , 조인호 ( In-ho Jo ) , 박태훈 ( Tae-hoon Park ) , 이병희 ( Byung-hee Lee ) , 송한석 ( Han-suk Song ) , 최태영 ( Tae-young Choi ) , 전영지 ( Jeon-young Ji ) ,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9(총1페이지)
팔색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자료목록 취약종(VU), 국립공원 깃대종 등으로 국제적 보호가치가 높은 종이다. 팔색조는 원래 남부 도서지방 및 남부 내륙에서 드물게 번식하는 종이었으며 최근에는 중부 내륙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나 전국 번식실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2019년 여름철 팔색조 번식울음을 정밀 관측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내륙 자연공원 및 람사습지 21개소이었다. 연구방법에서 송미터를 통한 생물음향 녹음은 시간당1분씩 24시간 매일 녹음하였다. 생물음향 분석은 24시간 매일 분석하였다. 생물음향 분석은 소노그램에 의한 시각화 분석과 청음분석을 병행하여 종을 식별하고, 해당 시간대에 종이 울면1점, 종이 울지 않으면 0점을 부여하였다. 조사기...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