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여치 서식지의 식물상과 생활형
송종원 ( Jong-won Song ) , 차두원 ( Doo-won Cha ) , 김진원 ( Jin-won Kim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0~31페이지(총2페이지)
여치(Gampsocleis sedakovii obscura)는 메뚜기목 여치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주로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여치는 예로부터 보릿대를 이용하여 여치집을 만들어 청음을 위해 길렀던 풍습이 있을 만큼 우리에게 친근한 곤충이며 현재에는 21세기 주요 산업 중 하나인 곤충산업의 대상 곤충 종중 하나로 등록이 되었다. 한반도는 여치 서식지의 남방한계선으로 1970~80년대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고 있으며 그 외의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여치 서식지에 대한 식물상과 생활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여치의 서식지의 특성을 분석하여 여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감소하고 있는 여치 서식지 복원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
관악산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회양목군락 식생구조 및 회양목 밀도 분포 특성
위사양 ( Si-yang Wei ) , 송종원 ( Jong-won Song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2(총1페이지)
회양목은 제주도, 전남 보길도, 경북 주왕산, 충북 단양, 강원영월 등지에 자생하고 있는 상록활엽관목으로 석회암지대에서 잘 자라며, 크게 자라는 경우 높이가 7m에 달한다.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서울시에서는 보기 드문 회양목군락이 넓은 면적에 걸쳐 자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2009년에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2011년~2012년에 서울시에서 정밀자연환경조사를 통하여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내의 식생분포 현황, 회양목 군락의 종구성 특성, 종다양도 등 생태적인 군락특성이 파악되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식생 천이, 환경 변화, 외부 교란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회양목의 군집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회양목 군락 자생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있지 않아 ...
한강 하구변 습지에 분포하는 버드나무속의 군락 구조 특성 연구
최지원 ( Ji-won Cho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3~34페이지(총2페이지)
하천변의 미소환경 변화는 하천변 고유의 특징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육상 생태계와 수생태계 사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그 역동성으로 인해 하천변에서는 일반적인 목본식물의 생육이 어려우므로, 효과적인 하천 복원을 위해서는 하천변에 자연적으로 생육하는 수종의 생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한강 하구에 위치한 버드나무속군락 연구는 일부 지역에만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본 연구는 서울 강서습지 생태공원과 고양 대덕 생태공원의 방화대교-마곡대교 일원에 위치한 버드나무군락을 대상으로, 입지 특성 변화와 이에 따른 버드나무속 군락의 변화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입지 특성에 따른 버드나무속 식생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8면 10월 현장 조사를 통해 버드나무속 군...
물들메나무림 군락 특성 및 분포 - 충북 민주지산을 대상으로 -
최동석 ( Dong-suk Choi ) , 안지영 ( Ji-young An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5(총1페이지)
물들메나무(Fraxinus chiisanensis)는 물푸레나무과(Oleaceae)물푸레나무속(Fraxinus) 식물로 낙엽교목이며 높이 30m, 지름1m까지 자란다. 경남 가야산·천황산, 전북 내장산·덕유산, 전남백운산·지리산, 강원도 덕항산에 분포하고 있다. 과거에는 들메나무와 물푸레나무의 자연교잡종으로 간주해 왔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물들메나무는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다른 물푸레나무속 식물과 구분되는 점은 꽃차례가 2년지에 달리며 꽃받침이 없으며, 겨울눈이 인편 없이 나출되어 있으며 표면에 갈색 털이 있는 점이다. 물들메나무는 한반도 특산식물, 환경부지정 국외반출승인대상종으로 지정되어있다. 조사 대상지인 충북 민주지산은 충청북도 영동군 용화면·상촌면, 전...
수변식생을 이용하여 3년 동안 동일 지점을 대상으로 금강의 건강성 평가 및 식생변화 분석
이승연 ( Seung-yeon Lee ) , 이응필 ( Eung-pill Lee ) , 김의주 ( Eui-joo Kim ) , 김지은 ( Ji-eun Kim ) , 박지원 ( Ji-won Park ) , 노재영 ( Jae-young No ) , 이정민 ( Jung-min Lee ) , 김민주 ( Min-joo Kim ) , 송석현 ( Seok-hyun Song ) , 김윤서 ( Yoon-seo Kim ) , 이승준 ( Seung-jun Lee ) , 조경미 ( Gyung-mi Cho ) , 유영한 ( Young-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9(총1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의 금강에서 동일지점을 대상으로 수변식생을 이용하여 금강의 건강성 평가와 식생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금강 수계 22개 지점에서 하천단면과 식생도를 작성하고, 식물군락과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후 수변식생 건강성 평가 기법인 수변식생지수를 구하였다. 또한 연도별 식물군락 유형변화를 분석하고자 집락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러한 식물군락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CC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수변식생지수는 2016년에 48.5‘보통(C등급)’, 2017년에 48.8‘보통(C등급)’, 그리고 2018년에 47.1‘보통(C등급)’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집락분석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Ⅰ.달뿌리풀-버드나무군락, Ⅱ.왕버들군락, Ⅲ.버드나무군락, Ⅳ.물억새-달뿌리풀군락, Ⅴ.아까시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CC...
APEX 모형을 활용한 논 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구체화 연구
이응경 ( Eung-kyoung Lee ) , 김경아 ( Kyoung-a Kim ) , 이응우 ( Eung-w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40~41페이지(총2페이지)
최근 생태계 계정의 개발, 생물다양성협약(CBD)에 따른 국가 또는 지역 생물다양성 전략의 수립, 지속가능 발전 전략의 구체적 수단 개발 등 다양한 정책적 수요에 의해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생태계 서비스 측정 방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부분적으로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8년 1월 국제 공통 생태계서비스 분류체계(CICES,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버전 5.1이 공개되었다. CICES는 구체적인 생태계서비스 평가 지표나 평가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으며 강제력을 지니는 규정도 아니다. 그러나 전세계의 수많은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개발되어 왔으며, 생태계서비스의 정의와 분류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이며 일관된 국제적 사고틀(framework)을 ...
천연기념물 비단벌레 서식 조사 현황(전남지역)
정은영 ( Eun-young Jeong ) , 이성경 ( Seong-kyeong Lee ) , 손석준 ( Seok-jun Son ) , 오정우 ( Jung-woo Oh ) , 현보라 ( Bo-ra Hyeon ) , 강정훈 ( Jung-hoo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42(총1페이지)
천연기념물 제496호 비단벌레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딱정벌레 중 아름다운 빛깔을 가진 곤충 중 하나다. 전체적으로 초록색 또는 금록색의 화려한 광택이 나며 앞가슴등판과 딱지날개에 붉은 세로줄무늬가 있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신라시대 왕실의 장신구와 마구(馬具)장식에 쓰이기도 하여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10월 8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안 일대와 일부 사찰지역으로 그 서식지가 한정적으로 알려져 왔다. 비단벌레의 기주식물은 주로 ‘팽나무’로써 비단벌레의\ 유충은 이 중에서도 노거수의 고사된 목질부를 파먹고 산다. 이러한 팽나무는 오랜 수명을 가지며 크게 자라고 따듯한 기후에 잘 자라는 특성상 해안지역 마을의 방풍림, 그늘목, 당산나무로 이용되어 왔으며, 일부 사찰 경내에도 분포한다. 그러나 이러한 먹이 및...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생태환경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기법
문호경 ( Ho-gyeong Moon ) , 김동필 ( Dong-pil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43(총1페이지)
UAV(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관련 기술이 발전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인공위성 및 항공영상에 비해 적은 운용비용으로 효과적인 자료의 취득이 가능하여 공간정보 수집에 대한 활용성이 높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무인항공기 자료를 활용한 연구는 초기 단계이며 특히 생태환경 분야에서의 공간정보 취득과 분석방법 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UAV를 통해취득 가능한 공간정보를 살펴보고 자료의 취득과 영상처리 기법,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정확성 평가와 한계점을 파악하여 UAV 자료의 효과적인 이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내·외 UAV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생태환경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연구 주제 및 주요 키워드를 ...
문화재안내판 현황 및 문제점 고찰 - 천연기념물(식물)을 중심으로 -
이나라 ( Nara Lee ) , 김태형 ( Tae Hyeong Kim ) , 신진호 ( Jin-ho Shin ) , 손지원 ( Ji-won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44(총1페이지)
안내판은 방문자와 소통하는 매체로써, 특히 문화재안내판은 역사 인식과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다. 문화재청은 2008년 문화재안내판 가이드라인을 마련했고 최근 문화재 안내판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해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안내판을 위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2018년 제시하였다. 2019년에는 전국 문화재안내판 개선 계획을 실시하여 안내판에 대한 현황과 모니터링을 실시한 바 있다. 천연기념물 식물은 전체 천연기념물의 약 60%에 해당하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문화재안내판을 통한 홍보, 정보제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세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천연기념물 식물 문화재안내판 69개소를 대상으로 외형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여 문제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고, 안내판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올바른 정보 제공 측면에서...
한강수계 수변생태벨트 식재수종 생육현황 및 관리방안
박태훈 ( Tae Hoon Park ) , 기경석 ( Kyong 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45(총1페이지)
수변구역은 하천 주변 토양, 동·식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하천의 흐름 조절, 물의 저장, 오염물질 제거,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등, 수문과 생태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하천의 수질관리를 위해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1998년 특별종합대책 수립 및 법 제정을 통해 수변구역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시작하였다. 기존의 대한민국의 하천 환경 관리정책은 하천의 생태적 기능보다 공학적 기능을 강조한 관리로 하천변이 상당수 인공화되고 생태계 교란을 초래하였다. 정부는 하천 생태계의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하천 생태계를 국토개발 및 관리정책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기존의 ‘수질환경보전법(1990년 제정)’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로 개정(2007년 5월)하여 이화학적인 하천 및 호소관리의 정책 방향...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