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생물음향 관측기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지표종 북방산개구리 생물계절 정밀관측 연구
최대훈 ( Dae-hun Choi ) , 정태준 ( Tae-jun Jung ) , 정승준 ( Seung-jun Jeong ) , 김윤재 ( Yoon-jae Kim ) , 조인호 ( In-ho Jo ) , 최세준 ( Se-jun Choi ) , 박태훈 ( Tae-hoon Park ) , 이병희 ( Byung-hee Lee ) , 송한석 ( Han-suk Song ) , 최태영 ( Tae-young Choi ) , 전영지 ( Jeon-young Ji ) ,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46(총1페이지)
기후변화지표종은 기후의 변화로 인하여 개체군의 생리나 분포 등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종으로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 북방산개구리는 국립생물자원관에서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국립공원공단에서 ‘계절 알리미 생물종’으로 선정되어 기후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대표적인 종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 주요 국립공원 내 습지에 서식하는 북방산개구리를 대상으로 번식울음 관측을 통한 생물계절 정밀관측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변화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연구대상지는 오대산, 북한산, 치악산, 소백산, 월악산, 계룡산, 무등산등 총 7개 국립공원에서 북방산개구리가 서식이 확인된 습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울음녹음은 Songmeter SM4(Wildlife Acoustics Inc, USA)를 이용하여 매시간 1분씩...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2구간 해발고에 따른 식생변화 및 특성
유승봉 ( Seung-bong Yu ) , 이상철 ( Sang-cheol Lee ) , 강현미 ( Hyun-mi Kang ) , 김영선 ( Young-seon Kim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신해선 ( Hae-seon Shin ) , 장정은 ( Jeong-eu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49(총1페이지)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서 자연공원법 제4조 및 제4조의2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한다. 무등산은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지정 이후, 2013년 3월 4일 제 2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국립공원의 중요한 기반시설중 하나인 탐방로는 공원 내 다양한 경관자원과 자연생태계를 탐방객과 역할을 하고 있다. 그중, 무등산국립공원 옛길 2구간은 원효사~서석대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오랫동안 탐방객의 출입이 통제되어 우수한 산림생태계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옛길2구간을 대상으로 한 식생구조특성과 해발고에 따른 식생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식생조사는 임내에 방형구(10×10m)를 설치하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으로 층위를 나누어 수관층위별로 매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람사르협약의 국제적 동향분석에 따른 람사르습지 한강밤섬의 관리계획 방향 설정
나미연 ( Mi-yeon Na ) , 김진원 ( Jin-won Kim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50(총1페이지)
한반도의 오랜 역사를 함께하며 6.25 한국 전쟁을 이겨낸 우리 선조들의 삶의 흔적을 담은 한강은 대한민국 전체 유역면적이 전 국토의 27%를 차지하고, 남한 국토 면적의 4분의 1인 25,9536㎢에 이른다. 유역인구가 2600만 명에 달하는 서울 한강의 중앙에 위치한 밤섬은 1968년 12월 여의도 개발을 위해 폭파된 이후, 자연적 퇴적작용을 거쳐서 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으며, 1986년 이후 한강종합개발이라는 끊임없는 개발과 인간의 간섭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서울의 가장 중요한 생태축과 야생동식물의 이동 통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러한 밤섬의 생태적 가치를 인정하여 1999년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1호로 지정·관리하고 있으며, 도심지내 습지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2012년 6월 21일 람사르협약에 의...
인왕산 소나무림 군집 특성 및 관리방안
차두원 ( Doo-won Cha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51~52페이지(총2페이지)
우리나라 산림은 국토면적의 64.2%로서 소나무림 면적은 전체 산림면적의 약 23.6%이다. 서울시의 경우, 산림면적은 14,425.0ha로 전체 면적의 23.72%에 해당되었으며 이 중 소나무림 면적은 1,967.0ha로 전체 산림의 13.63%를 차지하였다. 소나무 순림에 속하는 토지극상림과 순림이 각각 26.1%, 21.5%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지인 인왕산은 서울 내사산의 하나로 종로구와 서대문구 경계에 위치한다. 치마바위, 범바위 등 규모가 큰 암반과 틈 사이로 분포하는 소나무림이 잘 어우러져 수려한 자연경관으로 2007년 12월 27일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1968년 1월 21일 사태 이후 안보상의 이유로 25년간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생태적 측면이나 인문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
국립공원 유형별 생태계서비스 핵심 평가항목 및 지표선정
김진원 ( Jin-won Kim ) , 장진 ( Jin Jang ) , 반수홍 ( Su-hong Ban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53(총1페이지)
국내 보호지역은 생태적, 문화적 특성 등에 의하여 산악형, 해안·해상형, 사적형, 갯벌형, 하천형으로 구분 가능하다. 국립공원은 산약형, 해안·해상형, 사적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직 갯벌형, 하천형에 대한 지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내에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은 총 22개소인데 산약형(17개소, 77%), 해안·해상형(4개소, 18%), 사적형(1개소, 5%)으로 대부분 산악형에 속한다. 산악형 국립공원은 다시 위치 특성에 따라 북한산, 계룡산, 무등산국립공원과 같은 도심산악형 국립공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자연공원법에서 제시된 국립공원 지정 기준과 관리사항에서 국립공원 유형을 반영한 사항이 없어 자연자산 가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효과적인 관리수행도 어려운 실정이다. 생태계서비스 평가는 대상지가 제공하는 주요 가치 및 기...
GIS 공간분석을 활용한 북한의 백두대간 마루금 단절구간 탐지
유병혁 ( Byeong-hyeok Yu ) , 허학영 ( Hakyoung Heo ) , 정윤재 ( Yun-jae Cho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54(총1페이지)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지리산까지 이르는 한반도의 중심 산줄기이다.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총길이는 1,400km이며 이중 남한 지역은 701km로 보고된다. 백두대간은 한반도 핵심 생태축으로써 야생동 · 식물의 이동통로이자 서식지역할을 통해 우수한 자연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5년부터 백두대간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끊어진 백두대간 마루금을 탐지하고 복원하는 사업을 계속 추진되고 있다. 반면, 전체 백두대간의 절반에 달하는 북한 지역에 관해서는 알려진 연구가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GIS 공간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 백두대간 마루금의 단절 구간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단절구간 탐지는 북한 지역의 백두대간 마루금 전역을 대상으로 NASA 수치표고모형(DEM), UN OCHA 북한 행정경계,...
Recreation Ecology 관점에서 국립공원 탐방로 개설에 따른 식생 변화 - 설악산국립공원 곰배골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
정승준 ( Seung-jun Jeong ) , 권재환 ( Jai-hwan Gwon ) , 이선욱 ( Seon-uk Lee ) , 최대훈 ( Dae-hun Choi ) , 정태준 ( Tae-jun Jung ) , 최세준 ( Se-jun Choi ) , 조우 ( Woo Cho ) ,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55(총1페이지)
자연지역에서 인간에 의한 레크레이션 활동은 생태계의 여러 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보호지역 관리자는 레크리에이션에 의한 생태적 교란을 관리해야 하며, 교란에 의한 생태적 영향력을 충분히 파악한 후 어떤 변화를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을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국립공원은 국가 생태계의 핵심지역으로 관리가 되고 있으나 탐방객에 의한 식생, 동물 등의 생태적 영향에 대한 규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공원 신규 탐방로를 대상으로 탐방객에 의한 식생의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생태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곰배골 신규 탐방로로 2017년에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에서 개설한 귀둔리(곰배골 입구)-곰배령까지 3.4km 구간이다. 곰배골 탐방로는 과거 지역 주민들만이 극소적으로 이용했던 곳이며, 인간 영향이 거의 없는 곳이었다....
교과서를 통해본 백두대간과 정맥의 교육에 관한 연구
박현빈 ( Hyun-bin Park ) , 조혜련 ( Hye-ryeone Jo ) , 조아람 ( A-ram Jo ) , 윤종면 ( Jong-myeone Yoon ) , 김동필 ( Dong-pil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56(총1페이지)
조선시대 실학자 여암 신경준에 의해 1개의 대간, 1개의 정간 그리고 13개의 정맥으로 설정된 산맥체계는 산경표와 산경도로 현재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이는 일제의 자연자원수탈 등의 목적을 가지고 지질 구조선에 따라 설정된 근대 산맥체계와는 달리, 풍수지리학에 바탕을 둔 독특한 산지-분수계(산지분수령)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교과서에 실린 산맥체계는 일본의 지질학자 고토분지로(小藤文次郞)가 1903년에 발표한 조선산악론(朝鮮山嶽論)에 기초한 것으로 그동안 많은 학자들은 여러 가지 산맥지도를 제시했지만, 고토분지로(小藤文次郞)의 산맥체계를 답습해 왔다. 이는 20세기 초 일제가 조선 침략이 본격화되자 그들의 침략행위를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는 틀에 맞추려는 식민사관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체계이다. 산지와 산맥은 지형을 이루는 하나의 ...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심 내 뉴-그린 공간 도출
김세한 ( Se-han Kim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59~60페이지(총2페이지)
본 연구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숲의 조성과 식재 기술개발’에 앞서 포화된 도시공간에서 추가적인 도시숲 조성공간의 확보에 목적을 두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4년 한 해에 미세먼지로 인해 기대수명보다 일찍 사망하는 사람이 700만 명에 이른다고 발표하였으며,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2013년 10월 미세먼지를 인간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1군(Group 1) 발암물질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미세먼지(PM10)의 연평균 오염도는 2012년까지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나 2013년 이후 최근까지 정체되는 추세이며, 초미세먼지(PM2.5)의 경우 최근까지도 선진 주요 도시(도쿄, 런던) 대비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공기청정기 등 전자장비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방식은 효과적이긴 하지만 비용적...
거리협곡 내 가로수 식재구조에 의한 복사에너지 변화
최원준 ( Won-jun Choi ) , 이상훈 ( Sang-hoon Lee ) , 윤용한 ( Yong-han Yoon ) , 김정호 ( Jeong-h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61(총1페이지)
도심지 거리협곡의 경우 도로를 중심으로 고층 건물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있는 구조로 기상환경 악화 및 대기오염, 열환경 악화 등을 더욱 심화시킨다. 이러한 도심지 내 기상환경악화는 폭염과 같은 이상기후에 의한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피해가 가장 심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기후 연구에서 복사에너지는 열환경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기상요소로 작용하며, 복사에너지 관측을 통한 도심지 기상환경분석 연구는 도시 열환경 해석에 있어 유력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국외 연구의 경우 9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도심지 복사에너지 관측 및 모니터링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최근 광학 및 물리학 분야에서 정밀한 복사에너지 측정 연구 및 차량 및 굴뚝에서 분출되는 매연의 온도측정과 같은 응용 분야 발달에 이르렀으며 이에 대한 열환경 변화 및 영향력 분석과 같은 연구가 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