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추계산란종 납지리, Acheilognathus rhombeus (Pisces: Acheilognathinae)의 말조개, Unio douglasiae 내 산란과 적응특성
김형수 ( Hyeongsu Kim ) , 박종성 ( Jongsung Park ) , 김현태 ( Hyunt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4호, 274~281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2015년 8월부터 2016년 7월까지 납지리의 말조개 내 산란과 적응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만경강 봉서천일대에서 수행하였다. 납지리의 산란기는 9-11월까지로 추정되었고 성숙한 암컷에서 확인된 알수는 17-75개(36.2± 16.44)였다. 조사기간 동안 확인된 조개는 476개체이었고 납지리의 산란이 확인된 조개는 129개체(27.1%)였다. 납지리의 알과 자어가 산란된 조개(46.3 ± 4.55 mm, n = 129)가 산란되지 않은 조개(42.6 ± 8.51 mm, n = 347)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구가 형성되기 전 납지리 자어와 형성된 후 자어의 출현 비율은 2015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는 99.8% (n = 597) vs. 0.2% (n = 1)이었고, 4월에는 25.6% (n = 23)...
TAG 산란특성, 숙주-기생, 공진화, 난 발생, 배아적 휴면, SPAWNING CHARACTERISTICS, HOST-PARASITES, COEVOLUTION, EGG DEVELOPMENT, EMBRYONIC DIAPAUSE
관평천 개발에 따른 장기간 어류 생태적 특성 변화 및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오자윤 ( Ja Yun Oh ) , 이상재 ( Sang-jae Lee ) ,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4호, 282~293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009-2019년 기간 동안 대전시 외곽의 도심개발에 따른 인근 하천(관평천)의 상류, 중류, 하류의 구간에서 4회 조사(2009, 2010, 2016, 2019)를 통해 이화학적 수질, 어류 종 조성, 생태 건강성 특성에 대해 장기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본 하천지역에서 도심개발은 2008년에 이루어졌고, 2012년에는 하천복원사업이 수행되어 하천복원 전과 후의특성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천 생태건강도 평가를 위해 군집수준의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를 이용하였고, 어류의 기관(Organ) 수준에서 해부학적 건강도(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에서는 중류(St. 2)에서...
TAG 하천복원, 어류 종 조성, 어류평가지수, 생태건강도 평가, STREAM RESTORATION, FISH COMPOSITION, FAI, ECOLOGICAL HEALTH
영남권 사찰림일대 소나무장령림의 미기후 조절 효과 연구
홍석환 ( Suk-hwan Hong ) , 안미연 ( Mi-yeon An ) , 강래열 ( Rae-yeol Kang ) , 최송현 ( Song-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4호, 294~303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경남지역 내 소나무 장령림이 안정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사찰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온도 및 습도의 미기상변화 특성과 식생분포특성을 비교하여 소나무장령림의 미기후 조절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국내에서 소나무 장령림의 안정적 생육지로 알려진 합천 해인사, 부산 범어사, 양산 통도사 및 경주 불국사 일대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생분포현황 분석결과 이들 소나무림은 알려진 바와는 달리 소나무림의 면적비율이 월등히 높지는 않았는데, 통도사 주변을 제외하면 소나무림보다 낙엽활엽수림 및 혼효림의 우점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미기상데이터 측정 결과 통도사는 다른세 지역과는 달리 미기후 특성이 크게 차이가 있었는데, 다른 세 지역의 경우 온도 및 습도의 일교차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통도사는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통도사...
TAG 소나무림, 사찰림, 통도사, 불국사, 해인사, 범어사, PINE FOREST, TEMPLE FOREST, TONGDO-SA, TEMPLE, BULGUK-SA, TEMPLE, HAEIN-SA, TEMPLE, BEOMEO-SA, TEMPLE
정량적 식생분석을 통한 금남호남·호남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 특성
박석곤 ( Seok-gon Park ) , 강현미 ( Hyun-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4호, 304~317페이지(총14페이지)
금남호남·호남정맥 마루금 일대 식생구조를 알기 위해 입지환경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금남호남정맥 2곳, 호남정맥 4곳을 중점조사지로 골라 식생조사를 실시했다. TWINSPAN을 써서 두 정맥은 각각 7개씩의 식물군락으로 유형화됐다. TWINSPAN기법의 식별종은 식물군락의 환경요인을 간접적으로 대변하는데 두 정맥의 군락 유형은 해발고, 토양수분, 교란등의 환경요인에 의해 분할됐다. 이 결과는 DCA 1축의 환경요인과 조화를 이루었다. 두 정맥은 모두 저지대에선 리기다소나무, 곰솔 등의 조림수종과 자생종이 서로 경쟁 관계에 있었다. 이처럼 정맥의 저지대는 조림, 개발사업 등으로 인위적 식생교란이 심한 편이었다. 상대적으로 고지대의 능선부·상부사면·정상부는 신갈나무·굴참나무·소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유형이 양호하게 보전됐다. 차이점으론 금남호남정맥은 ...
TAG TWINSPAN, 환경요인, 식별종, 아치효과, ARCH EFFECT, ENVIRONMENTAL FACTOR, DIFFERENTILAL SPECIES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신갈나무우점군락 특성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중심으로-
강현미 ( Hyun-mi Kang ) , 김동효 ( Dong-hyo Kim ) , 박석곤 ( Seok-go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4호, 318~333페이지(총16페이지)
낙동정맥은 강원도 태백시에서부터 부산광역시까지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온대림에서 난대림까지 폭넓은 산림대를 포함하고 있다. 백두대간과 정맥에서 가장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신갈나무우점군락의 낙동정맥 내에서의 식생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대표적인 6곳(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선정하여 신갈나무우점 군락을 조사하였다. 6곳의 조사지역의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5% 이상으로 확인되었으며, 아교목층에서는 철쭉, 쇠물푸레나무 등이 관목층에서는 쇠물푸레나무, 조록싸리, 미역줄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TWINSPAN에 의해 분리된 4개 군락의 교목층 신갈나무의 상대우점치는 80% 이상이며,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지역별 우점종이 동일하게 우점하였다. 현재 신갈나무는 교목층에 이어 아교목층에서도 확인되어지고 있어 ...
TAG 극상, 천이, 온대림, 쇠물푸레나무, 미역줄나무, SUCCESSION, CLIMAX, TEMPERATE FOREST, Fraxinus sieboldiana, Tripterygium regelii
연엽산 산지계류에 있어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특성
장수진 ( Su-jin Jang ) , 남수연 ( Sooyoun Nam ) , 김석우 ( Suk-woo Kim ) , 구효빈 ( Hyo-bin Koo ) , 김지현 ( Ji-hyeon Kim ) , 이윤태 ( Youn-tae Lee ) , 전근우 ( Kun-woo Chu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4호, 334~344페이지(총11페이지)
연엽산 산지계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24과 44종 658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참납작하루살이(Ecdyonurus dracon Kluge)가 13%로 우점하였다. 서식습성군으로는 붙는 무리(56%), 굴파는 무리(19%), 헤엄치는 무리(14%) 및 기는 무리(56%)의 총 4군집이 확인되었고, 1개소(UP1)를 제외한 모든 조사지점에서 붙는 무리가 우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식특성은 서식처의 유속, 수심, 계상재료 등 수리학적 요인과 용존산소, 수온 등 수질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유수가 정체하는 소(pool)보다는 유속이 빠른 여울(riffle, step-riffle)에서 그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울에서는 수심과 관계없이 계상의 유속이 빠르고 계상재료의 중앙입경과 최대입경이 클수록 서식처...
TAG 서식습성군, 산지계류, 울폐도, 계상재료, 미소서식처, HABIT CATEGORIES, FORESTED STREAMS, CROWN DENSITY, SUBSTRATE, MICRO-HABITAT
토양개량제와 수크령 식재에 따른 고농도 염화칼슘 염분저감 효과 비교
양지 ( Ji Yang ) , 박재현 ( Jae-hyeon Park ) , 윤용한 ( Yong-han Yoon ) , 주진희 ( Jin-hee Ju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4호, 345~35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고농도 염화칼슘 처리 토양에서 토양개량제인 하이드로볼, 활성탄의 처리와 수크령 식재 유무에 따른 토양침출수의 화학적 특성과 토양 내 염분 저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고농도 제설제처리 염분토양에서 토양개량제 하이드로볼, 활성탄의 염분 저감 효과 및 수크령의 식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유리온실에 직경 10 cm, 높이 9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수크령을 식재하고 무처리 (Cont.), 하이드로볼 (H), 활성탄 (AC), 수크령식재(P), 하이드로볼 + 수크령식재 (H + P), 활성탄 + 수크령식재 (AC + P) 총 6개의 처리구로 나누었다. 염화칼슘 (CaCl2)처리는 10 mg/L 농도의 수용액을 조제하여 2주 간격 1회 200mL씩 분주하였다. 토양침출수 분석은 pH와...
TAG 토양제염, 내염성식물, 염스트레스, 식물정화, 토양침출수, SALT REDUCTION, SALT-TOLERANT PLANTS, SALT STRESS, PHYTOREMEDIATION, SOIL LEACHATE
낙동강하류 교량간격에 따른 큰고니(Cygnus cygnus) 월동개체수 차이 연구
홍석환 ( Suk-hwan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3호, 191~197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큰고니의 국내 최대 월동지인 낙동강하구일대 중 낙동강하류부를 대상으로 교량구간별 큰고니 월동개체의 서식처 선호도 차이를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2018~2019년 월동기 동안 6개 시계열로 구분하여 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한 결과 낙동강하류에서 최대 500여 마리의 큰고니가 월동하고 있었다. 하천을 가로지르는 교량을 기준으로 총 7개 구간을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큰고니는 교량과 교량사이가 2㎞ 이내로 협소한 5개 구간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4㎞이상의 2개 구간에서만 안정적 개체군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인위적 간섭이 상대적으로 적어 큰고니의 주 서식지가 되고 있는 낙동강 하구로부터의 거리와는 관련이 없었다. 멸종위기종인 큰고니 월동에 있어 안정적 경계공간 확보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이에 멸종...
TAG 낙동강하구, 월동지, 월동개체, 시계열분석, 하천생태계, NAKDONG RIVER ESTUARY, WINTERING HABITAT, WINTERING POPULATION, TIME SERIES ANALYSIS, STREAM ECOSYSTEM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한 구상나무 피해실태 및 가해 의심종 구명
박홍철 ( Hong-chul Park ) , 김혜리 ( Hye-ri Kim ) , 김지영 ( Ji-young Kim ) , 김현호 ( Hyeon-ho Kim ) , 허덕경 ( Deok-gyeong Heo ) , 이호 ( H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3호, 198~206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세석평전 일대 설치류에 의한 수목피해실태를 조사하고, 피해목 주변에서 확인된 설치류 배설물분석을 통하여 가해 의심종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피해목 조사는 대상지 내 탐방로를 중심으로 접근과 육안관찰이 가능한 지역에 한해 수종에 관계없이 실시하였으며, 가해 의심종 확인을 위해 피해목 주변 설치류 배설물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 Cyt-b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설치류에 의한 피해목은 총 52개체로 모두 구상나무로 확인되었으며, 구상나무가 높은 밀도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곳에서 집중되어 있었다. 수고 1.5m 이상 구상나무가 40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39개체는 피해 입은 가지부만 고사한 것으로 나타나 수목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고 1.5m 미만 구상나무는 12개체가 조사되었으며, 이중 7개체는 완전히 고사한 것으로...
TAG 아고산, 수목고사, 배설물, 설치류, 대륙밭쥐, SUBALPINE, WITHER, EXCRETA, RODENTS, CRASEOMYS REGULUS
농약류(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가 두꺼비(Bufo Gargarizans)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고선근 ( Sun-kun K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3호, 207~215페이지(총9페이지)
농약류 3종의 독성평가를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국내에 서식 중인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Benomyl(살균제), Carbofuran(살충제), Thiobencarb(제초제)의 영향을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다.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50)은 각각 1.03, 8.74, 4.98...
TAG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 FETAX, 기형유발, 농약류, 생물독성, 두꺼비, 배아발생,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 TERATOGEN, PESTICIDES, BIOLOGICAL TOXICITY, EMBRYO DEVELOPMEN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