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구과학회319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황해 동부 연안의 홀로세 해수면 변화: 대리기록과 관측자료를 통한 재검토
이은일 ( Eunil Lee ) , 장태수 ( Tae Soo Chang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6호, 520~532페이지(총13페이지)
황해 동부 해안의 홀로세 해수면 변동 특성을 이해하고 시기 별 상승추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질학적 대리기록과 기기관측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하였다. 홀로세 동안 황해의 해수면은 초기에 약 10 mm/yr의 속도로 빠르게 상승하고 중기를 거쳐 후기로 갈수록 해수면 상승률은 1 mm/yr 정도로 둔화되며, 20세기 해수면은 홀로세 후기보다 다소 빠르게 상승하였다. 빠른 상승으로 알려진 현재 해수면 상승률은 홀로세 초기와 중기의 상승추세와 비교할 때 사실 훨씬 낮거나 비슷하게 나타난다. 최근 조위계 자료는 황해 해수면이 21세기로 갈수록 상승률이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전 지구적 해수면 변화와 일치한다. 추가적으로, 연구지역에서 현재의 해수면 상승 추세는 이산화탄소 농도와 해수표층온도의 증가율과 대비되며, 이는 인간활동에 수...
TAG 황해, 해수면, 대리기록, 조위계, 인류세, the Yellow Sea, sea level, proxy records, tide-gauge, Anthropocene
한국 서남해안 고창 해빈의 표층 지형 변화 특성
강솔잎 ( Sol Ip Kang ) , 양우헌 ( Woo Hun Ryang ) , 전승수 ( Seung Soo Chun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6호, 533~542페이지(총10페이지)
고창 해빈은 황해의 동편, 한국 서남해 연안에 위치하며,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동호리, 광승리, 명사십리 해빈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은 대조차, 개방형, 직선형 해안, 모래 저질의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고창 해빈에서 표층 지형 변화와 퇴적물 집적률의 연평균과 계절 특성을 연구하였다. 2014년 겨울(2월), 봄(5월), 여름(8월), 가을(11월)과 2015년 겨울(2월)의 5계절 동안, 3개 측선을 따라 총 315개 지점에서 지형 고도를 측정하였다. 해안선에 수직인 각 측선은 30 m 간격의 21 지점으로 구성된다. 고창 해빈의 2014년 연평균 집적률은 .0.081 m/yr로 침식이 우세하였다. 지역별 연평균 집적률은 동호리 해빈 .0.091 m/yr, 광승리 해빈 .0.051 m/yr, 명사십리 해빈 .0.10 m/yr로 나타났...
TAG 고창 해빈, 지형 변화, 집적률, 대조차, 개방형, Gochang beach, topography variation, accumulation rate, macro-tide, open-coast
구미 천생산 타포니의 풍화과정에 관한 연구: GIS 보간법을 활용한 함수율 측정 자료의 해석
신재열 ( Jae Ryul Shin ) , 이진국 ( Jin Kook Lee ) , 추창오 ( Chang Oh Choo ) , 박경근 ( Kyung Gun Park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6호, 544~553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경상북도 구미시 천생산 지역에서 발달하는 타포니를 대상으로 암석의 풍화 과정 및 타포니의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지역의 타포니 발달은 조립질 퇴적암인 역암과 역질사암에서 발생빈도가 높으며 타포니의 발생은 역의 이탈 및 박리가 발생한 지점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형적으로 산지의 남사면 암석 노출지에서 타포니의 집중적 발달이 관찰되는데, 이는 겨울철 기계적 풍화와 여름철 화학적 풍화의 진행이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적 조건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타포니가 발달한 암석 표면에서 측정한 함수율의 분포 특성은 타포니 발생 지점이 주변에 비해 높은 함수율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어 암석 내의 수분은 어떤 기제로든 타포니 발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타포니 내에서 확인되는 풍화 침전물 및 이차광물에 관한 분석은 후속 연구로 ...
TAG 암석 풍화, 타포니, 조립질 퇴적암, 함수율, GIS 보간법, rock weathering, tafoni, coarse sedimentary rock, water content rate, GIS interpolation analysis
수도권 지역의 고해상도 WRF 모델 기반 연직 해상도 및 경계층 모수화 방안 민감도 실험
임아영 ( A Young Lim ) , 노준우 ( Joon Woo Roh ) , 지준범 ( Joon Bum Jee ) , 최영진 ( Young Jean Choi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6호, 553~566페이지(총14페이지)
수도권 지역의 고해상도 수치실험에 있어 연직 해상도와 대기경계층 모수화 방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WRF모델을 이용하여 2013년 10월 25일 0000 UTC 부터 10월 26일 0000 UTC까지 수치 적분을 수행하였다. 수치 결과는 서울 남부에 위치한 선릉지역에서 관측된 6시간 간격의 라디오존데 자료와 서울지역의 43개 자동 기상 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대기 하층의 연직해상도 비교 실험은 연직 44, 50, 60개의 층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약 2 km고도 이하의 층을 세분화하였다. 연직 해상도가 가장 높은 60개층 실험에서 대기경계층 고도의 일 변동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고, 특히 산악 지형과 같은 고지대에서는 대기경계층 고도와 10 m 바람장에서 연직해상도 실험 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WRF 모델 내...
TAG 대기 경계층, 라디오존데, 연직 해상도, 물리 모수화, planetary boundary layer, radiosonde, vertical resolution, parameterization
중규모 기상 모델을 이용한 안개 사례의 초기장 및 자료동화 민감도 분석
강미선 ( Mi Sun Kang ) , 임윤규 ( Yun Kyu Lim ) , 조창범 ( Chang Bum Cho ) , 김규랑 ( Kyu Rang Kim ) , 박준상 ( Jun Sang Park ) , 김백조 ( Baek Jo K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6호, 567~579페이지(총13페이지)
중규모 기상 모델을 이용하여 안개와 같은 미세규모 국지현상을 정확히 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수치모델의 초기 입력 자료의 불확도는 수치모델의 예측 정확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자료동화 과정이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델을 이용하여 낙동강 지역에서 발생한 여름철 안개사례 재현실험을 대상으로 중규모 기상 모델의 한계를 검증하였다. 중규모 기상 모델에서 초기 및 경계장으로 사용되는 KLAPS (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와 LDAPS (Loc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분석장 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모델 모의 정확도 ...
TAG 중규모모델, 자료동화, 안개, 초기경계조건, 민감도, mesoscale model, data assimilation, fog,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 sensitivity
과학 영재 학생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오준영 ( Jun Young Oh ) , 이현동 ( Hyun Dong Lee ) , 이효녕 ( Hyo Nyong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6호, 580~590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지식, 중요성, 과학 동기 사이에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기존에 수행되지 않았던 내용을 다루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는 K 대학 부설 과학영 재교육원 소속 중등 융합과학반 학생 93명을 대상으로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 과학 동기를 분석할 수 있는 설문지를 투입하고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중요성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구계에 대한 지식은 과학 동기에 상관계수 .656으로 높은 상관을 보여주었다. 반면 지구계에 대한 중요성은 과학 동기와 .387로 다소 낮은 상관이 나왔다. 높은 상관을 보여준 지구계에 대한 지식과 과학 동기의 회귀분석을 통해 그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과학 동기의 총 변화량의 43...
TAG 지구계, 지구계 교육, 과학 영재 학생, 과학 동기, 지구계의 지식과 중요성, Earth systems, science motivation, science gifted student, knowledge and importance of Earth systems
중학교 과학 천문 수업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 분석: 별과 우주 단원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 사례
오현석 ( Hyun Seok Oh ) , 이기영 ( Ki Young Lee ) , 박영신 ( Young Shin Park ) , 맹승호 ( Seung Ho Maeng ) , 이정아 ( Jeong A Lee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6호, 591~608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
TAG 시스템 사고, 시스템 사고 분석틀, 천문 수업, 천문학적 사고, system thinking, framework for systems thinking analysis, astronomy class, astronomical thinking
High Dispersion Spectra of the Young Planetary Nebula NGC 7027
( Siek Hyung ) , ( Seong Jae Lee ) , ( Jang Hee Bok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5호, 419~426페이지(총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
TAG interstellar matters, planetary nebulae, individual (NGC 7027), forbidden line, kinematics
Properties of Brightest Cluster Galaxies as a Function of Cluster Classification Type
( Heungjin Eom ) , ( Hyunjin Shim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5호, 427~436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
TAG galaxy clusters, brightest cluster galaxy, galaxy evolu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Edge Detection Methods in Magnetic Data
( Taehwan Jeon ) , ( Hyoungrea Rim ) , ( Yeong Sue Park )  한국지구과학회, 한국지구과학회지 [2015] 제36권 제5호, 437~446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
TAG edge detection, magnetic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