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699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디지털 매체와 도시공간의 변화에 대응하는 영화 전략 연구 -페드로 코스타, 가이 매딘, 톰 앤더슨의 작품을 중심으로-
성진모 ( Jin Mo Sung ) , 오준호 ( Jun Ho Oh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139~148페이지(총10페이지)
최근 도시공간을 다루는 영화들은 두 가지 차원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첫째, 영화매체의 디지털화로 인해 필름에서 확고했던 존재론적 지시성이 흔들리고 있고 둘째, 세계화로 인해 도시공간이 획일화되면서 장소성이 사라지고 있다. 이 두 가지 문제들로 인해 영화는 도시공간의 고유한 특성을 담아내는 실존적 지시능력을 상실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도시이미지의 지표성의 위기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고 있는 세 편의 영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페드로 코스타의 <반다의 방>, 가이 매딘의 <마이 위니펙>, 톰 앤더슨의 <로스엔젤레스 자화상>은 각각 철거와 철거민의 문제, 사적 기억을 통한 도시이미지, 도시공간을 다룬 과거영화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주제들은 과거 도시공간을 다룬 영화들에게 이미 익숙한 주제들이다. 하지만 위의 세 편의 영화는 과거...
TAG 영화적 도시성, 지표성, 장소성, Cinematic Urbanism, Indexicality, Placeness
프랑스 신도시 환경예술작품의 특징에 관한 연구
송복섭 ( Bok Shub S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151~16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환경예술관련 프랑스의 선진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도시환경의 질 향상을 위해 관련 정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우리의 입장에서 발전적 본보기로 삼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도시 건설이라는 호재를 이용하여 도시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련한 실험적 환경예술 정책을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짐에 따라 정책담당자 뿐만 아니라 건축가 등 이해 당사자가 혁신적 시도를 활발히 추진하였다. 둘째, 정부는 환경예술을 ‘1%법’이라는 사적영역에만 맡기지 않고 문화지원기금 조성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펼침으로서 변화를 이끌고 주도하였다. 셋째, 도시를 생산하는 여러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업방식을 공공이 고무하고 지원하였다. 넷째, ...
TAG 환경예술, 프랑스 신도시, 랜드마크, 도시경관, 1%법, Environmental art, Newtown in France, Landmark, Urban landscape, 1% for art
체현감각: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송원진 ( Won Jin Song ) , 윤준성 ( Jun Sung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163~172페이지(총10페이지)
본 논문은 뉴미디어 예술을 경험할 때 인간의 신체와 정신, 뉴미디어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험을 ‘체현감각(Embodied Sense)’이라 부를 수 있음을 제안하고, 동시대 뉴미디어 예술작품들을 사례로 분석하여 체현감각의 이해를 구체화 한다.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와 인지 언어학자인 조지 레이코프(George P. Lakoff)는 인간의 감각이 단순히 물리적 신체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주장했고,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맥루언(Marshall McLuhan) 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인간의 감각이 확장됨을 주장했다. 이러한 인간의 감각과 미디어에 관한 두 가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뉴미디어 예술에서 인간의 신체, 이성, 미디어를 구분하는 것보다 긴밀한 관계와 상호작...
TAG 체현감각, 뉴미디어 예술, 상호작용성, embodied sense, new media art, interacyivity
CaO, K2O 및 SiO2 조성 변화에 관한 투명유약 연구
송준규 ( Jung Yu S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175~183페이지(총9페이지)
유약이란 도자기의 표면에 얇게 씌워서 광택과 색채 또는 무늬를 내어주는 유리질의 분말을 칭한다. 유약의 주성분은 규석질, 실리카질로써 주성분은 SiO2로 되어있다. 유약을 그릇의 표면에 입히고 적정온도에서 용융시키면 유리질화 되어 도자기 표면에 융착된다. 유약이 입혀진 도자기는 기물자체의 강도가 강해지고 흡수성이 없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알카리성이나 산성 등에 강하하여 위생적이며 또한 색채가 아름답고, 기물의 표면이 매끄럽고 깨끗하여 세척이 용이하다. 유약의 출발이 되는 투명유약은 매우 중요하다. 유약의 조성을 연구하기 위해 CaO, K2O, 그리고 SiO2의 첨가량을 변화시키고, 소성온도를 변화를 통해 유약의 투명도, 용융성 조절, 크랙발생 그리고 기계적 물성을 조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실험방법으로는 본인이 사용하는 투명유약과 소지의 화...
TAG 투명유, 투명유 조성 투명유, Clear Glaze, CaO, K2O, SiO2
알칼리 가공을 활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염색 연구
안은정 ( Eun Jioung A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185~193페이지(총9페이지)
현대는 합성섬유의 단점을 보안하고 천연섬유의 장점을 부합시켜 과학적인 개발을 통해 심미성과 고부가가치의 섬유소재를 추구하는 경향이 더욱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합성섬유 중 의류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흡습성이 적기 때문에 정전기의 발생에 의한 먼지의 흡착으로 인해 때가 잘 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 연구 중 알칼리 감량가공을 통해 천연섬유와 같은 섬유 표면의 태를 향상시키고 유연성, 드레이프성, 촉감, 흡수성을 증가시켜 견과 같은 감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감량가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NaOH 처리 전·후의 외관변화를 통한 감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감량가공 전·후의 시간...
TAG 알칼리 가공, 폴리에스테르, 염색의 색차, Alkali Treatment, Polyester, Color Difference of Dyeing
서울시 도시공원의 경관조명디자인 현황 연구
양정순 ( Jung Soon Yang ) , 김현중 ( Hyun Joong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195~208페이지(총14페이지)
도시공원 경관조명디자인은 물리적 공간을 빛으로 재해석하여 또 다른 지각적 공간을 창출하는 과정이며 이렇게 형성된 야간경관은 이용자의 행위 가치체계가 되어 그 곳의 행태패턴을 형성하고 다양한 공간 규모에서 사회적 의미를 재생산하여 도시공원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야간 도시공원의 사회적 중요성과 경관조명의 가치를 인식하고 서울시 도시공원의 경관조명디자인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과정은 먼저 경관조명 관련 법령과 서울시 경관조명 관리절차를 분석과정에서 행정 문제점과 경관조명 지침으로 광범위하고 모호한 KS조도기준 만을 활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경관조명 기준 및 지침의 역할과 중요성을 파악하여 국외의 CIE와 IES, IESNA, BS, SLL, JIS, IEIJ과 국내의 KS 조명관련 지침 및 기...
TAG 도시공원 야간경관, 경관조명디자인, 경관조명 기준, 경관조명디자인 지침, Nightscape of Urban parks, Landscape lighting design, Landscape lighting standard, lighting design guidelines
1970년대 한국화의 오브제 표현에 대한 연구
오세권 ( Se Kwon Oh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211~221페이지(총11페이지)
1970년대 한국화 분야에서는 1960년대 서양의 앙포르멜 미술과 1970년대 미니멀 미술의 상황을 직접 경험하면서 ‘한국화``를 정립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시기였다. 그러한 가운데 실험적인 표현은 계속 되었으며 여러 가지 재료의 오브제를 사용하기도 하였다.오브제(Object)는 사물, 물체, 대상, 물건, 물품, 객체를 의미한다. 미술에서는 주제에 대응하여 합리적 의식을 파괴하는 ‘물체 본연의 존재방식’을 가리키는데 입체주의의 꼴라쥬로부터 시작하여 그 시대의 생활방식이나 산업생산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화 분야에서는 1960년대 들면서 안상철, 안동숙, 이응로, 권영우 등에 의해 오브제 작품들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1960년대의 실험적 표현은 1970년대와 그 이후로 이어졌다. 1970년대 오브제를 사용한 대...
TAG 오브제, 한국화, 1970년대, 콜라주, Objet, Korean Style Painting, 1970s, Collage
스피노자의 "실체"와 "양태"개념을 통한 프랭크 게리 건축의 표현특성 연구
유수정 ( Soo Jeong Yu ) , 홍지나 ( Ji Na Hong ) , 윤재은 ( Jaee 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223~232페이지(총10페이지)
현대의 건축공간은 공간 그 자체에 의미를 두기보다 공간이 인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어떻게 지각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다원화된 사회로부터 인식의 사유 또한 변화하게 되어 유형적 가치에 머물렀던 과거와는 반대로 무형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현대에 와서 공간개념에 대한 본질적 의미로서의 접근은 보다 근원적 공간연출과 동시에 새로운 철학적 공간으로 자기 매김하고 있다. 현대 사회의 대표적인 해체주의 건축가 프랭크 게리는 개성적이고 독특한 형태로 나타나는 자신만의 확고한 디자인을 가지며 실험적인 시도와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스피노자의 ‘실체’와 ‘양태’의 개념을 분석하여 이러한 특성들이 프랭크 게리의 작품 특성과 어떠한 관계성을 담고 있는지 보여주고자 한다. 이에 건축의 본질적 의미를...
TAG 스피노자, 실체, 양태, 프랭크 게리, Spinoza, Subsistere, mode, Frank O.Gehry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활자가족으로 이탤릭체 연구 -네모틀 디지털 돋움체의 오블리크 스타일을 중심으로-
유정숙 ( Jung Sook Yoo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235~24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다양한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시대적 요구 아래 현재 한글 활자가족에서는 정립되지 않은 이탤릭 활자로서 오블리크 스타일과 그 개발에 대한 기초연구이다. 한글 돋움체의 오블리크 스타일을 위한 기준 정립과 그 체계의 구축 확립을 위한 목적아래, 서구 알파벳 활자가족의 역사와 이탤릭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와 함께 한글 디지털 돋움체의 오블리크 스타일 실험과 분석을 통해 그에 상응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실험에서 기준으로 설정된 기울기 8도, 10도, 12도를 바탕으로 돋움체의 기초조형요소, 자모합성 및 타이포그래피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기본 줄기 및 대표 자음인 “ㅋ”, “ㅌ”, “ㅁ”, “ㅈ”, “ㅇ” 과 모음에서 두드러진 주요특징으로는 가로 및 세로줄기, 덧 줄기, 삐침, 내리점, 동글 이응 등에서 줄기의 굵기, 길이의 착시 ...
TAG 디지털 돋움체 활자가족, 이탤릭, 오블리크, 기울기와 시지각, digital Dodum type family, italic, oblique, angle & visual perception
지역연계 관학협력 환경디자인 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윤명한 ( Myung Ha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4] 제15권 제3호, 251~260페이지(총10페이지)
환경디자인은 건축, 조경, 도시계획 등과 함께 토지를 중심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적인 개념보다는 공적인 개념이 강조되는 실무중심 교육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적인 공공성을 강조해야 하기 때문에 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과의 실무연계성이 강조되어야 한다. 연구의 내용은 환경디자인교육의 개념 및 학제적 영역과 교육특성을 통해 관학협력의 필요성, 중요성, 역할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는 본 연구자가 2005년부터 담당하고 있는 환경디자인 분야 교과목인 "지역개발디자인"의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관학협력 환경디자인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특성화 측면에서의 실무중심, 현장실습중심의 교육전략을 제시하고, 지역연계 관학협력 환경디자인 교육 체계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사례분석을 통해 관학협력의 장점으로 협동심, 실무능력 향상, 취업경쟁력강화, 창의교육 ...
TAG 관학협력, 실무교육, PBL캡스톤디자인, cooperation with Government and University, practical education, PBL capstone design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