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지적장애연구7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수업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이순자 ( Lee Soon-ja ) , 박상희 ( Park Sang-h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4호, 87~128페이지(총42페이지)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및 수업전문성의 양상을 알아보고, 이들의 직업정체성과 수업전문성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와 J도의 초·중등학교 특수학급 및 공·사립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357명을 대상으로 직업정체성과 수업전문성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은 중앙값 이상(평균 3.76)으로 비교적 높았고, 하위요인 중 ‘사명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직업정체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교사가, 연령에서는 50대 이상이 30대보다, 학력은 대졸보다 대학원 재·졸자가, 소지 자격증은 초등특수교사보다 중등특수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교직경력은 4년 미만 혹은 15년 이상이 9-15년 미만보다, 학교 급은 초등학교보다 중등학교...
TAG 직업정체성, 수업전문성, 특수교사, occupational identity,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special education teachers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의 기능적 생활기술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고찰
이수정 ( Lee Soo-jeong ) , 김진호 ( Kim Jin-h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4호, 129~156페이지(총28페이지)
기능적 생활기술(functional life skills)이란 일상생활 속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삶의 기본 기술이며,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교육해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하는 기능적 생활기술과 관련된 중재연구에 대하여 조사하고,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들의 기능적 생활기술습득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과 중재도구 그리고 전략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기능적 생활기술 중재를 적용한 중재연구들을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37편의 국내 중재연구를 최종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5가지 영역에서 총 12개의 분석변인(국내연구동향, 연구대상, 중재환경, 중재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 세부전략 및 중재도구, 측정도구 및 방법, ...
TAG 지적장애, 기능적 생활기술, 기능적 기술, 생활기술, 기능성, Intellectual disability, functional life skills, life skills, functional skills, functioning
아동기와 청소년기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홍정숙 ( Hong Jeong-suk ) , 표윤희 ( Pyo Yun-hui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4호, 157~186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한 양육의 어려움 및 양육에 미치는 긍정적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지적장애 자녀를 둔 7명의 어머니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집단 면담 및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을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47개의 소주제, 11개의 주제와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에 미치는 부정적 요인’, ‘양육에 미치는 긍정적 요인’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생애주기별 장애인 가족지원...
TAG 지적장애,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양육 경험, 양육의 어려움, 양육의 긍정적 요인, 질적 연구, intellectual disabilities, mothers’ experience, difficulty of nurturing, positive factors of nurturing, qualitative research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보호자의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차별의 매개효과
이병화 ( Lee Byung-hwa ) , 김준범 ( Kim Joon-beo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4호, 187~20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보호자가 경험한 자녀의 도전적 행동이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 관계에서 사회적 차별을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개입의 단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복지재단에서 2015년에 실시한 '경기도 발달장애인 지원센터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192명의 연구대상자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자녀의 도전적 행동 정도는 보호자의 양육부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 자녀의 도전적 행동 정도는 사회적 차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발달장애인 자녀의 도전적 행동 정도는 사회적 차별을 매개로 양육부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도전적 행동보다 ...
TAG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 사회적 차별, 장애인 부모, 양육부담,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allenging behaviors, Social discrimination,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ing burden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진로 및 전환교육 교사 재교육의 방향성 탐색 연구
이현주 ( Lee Hyun-j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4호, 209~239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진로 및 전환교육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고, 총 10명의 진로 및 전환교육 관련 전문가 패널이 참여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 및 전환교육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념적 구조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 재교육의 목표는 학생 중심의 진로 및 전환교육, 진로와 삶의 방향성 안내, 교사의 전문성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내용 요소는 프로그램과 교수방법, 전환계획, 기관 간 협력, 학생 참여, 정보 공유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교사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유의할 점으로 학습 환경 설계의 요소로는 학습 내용의 구현, 교수방법적 지원, 컴퓨터 및 시스템 지원, 행정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
TAG 진로 및 전환교육, 교사 재교육, 전문성 개발활동, 개념적 구조, 델파이 기법, career and transition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onceptual framework, delphi technique
국내 4년제 대학교 발달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 통합 환경의 발달장애 대학생 지원요구 판별 중심
김은하 ( Kim Eun-h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4호, 241~261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현재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감각 및 지체장애 중심의 장애대학생의 개념을 발달장애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발달장애 대학생을 위한 적절한 지원 요구를 탐색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발달장애 대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핵심집단면담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그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경험과 지원요구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현재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생활은 학업과 생활 측면 모두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나, 학생과 부모 모두 대학교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대학교의 장애학생지원 제도로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독특한 지원요구를 충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해 부모의 개별적인 지원...
TAG 발달장애 대학생, 장애대학생 지원요구, 대학내 통합교육, college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needs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y, inclusion in college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 교과 운영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들의 인식
홍정숙 ( Hong Jeong-suk ) , 박영근 ( Park Yung-ke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3호, 1~32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학교의 교과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교과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및 개선 방안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중등특수교사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교사 17명을 연구 참여자로 목적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을 약 1시간 전후로 실시하였다. 면담 문항은 특수학교 중·고등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인식, 교과 운영과 관련하여 겪고 있는 어려움, 그에 따른 지원 요구 및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면담을 실시한 후에는 일주일 안에 모든 면담 내용을 전사하였고, 면담 내용은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83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찾았고 이를 35개의 소주제, 11개의 주제, 4개의 범주로 분류...
TAG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과 운영, 학급 담임제, 교과 전담제, 교사 인식, 질적 연구,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urriculum implementation, class teacher system, specialist teacher system, teacher perception, qualitative research
현장 특수교사의 관점에서 본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체조수업의 고충과 개선방안
윤지운 ( Yoon Ji-w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3호, 33~49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 현장에서 특수교사들이 느끼는 체조수업에 대한 고충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특수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체조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고민을 확인하고 체조 수업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특수학교에서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체조 수업 경험이 있는 특수체육교사 4명을 심층 인터뷰하였으며, 인터뷰 자료는 컴퓨터로 전사한 후, 텍스트 분석을 위한 Krkwic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자료를 정제하였다. Netminer 4.0을 활용하여 의미연결망에서의 연결중앙성 및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조수업에 대한 고충의 핵심키워드는 ‘발달수준’ ...
TAG 발달장애학생, 체조수업, 특수교사고충, 개선방안,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ymnastics class,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fficulties, Improvement
중등 특수교사의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안
고혜정 ( Koh Hye-jung ) , 이미숙 ( Lee Mi-suk ) , 박재국 ( Park Jae-ko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3호, 51~7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실태와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조사를 위하여 중등특수교사에게 설문지 250를 배부하였으며, 총 221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진로·직업교육은 단순노무직에 한정되어 있다고 하였고,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시행하고 있는 진로·직업교육은 일상생활 기능교육, 개인-사회간 기능교육, 직업적 기능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은 직업교육을 표시과목으로 전공하지 않은 타교과 담당의 중등교사들이 80% 이상 실시하고 있었고, 넷째, 대부분의 특수교사들은 지역사회 통합, 타인의 도움 최소화, 여가시간 활용 등을 위해서 진로·직업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섯째, 특수교사들은 학교에서의 ...
TAG 중도·중복장애, 진로·직업교육, 특수교사, 인식,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여성 지적장애 청소년의 이성교제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8] 제20권 제3호, 75~98페이지(총24페이지)
본 질적 연구는 여성 지적장애 청소년의 이성교제에 관하여 지적장애인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서 그들의 이성교제 경험을 듣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총 4명의 여성 지적장애 청소년과 그들 부모 4명과의 개별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이 이성교제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바가 무엇이며 이성교제를 통해서 얻는 기쁨과 어려움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개별심층 면담을 통해서 얻은 자료들은 Nvivo10을 사용하여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 절차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 지적장애 청소년의 이성교제 경험에 대해서 5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진정한 사랑을 찾는 과정, 2) 나를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경험, 3) 남들도 하는 것, 4)위험을 감수...
TAG 여성지적장애청소년, 이성교제경험, 질적 연구, , 이성교제지원, Female youth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ating experience, Sex education, Dating support, Qualitative stud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