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지적장애연구7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적장애 자녀와 지적장애 어머니가 포함된 가정을 위한 양육지원 실행연구
임보령 ( Lim Bo Lyeong ) , 박지연 ( Park J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0] 제22권 제1호, 77~110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지적 장애 자녀와 지적 장애 어머니가 포함된 가정에 양육지원을 제공하고 그 과정과 성과를 살펴본 실행연구이다. 본 연구에는 서울 시내에 거주하면서 초등학교 저학년 지적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지적 장애 어머니가 포함된 두 가정이 참여하였다. 사전요구조사면담을 통하여 파악한 어머니의 특성과 가족 요구를 바탕으로 10∼12회기의 어머니 교육과 10회기의 수행피드백으로 구성된 가정기반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 프로그램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가족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상학적 접근을 사용하였고,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의 필드노트, 동영상에 대한 관찰노트, 면담에 대한 전사본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초 가족의 모습’, ‘프로그램 중에 드러나는 롤러코스터 같은 가족의 삶’, ‘프로그램 효...
TAG 지적장애 어머니, 지적장애 아동, 양육지원, 현상학적 접근, 실행연구, moth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enting support, phenomenological approach, action research
디지털자료 중심의 접근 가능한 교육자료(AEM) 제작 및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 미국 AEM 센터를 중심으로
강성구 ( Kang Seong-goo ) , 강종구 ( Kang Jong-gu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0] 제22권 제1호, 111~13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장애학생에게 ‘접근 가능한 교육자료(AEM: Accessible Educational Materials)’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교과서, 교수자료, 평가지와 같은 교육매체들이 어떻게 디지털 형태로 전환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교육자료 제작과정의 현실을 알아보고, 미국 AEM 센터를 중심으로 국내 상황에 적용 가능한 교육자료 제작 표준 및 활용 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AEM 센터에서 제공하는 디지털자료 중심의 AEM 제작 및 활용 방안은 국내 교육자료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었다. 둘째, 국내 일부 디지털자료는 현재의 교육환경에서 즉각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제작 규격 및 절차의 표준화 ...
TAG 디지털자료, 접근 가능한 교육자료(AEM), 표준, 대체자료, Digital materials, Accessible educational material(AEM), Standard, Alternative material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 이대로 지속가능한가?
이은별 ( Eunbyul Lee ) , 박승희 ( Seung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20] 제22권 제1호, 139~175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는 서울 지역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일반학급 배치(전일제 통합학급)인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담임교사와 특수교사 집단의 지지 정도와 인식, 업무실행과 어려움 및 학생의 주요 학교생활을 질문지 조사한 예비연구이다. 질문지는 통합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현직교사들과의 심층 면담 및 예비 조사를 통해 연구의 목적에 맞게 개발되었다. 2018년 5월 기준 서울 지역 특수학급 설치 공립중학교 194개교 전체의 특수교사에게 담임교사용 및 특수교사용 질문지를 배부하여 총 44명 완전통합 학생에 대한 88부 질문지 응답자료가 통계처리 되었다. 담임교사 집단이 특수교사 집단 보다 완전통합교육이 아닌 특수학급을 통한 특수교육의 필요성을 더 강하게 인식하였고, 두 집단 모두는 중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완전통합교육을 지지하지 않았으며 그 적절성을 낮게 평가했다. 특수교사는 ...
TAG 완전통합교육, 일반학급배치, 전일제 통합학급, 중학교 통합교육, 중등통합교육, 발달장애학생, full inclusion, general class placement, middle school inclusion,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통합교육 현황 및 지원요구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박영선 ( Park Young-sun ) , 정길순 ( Jeung Gil-soon ) , 노진아 ( Noh Jin-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9] 제21권 제4호, 1~26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충청북도지역 유치원 통합교육 현황과 지원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충청북도 공·사립 유치원 일반학급에서 통합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54개 유치원을 대표하는 54명의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다. 회수된 설문 결과는 빈도와 백분율, 케이스백분율, 카이제곱검증을 통하여 분석되었고,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통합교육 현황측면에서, 첫째, 특수학급 미설치 유치원의 경우 특수교육대상자는 완전통합교육을 받고 있었다. 둘째, 통합교육 관련 역량과 협력 부족 그리고 특수교사의 부재를 통합교육 실행의 방해요인으로 인식하였고,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지도를 가장 어려워하였다. 셋째, 사립유치원 중 70%는 IEP를 작성하고 있지 않았는데, IEP가 무엇인지 몰라서 작성을 못 하거나, 업무 과다로 인해서 IEP의 실제적인 운영이 어렵다고 응답한 경우가...
TAG 통합교육, 현황 및 지원요구, 공·사립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 inclusive education, status and support needs,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임은경 ( Lim Eun-ky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9] 제21권 제4호, 27~57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고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고등학생 18명을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나누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의사결정 능력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양적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집단간 사전 동질성 검사와 공분산 분석, 다변량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매 회기 프로그램 종료 후 양적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각자의 소감문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결정 ...
TAG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 의사결정, path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career decision-making
비디오 모델링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물건 구매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성용 ( Yi Seong-yong ) , 김진호 ( Kim Jin-h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9] 제21권 제4호, 59~85페이지(총27페이지)
비디오 모델링은 장애 학생의 사회적-의사소통 기술, 기능적 기술, 행동 기능을 가르치는데 효과적인 교수 전략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모델링이 지적장애 학생의 물건 구매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행정구역상 군(읍) 지역에서 생활하고 있는 지적장애 초등학생 6명이다. 실험 환경은 교실 중재가 이루어지는 교실 환경과 일반화 프로브를 점검한 지역사회 환경으로 나누어진다. 교실 환경은 일반 초등학교 내 특수학급 교실이고, 지역사회 환경은 학교 주변에 있는 슈퍼마켓, 문구점, 분식점이다. 비디오 모델링 중재는 전형적인 특수학급 교실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으며, 특별히 대상자는 짝(pair)을 활용한 소집단 형태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모델링은 ...
TAG 비디오 모델링, 물건 구매기술, 지적장애, video modeling, purchasing skills,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달장애학생의 반복·상동행동 중재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 국내 학술지 연구를 대상으로
김영표 ( Kim Young-pyo ) , 김지연 ( Kim Jiy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9] 제21권 제4호, 87~106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반복·상동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해온 지금까지의 국내 단일대상연구 문헌을 수합하여 양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크기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국내 발달장애학생의 반복·상동행동에 대한 중재 연구 현황과 중재 효과를 파악하여 증거기반중재를 위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0년 이후 2019년까지의 국내 학회를 통해 발표된 단일대상연구 23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특성 및 효과크기(PND와 Tau-U)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재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는 PND 79.7, Tau-U 0.86으로 비교적 높은 평균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 연구특성(연구대상의 평균 연령, 중재 방법, 중재 기간, 연구 설계)에 따른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연구의 질에 따라...
TAG 발달장애, 반복·상동행동, 효과크기, 연구의 질, 메타분석,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petitive and stereotyped behaviors, effect size, quality of study, meta-analysis
기능기반의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공격 행동과 과제수행 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유나 ( Choi Yu-na ) , 정선화 ( Jung Sunhw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9] 제21권 제4호, 107~127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기반의 중재가 발달지제 유아의 공격 행동과 과체수행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격 행동을 보이는 2세 6개월의 발달지체 유아 한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반전설계(ABAB)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참여 유아의 공격 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기능기반의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를 실행하자 유아의 공격 행동은 감소하고, 과제수행 행동은 증가되었다. 연구 참여 유아의 어머니는 사회적 타당도 평가에서 중재 목적, 절차의 적합성, 중재 효과 면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 유아도 중재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능기반의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공격 행동의 감소와 과제수행 행동 증가에 대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TAG 공격 행동, 과제수행 행동, 기능평가, 기능기반의 중재, 발달지체 유아, aggressive behavior, on-task behavior,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function-based interventio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자기점검 중재가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김종일 ( Kim Jong-il ) , 정선화 ( Jung Sunhwa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9] 제21권 제4호, 129~149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자기점검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본적인 일상생활 기술은 습득하였으나 실제 상황에서 독립적인 수행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성장애 초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의 식사하기, 양치하기, 손 씻기 기술의 수행 증진을 위해 자기점검 중재를 사용하였고, 행동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은 기초선 조건에서 낮은 수준의 일상생활 기술 수행을 보였으나, 자기점검 중재를 실시한 후 독립적인 일상생활 기술의 수행이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를 제거한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고,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가정에서도 독립적인 일상생활 기술 수행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 결과 중재의 목적, 절차, 효과 면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되...
TAG 일상생활 기술, 자기점검, 자폐성장애, daily living skills, self-monitoring, autism spectrum disorder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 만4세 일반유아와의 비교
김자경 ( Kim Ja-k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지적장애연구 [2019] 제21권 제4호, 151~16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 저학년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수감각 특성을 만4세 일반유아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지역에 소재한 다섯 개 초등학교와 한 곳의 사설치료실에 대상을 의뢰하였으며, 부모의 동의를 얻어 총 15명의 지적장애 아동을 선정하였다. 비교 대상은 두 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65명이며, 이들은 수감각수준에 따라 4개의 집단(백분위 76이상, 백분위 51∼75이하, 백분위 26∼50이하, 백분위 25이하)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김자경 외(2018a)가 개발한 수감각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별검사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일반유아에 비해 수감각 총점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집단과 수감각 수준별 유아집단을 비교한 ...
TAG 수감각, 경도 지적장애, 초등 저학년, number sense,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grad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