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중력모델을 이용한 전주시 근린공원의 수요예측
허경호 ( Gyeng-ho Heo ) , 박종민 ( Chong-mi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35~36페이지(총2페이지)
201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도시지역 면적은 2,553천 ha이며, 인구는 46,640천 명이다. 도시에 조성된 녹지의 면적은 1,254ha이며, 이 중 도시민이 이용하는 데에 시간 및 비용 부담이 적고 실생활에서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는 근린공원은 46,219ha로서 1인당 면적은 9.91㎡이다. 이 면적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장하는 최소기준인 1인당 9㎡를 달성하였으나 파리(13㎡/인), 뉴욕(23㎡/인), 런던(27㎡/인) 등 세계 주요 도시에 비하여 미흡한 실정이다. 즉 도시 내에 조성된 녹지면적 대비 실제 도시민의 휴식, 산책, 도시 미기후 조절 등 도시민 일상생활과 밀접한 근린공원의 면적은 아직 부족한 수준이다. 전주시에는 총 250여 개의 공원이 있으며, 그 중에서 근린공원은 61개소로 수목이 울...
경상남도 학교숲 현황분석
신해선 ( Hae-seon Shin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장정은 ( Jung-eu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37(총1페이지)
학생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는 학교이며, 학교숲(School Forest)은 학생들이 가장 쉽게 자연을 접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경상남도는 2001년 창원 외동초등학교를 시작으로 학교숲을 조성하고 있으나 학교숲에 대한 기초현황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조성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조성된 학교숲 현황을 파악하여 지속가능한 학교숲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지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 46개교로 선정하였으며, 각 학교 별 식재되어 있는 수목의 전수조사를 통해 학교 별 녹지율, 종 수, 개체수를 파악하였다. 경상남도 소재 46개 학교를 대상으로 초·중·고등학교 별, 도시·비도시 소재 학교 별, 공립·사립학교 별 학교숲을 비교...
파편화된 도시숲의 구조와 공기이온 연구
이상훈 ( Sang-hoon Lee ) , 이명훈 ( Myung-hun Lee ) , 박성록 ( Sung-rok Park ) , 김학기 ( Hag-kee Kim ) , 김정호 ( Jeong-ho Kim ) ,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38(총1페이지)
급격한 도시화는 녹지의 감소, 도로 포장률의 증가, 도시 하천의 복개 등 지표면의 피복상태를 변화시키고 도시구조물을 증가시켰다. 인공구조물이 밀집된 도시환경에 의해 인간은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 질병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경생태계획 등의 기법을 통해 도시 내 양호한 비오톱의 보전 및 복원 개발에 의한 도시환경 훼손의 최소화방안 등이 모색되고 있다. 도시지역에서 녹지의 역할은 도시민들의 스트레스 완화효과뿐만 아니라 도시기온 저감, 이산화탄소 흡수, 증발을 통한 습도조절, 그늘제공의 도시환경개선에 큰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민의 건강증진측면에서 녹지의 중요성이 더 부각되고 있다. 또한 녹지는 건강성 증진의 대표적 지표인 피톤치드와 음이온과 같은 물질을 생성하는 공간으로써, 인공구조물이 밀집된 도시공간에서 대규모 녹지가 조성된 도...
산지형 공원 내 울폐도에 따른 등산로의 열환경 연구a
김한결 ( Han-gyeol Kim ) , 이상훈 ( Sang-hoon Lee ) , 이명훈 ( Myung-hun Lee ) , 이주승 ( Ju-seung Lee ) , 신용진 ( Yong-jin Shin ) , 김정호 ( Jeong-ho Kim ) ,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39(총1페이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개발로 인해 자연 및 생태적 기능의 감소로 자연피복이 감소하며, 불투수포장이 증가하면서 도시의 열섬현상과 열대야, 폭염등과 같은 열환경 악화를 촉진하고 있다. 공원에서 산책을 하면 열환경 악화로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면서 온열질환자가 증가하므로 산지형 공원에서 녹지로 인한 열환경 완화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열환경은 복사열에 따라서 영향을 미치는데, 이때 일사를 차단하는 수관의 울폐도에 따라서 열환경을 해소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산지형 공원은 도시녹지네트워크의 거점으로 동·식물서식처와 이동통로 혹은 거점녹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시 내에서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도시에 생기를 불어넣어 쾌적한 도시생활을 하게 하는 원동력을 주는 매우 큰 가치를 지닌다. 이로 인해 활기와 같은...
산지형 공원 내 보행로 특성에 따른 미세먼지 차이 연구
김효진 ( Hyo-jin Kim ) , 이상훈 ( Sang-hoon Lee ) , 정주현 ( Ju-hyun Jung ) , 이동재 ( Dong-jae Lee ) , 김학기 ( Hag-kee Kim ) , 김정호 ( Jeong-ho Kim ) ,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0(총1페이지)
산업화로 각종 산업시설과 자동차의 급격한 증가 그리고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미세먼지농도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 미세먼지는 도시 공간의 가장 큰 환경 이슈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입자상 물질은 2.5μm보다 큰 입자를 조대입자, 2.5μm보다 작은 입자를 미세입자로 분류한다. 10μm보다 큰 입자는 코나 입으로 통과할 때, 호흡기를 통과할 때 점막에 의해 대부분 제거되지만, 10μm보다 작은 입자는 입이나 코를 통해서 호흡기관으로 이동하여 이를 흡입할 경우 호흡기질환, 폐암, 순환기계통의 질환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미세먼지 중에서 입자크기가 2.5μm이하인 초미세먼지는 납, 비소, 수은 등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의 농도가 높아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에서 미세먼지는 다양한 요인...
QGIS를 활용한 InVEST 모델 서식지 질 평가 -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최송현 ( Song-hyun Choi ) , 유병혁 ( Byeong Hyeok Yu ) , 장진 ( Chin Chang ) , 신해선 ( Hae-seon Shin ) , 장정은 ( Jung-eu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1~42페이지(총2페이지)
생태계서비스란 생태계가 기능함에 따라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얻는 편입을 말한다(Fisher and Turner, 2008). 생태계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생물다양성이 온전히 보전됨이 전제되어야 한다.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생물다양성법)을 제정하고, 법에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얻는 혜택을 공급서비스, 환경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그리고 지지서비스로 제시하고 있다.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서식지내 보전방식으로 보호지역이 지정 및 관리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태적, 사회·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법 중 하나가 생태계서비스 평가이다. 생태계서비스의 평가는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지표를 바탕으로 정책에 활용을 한다. 국내에서는 국립생태원(2017)이 국가 생...
토종 남생이 (Mauremys reevesii)와 외래종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의 미소 환경 선택
서재영 ( Jaeyoung Seo ) , 윤가영 ( Kayoung Yun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강하경 ( Hakyung Kang ) , 권세라 ( Sera Kwon ) , 김아정 ( Ajoung Kim ) , 김현정 ( Hyunjung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5(총1페이지)
국내에 서식하는 토종과 생태적 지위(ecological niche)가 유사한 외래종의 국내 유입은 종간 경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토종 민물 거북 남생이(Mauremys reevesii)와 침입외래종이자 국내 야생으로 유입된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은 반수생 거북으로 매우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갖고 있다. 생태적 지위가 유사한 종들은 먹이, 번식지, 일광욕을 위한 장소 등을 두고 경쟁한다. 특히, 먹이 자원이 제한적일 때 더 큰 크기의 외래종은 토종과 비교하여 더 많이 먹고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경쟁에서 유리하다. 생태적 지위가 유사한 두 종 사이에서 나타나는 경쟁에서 외래종이 토착종을 절멸시킨 사례도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개방형 환경에서 붉은귀거북의 87.4%(n...
멸종위기종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시간 및 시기별 이동성
김아정 ( Ajoung Kim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서재영 ( Jaeyoung Seo ) , 권세라 ( Sera Kwon ) , 강하경 ( Hakyung Kang ) , 김현정 ( Hyunjung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6(총1페이지)
남생이(Mauremys reevesii)는 국내에 서식하는 토종 민물거북 중 하나로 과거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하였으나 현재는 분포 지역이 축소되면서 그 수가 빠르게 줄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문화재청은 남생이를 멸종위기야생동물 Ⅱ급과 천연기념물 453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멸종위기 등급 EN(endangered)으로 분류하였다. 남생이 개체 수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는 서식지 파괴, 환경오염 등이 있으며 최근 국내에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과 같은 외래거북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먹이 자원 및 일광욕 자리 경쟁을 유발하며 남생이를 위협하고 있다. 남생이의 절멸을 방지하기 위해 번식, 형태적 특성, 유전적 다양성과 같은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들의 보호 범위...
연령에 따른 멸종위기종 남생이의 크기와 멜라니즘(melanism)
강하경 ( Hakyung Kang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권세라 ( Sera Kwon ) , 김아정 ( Ajoung Kim ) , 서재영 ( Jaeyoung Seo ) , 김현정 ( Hyunjung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7(총1페이지)
남생이(Mauremys reevesii)는 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한국 토착종 민물거북으로, 국내에서 문화재청에 의해 천연기념물 제453호로 지정되어있다. 최근 서식지 파괴, 인간에 의한 남획, 외래종 유입 등의 위협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남생이를 멸종 위기종(EN: Endangered)으로 분류하였으며, 국내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하여 보호받고 있다. 이러한 개체군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남생이의 분포, 생태, 서식지 분석 등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남생이 보호 및 복원을 위해 여러 기관에서 노력하고 있다. 개체군의 연령 구조(age structure)는 그 개체군의 보전 범위와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종의 복...
DNA Barcode를 활용한 가지나방아과의 염기서열 확보
김다솜 ( Da-som Kim ) , 이지영 ( Ji-young Lee ) , 김예슬 ( Ye-seul Kim ) , 권진성 ( Jin-sung Kweon ) , 이봉우 ( Bong-woo Lee ) , 변봉규 ( Bong-kyu B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8(총1페이지)
자나방과는 전세계적으로 약 23,000여종이 알려져 있는 나비목에서 가장 큰 분류군 중 하나로, 간헐적으로 대발생하여 산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산림 돌발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변화 등으로 잠재적 산림해충의 돌발발생 가능성이 상승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들 자나방류에 대한 모니터링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특히 가지나방아과의 경우 근연종 간에 날개무늬가 비슷하여 오동정이 많이 발생하며, 정확한 동정을 위해서는 성충의 생식기 해부를 거쳐야 하는 등, 종 동정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분류군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DNA바코드를 활용하여 이들 분류군의 정확한 동정체계 구축 및 표본 동정의 정확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가지나방아과 DNA바코드 샘플확보를 위해 버킷식유아등트랩 설치 및 야간조사를 수행하였다. 나방류가 가장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