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대규모 평지형 공원 내 거리별 공기이온 평가 -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공원을 사례로 -
김정호 ( Jeong Ho Kim ) , 이상훈 ( Sang Hoon Lee ) , 이명훈 ( Myung-hun Lee ) , 윤용한 ( Yong 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0] 제34권 제5호, 491~499페이지(총9페이지)
불투수포장면적의 증가는 도심지 내 열환경 악화, 물순환체계 단절 등의 문제점과 더불어 인간의 여러 가지 신체적·정신적 질병에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도시공원 내 거리에 따른 공기이온 실태와 거리별 기상요소 및 공기이온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향후 도심지 내 대규모 도시공원 조성 혹은 리모델링에 있어서 기후적 측면의 건강성을 고려한 도시공원 조성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거리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한 뒤, 구간을 A, B로 분류하였다. 측정지점은 80지점을 선정한 후 토지피복 및 식생현황을 조사한 후 기상요소, 공기이온을 측정하였다. 첫째, 구간별 녹지율은 A구간 Center(90%) > Inner(70%) > Outer-inner(10%) = Outer(10%), B구간 Center(100%)...
TAG 이온지수, 음이온, 양이온, 토지피복, 기상요소, AIR ION INDEX, NEGATIVE ION, POSITIVE ION, LAND COVER, WEATHER FACTOR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의 버드나무 군집구조 분석
나미연 ( Mi-yeon Na ) , 최지원 ( Ji-won Choi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3(총1페이지)
여의도 샛강은 한강 본류에서 하중도를 만들어준 물줄기이며, 생물의 서식공간과 생태통로롤 제공하여 생태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은 한강개발계획에 따라 1980년대 샛강 매립 논란을 거쳐서 1990년대 샛강 개발계획 7년간의 과정을 통해 1997년 9월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으로 조성 및 개장하였다. 2008년 한강르네상스 계획의 일환으로 여의도 샛강은 친환경적인 도시생태공원으로 자연학습 장소와 친수공간 제공, 생물 서식처 조성 등의 목적으로 샛강 유입부에서 유출부까지 재정비하여 1.2km인 샛강을 4.7km로 연장하여 면적을 확장 재조성하였다. 현재 여의도 도심 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생태공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샛강생태공원의 버드나무군락은 자연경관으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여의도 샛강생태공원을 대상으...
자연형 하천 복원 전·후 고덕천의 침입외래식물 특성
차두원 ( Doo-won Cha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 김지석 ( Ji-seok Kim ) , 문영란 ( Yeong-ran Moon ) , 백은경 ( Eun-kyoung B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4(총1페이지)
하천은 생물서식공간 제공, 물질 순환통로, 기후조절, 생물종 이동통로, 오염물 이동, 자정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하천은 1960년대 이후 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하천을 복개하고 하천변을 콘크리트구조물로 정비함에 따라 수질오염 확대, 소하천의 건천화, 하천공간의 황폐화 등으로 하천 본래의 기능은 상실하게 되어 생물들의 서식공간을 감소시켰다. 1990년대 중반 이후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하천정비방식의 문제점이 대두됨에 따라 자연형 하천 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생태환경조성을 목표로 하는 자연형 하천 복원사업이 활발히 전개되었는데 서울의 경우 양재천이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자연형 하천 복원은 하도 형태, 하상재질의 교체, 보 및 인공호안 철거, 식생대 조성 및 정비등의 다양한 공종과 공법을 통해 시행한다. 특...
보길도 큰길재 일대 상록활엽수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조봉교 ( Bong-gyo Cho ) , 이수동 ( Soo-dong Lee ) , 강현경 ( Hyun-kyung Kang ) , 김동욱 ( Dong-wook Kim ) , 장재훈 ( Jae-hoon Jang ) , 김미정 ( Mi-jeong Kim ) , 김홍순 ( Hong-soon Kim ) , 김한 ( Han Kim ) , 송광섭 ( Kwang-seop Song ) , 배순형 ( Soon-hyoung Bae ) , 박태훈 ( Tae-hoon Park ) , 최태영 ( Tae-yung Choi ) , 정태준 ( Tae-jun J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5(총1페이지)
상록활엽수는 동아시아의 저지대에서 고지대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였으나, 지구온난화, 인간의 침입, 토지이용 변화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한 교란된 상태이다. 우리나라는 16세기를 전후하여 섬에 거주하는 인구 증가와 취사, 난방용 연료채취등으로 훼손이 시작되었고 일제강점기와 전쟁을 겪으면서 심화되었다. 또한 상록활엽수림대의 거주민은 전통적으로 생계를 위한 목재, 음식, 의약 식물 등 임산물에 의존해서 살아왔기 때문에 인구압이 커지면서 도로, 주택, 산불 등과 같은 교란에 의해 산림이 파편화되고 훼손되어왔다. 본 연구는 보길도 큰길재 일대에 분포하는 난대림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에 상록활엽수가 우점하거나 출현하는 식생을 대상으로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조사구는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는 능선, 계곡, 경사지 등 큰길재를 대표할 수...
제주 저지곶자왈 생물권보전지역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시행방안 검토
최지원 ( Ji-won Cho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6(총1페이지)
생태계서비스지불제란, 생태계서비스의 보전 및 증진을 위해 특정 생태계서비스 수혜자가 그 공급자에게 생태계서비스이용에 대한 일정 대가를 지불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발적 계약을 총칭한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9년 12월『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개정을 통해 생태계서비스의 법적 정의 및 지불제 시행의 근거를 마련하고 2020년 6월 생물다양성법시행령·시행규칙을 개정하여 본격적인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시행을 앞두고 있다. 따라서 생태계서비스지불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전, 개정 법률과 지침에 근거를 둔 시범사업을 운영하여 그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제도 확산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국내 보호지역에서 산림이 상당 면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산림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시행사업이 운영된 적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 저지곶자왈 생물권보전...
박테리아 16s rRNA 영역 분류 방법에 따른 산림 벌채지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연구
이병주 ( Byeong-ju Lee ) , 어수형 ( Soo Hyung E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7(총1페이지)
1980년대부터 박테리아 종 계통 분석에 rRNA 영역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한 이래로, 박테리아 종 동정, 계통 분석 등에 rRNA 염기서열 정보가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염기서열분석 기술 발전, 컴퓨팅 파워 증가,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달로, 환경 시료 내 존재하는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하는 환경유전체(metagenome)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경유전체 분석 과정에 더 많은 염기서열 정보, 더 높은 정확성, 더 높은 계산 효율을 내기 위해 다양한 분석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환경유전체 분석 과정 중 하나로 자주 포함되는 OUT clustering 기법은 분석된 염기서열들을 특정 유사도 기준에 따라 단일 염기서열 집단(unit)으로 모으는 방법으로, 염기서열마다의 독특한 정보를 일정 수준 유지하면서...
장흥 야생차밭의 산림군집 특성
이준영 ( Jun-young Le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 차두원 ( Doo-won Cha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총1페이지)
국가중요농업유산은 수대에 걸쳐 축적된 농업의 지식과 경험에 기초한 농업문화로 인류 진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와 국가중요농업유산과 같은 제도로 이를 보전하고자 한다. 국가중요농업유산은 지역의 독특한 농업생물다양성 및 경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된 곳은 총 15곳으로 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밭담, 구례 산수유농업, 의성 전통수리농업, 장흥발효차 청태전 등이 있다. 이 중 청산도 구들장 논, 제주 밭담, 금산 인삼농업, 하동 전통차 농업 4곳은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국가중요농업유산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농업지역의 생태현황을 파악하여 주변 자연환경과의 조화 및 생태성을 평가하도록 되어있으나 대부분 해당 지역의 주변 생태현황 자료만 사용하여 국가중요농업유산만의 생태적 특성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고 ...
거제도 가라산 일대 식물군집구조 특성
오충현 ( Chung-hyeon Oh ) , 이수동 ( Soo-dong Lee ) , 염정헌 ( Jung-hun Yeum ) , 장재훈 ( Jae-hoon Jang ) , 이광규 ( Gwang-gyu Lee ) , 조봉교 ( Bong-gyo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9(총1페이지)
가라산은 경상남도 거제시의 최남단 해변에 위치하며, 높이 585m로 거제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가라산과 노자산을 잇는 능선의 남쪽과 동쪽은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지구에 속하고 있다. 같은 준령에 위치한 노자산에는 천연기념물인 학동의 동백림이 입지해 있으며, 이들 지역은 팔색조 번식지이기도 하다. 난대림대에 속했으나 저지대의 개간, 조림, 벌채와 같은 인위적인 간섭이 심하여 이 지역 고유 임상인 상록활엽수림은 숲의 형태보다는 급사면을 중심으로 소규모 면적으로 남아 있어 보호가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라산 일대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하여 생태적 특성, 환경요인와의 관계 분석등을 통해 군락의 종구성 특성, 천이경향을 예측하고자 진행하였다.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능선부와 사면을 대상으로 10mx10m(100㎡) 조...
한국과 중국의 습지보전관리체계 비교 연구
자오쉐신 ( Zhao-xuexin ) , 박현빈 ( Park-hyun Bin ) , 김동필 ( Kim-dong Pil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3(총1페이지)
산업혁명 이후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 산업화 및 인구 증가는 환경과 생태계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 왔다. 이로 인해 현재 지구의 환경 문제는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중에 습지도 파괴를 많이 당하기 때문에 습지보전 문제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1971년 이란의 람사르는 물새 서식처로서 국제 중요 습지의 보전에 관한 국제협약이 체결된 도시이기도 한다. 한국과 중국도 람사르 공약에 가입한 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습지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습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존재하지만 한중 습지에 대한 비교연구는 많지 않다고 보인다. 또한, 한국과 중국은 중요한 이웃 나라기 때문에 문화, 무역, 환경 등 분야뿐만 아니라 습지보전의 분야에서도 협력하여 밀접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고 생각한...
드론용 라이다(LiDAR)를 활용한 3차원 모델 구축과 자연유산 모니터링
이원호 ( Won-h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14~15페이지(총2페이지)
명승 및 천연기념물 등 우리 국토의 자연유산은 면적이 넓고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형지물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지구온난화나 자연재해에 훼손 가능성이 높고 복원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연유산의 현상을 파악하고 위기관리 대응방안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그러나 자연유산은 조사인력의 접근이 어렵고 인력과 예산투입이 과다하며, 석탑이나 건물처럼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 그자체를 지키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조사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란과 문화재 훼손의 영향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첨단기술을 도입한 조사기법은 환경문제에 대한 피해예측과 훼손 저감을 위한 선제적 대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자연유산 보존관리 분야에서는 이미항공사진 촬영이나 3D 스캔 등을 통한 3D 모델링 기법과 DB구축이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