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578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Erratum to: Effect of mushroom (Schizophyllum spp.) derived β-glucan on low-fiber diet induced gut dysbiosis
( Karthika Muthuramalingam ) , ( Vineet Singh ) , ( Changmin Choi ) , ( Seung In Choi ) , ( Sanggyu Park ) , ( Young Mee Kim ) , ( Tatsuya Unno ) , ( Moonjae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103(총1페이지)
탈지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제조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에의 활용
신영섭 ( Yeung Sub Shin ) , 이태정 ( Tae Jung Lee ) , 인만진 ( Man-jin In ) , 김동청 ( Dong Ch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97~102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들깨(Perilla frutescens)박으로부터 효소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소를 선별하여 최적의 반응조건을 확립하였다. Alcalase와 Ceremix의 동시 처리가 들깨박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가용화에 효과적이었으며, 효소 사용량은 들깨박 중량의 2% (w/w), pH는 7.0, 반응 시간은 2시간이 적당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에서 들깨박을 Alcalase와 Ceremix로 처리한 결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 라디칼과 양이온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확인한 결과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하였다. 또한 젖산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균주를 들깨박 효소분해물에서 배양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생육...
TAG Defatted perilla seed residue, Enzymatic hydrolysis, Leuconostoc mesenteroides, Microbial medium, 들깨박, 미생물 배지, 젖산균, 효소 분해
옥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 개선효과
박철민 ( Chul-min Park ) , 타쿠리랙스미센 ( Laxmi Sen Thakuri ) , 류동영 ( Dong-young Rhyu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89~96페이지(총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Caulerpa okamurae 에탄올 추출물(COE)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약물 표적 중 하나인 당 대사 및 인슐린 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COE는 in vitro 실험에서 단백질 티로신 포스타제 1B (PTP1B)와 디펩티딜 펩티데이즈-IV (DPP-IV) 효소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또한, COE는 3T3-L1 지방세포와 제브라피쉬에서 당 흡수, 인슐린 수용체 기질(IRS-1) 및 당 수송체(GLUT4) 단백의 발현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L6 근육세포의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으로 유도된 인슐린 저항성 모델에서도 COE는 인슐린 신호전달 및 당 흡수 단백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더불어 인슐린 저항성 지표로 알려진 IR...
TAG Caulerpa okamurae, Insulin sensitivity, L6 myotubes, 3T3-L1 adipocytes, Type2 diabetes, Zebrafish larvae, 3T3-L1 지방세포, L6 근육세포, 옥덩굴, 인슐린 민감성, 제2형 당뇨병, 제브라피쉬
소목(Caesalpinia sappan L.)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활성
황미경 ( Mi Kyung Hwang ) , 이용현 ( Yong Hyun Lee ) , 김동청 ( Dong Chung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83~87페이지(총5페이지)
소목(Caesalpinia sappan L.) 열수추출물의 피부상재균(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Cutibacterium acnes, Malassezia furfur)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소목 열수 추출물의 수율과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4.01±0.81%과 487.5±19.69 μg/mg-추출물로 나타났다. 소목 열수추출물의 E. coli, S. aureus, C. acnes 및 M. furfur의 증식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0.875, 1.750, 1.750 및 1.750 mg/mL이었다. 디스크 확산법에서 소목 열수추출물의 처리량에 비례하여 생육저해환이 증가하였다. 소목 열...
TAG Antimicrobial activity, Aqueous extract, Caesalpinia sappan L,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Skin flora, 소목, 열수 추출, 최소저해농도, 피부상재균, 항균 활성
In vitro 상에서 식품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전다빈 ( Dabin Jeon ) , 싱그비니트 ( Vineet Singh ) , 운노타쯔야 ( Tatsuya Unn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75~86페이지(총12페이지)
최근의 장내 미생물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건강에 대한 장내 미생물의 중요한 역할이 밝혀졌다. 이에 매년 다양한 건강 기능 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는 기능성 식품의 유익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in-vivo 실험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로 기능성 식품이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동물 실험을 자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식품의 유익한 효과는 장내 미생물 생태가 식품에 의해 이동되어 유익한 박테리아의 증가, 잠재적인 병원성 박테리아의 감소 또는 둘 다에 따라 평가 될 수 있다. 동물 실험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많이 걸리고 까다롭기 때문에 본 연구팀은 분변 미생물에 대한 in-vitro 연구로 식이 건강상의 이점을 얼마나 잘 반영하는지 조사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사람의 배설물을 사용하여 15가지 음식이 ...
TAG Differential abundance analysis, Fecal fermentation, Gastrointestinal digestion, Gut microbiota, Personal diet, 맞춤형 식단, 미생물 비교 분석, 분변 발효, 소화모방, 장내미생물
홍화씨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및 ethanol로 손상을 유도한 C6 신경교세포 보호 효과
최승학 ( Seung Hak Choi ) , 박찬흠 ( Chan Hum Park ) , 조은주 ( Eun Ju Cho ) , 김지현 ( Ji Hyun Kim ) , 서원택 ( Weon Taek Se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69~74페이지(총6페이지)
만성 알코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을 발병시킨다. 본 연구는 홍화씨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ethanol로 손상을 유도한 신경교세포에서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홍화씨 추출물은 50, 100, 250, 500 μ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에서 1,1-diphenyl-2-prcrylhydrazy (DPPH), hydroxyl radical (·OH), superoxide radical 및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특히 DPPH 및 ·O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각각 500 μg/mL, 100 μ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홍화씨 추출물의 신경교세...
TAG Antioxidant,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thanol, Glial cells, Reactive oxygen species, 신경교세포, 에탄올, 항산화, 홍화씨, 활성산소종
Determination of isovitexin from Lespedeza cuneata using a validated HPLC-UV method
( Ju Sung Lee ) , ( Leo Adrianne Paje ) , ( Sang-woo Yoo ) , ( Seong Lee ) , ( Ja-jung Ku ) , ( Sanghyun Lee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63~67페이지(총5페이지)
만성 알코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을 발병시킨다. 본 연구는 홍화씨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ethanol로 손상을 유도한 신경교세포에서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홍화씨 추출물은 50, 100, 250, 500 μ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에서 1,1-diphenyl-2-prcrylhydrazy (DPPH), hydroxyl radical (·OH), superoxide radical 및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특히 DPPH 및 ·O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각각 500 μg/mL, 100 μ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홍화씨 추출물의 신경교세...
TA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sovitexin, Lespedeza cuneata, Method validation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aikosaponin derivatives in Bupleurum falcatum by HPLC-ELSD analysis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Jungwon Choi ) , ( Juree Kim ) , ( Sam Sik Kang ) , ( Sanghyun Lee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57~61페이지(총5페이지)
만성 알코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을 발병시킨다. 본 연구는 홍화씨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ethanol로 손상을 유도한 신경교세포에서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홍화씨 추출물은 50, 100, 250, 500 μ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에서 1,1-diphenyl-2-prcrylhydrazy (DPPH), hydroxyl radical (·OH), superoxide radical 및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특히 DPPH 및 ·O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각각 500 μg/mL, 100 μ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홍화씨 추출물의 신경교세...
TAG Bupleurum falcatum, Extraction metho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Quantitative analysis, Saikosaponin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on gut microbiota through a simulated in vitro digestion process
( Jong Beom Jin ) , ( Jin Wook Cha ) , ( Il-shik Shin ) , ( Jin Young Jeon ) , ( Hye Suck An ) , ( Kwang Hyun Cha ) , ( Cheol-ho Pan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49~55페이지(총7페이지)
만성 알코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 및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질환을 발병시킨다. 본 연구는 홍화씨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ethanol로 손상을 유도한 신경교세포에서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홍화씨 추출물은 50, 100, 250, 500 μg/mL의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에서 1,1-diphenyl-2-prcrylhydrazy (DPPH), hydroxyl radical (·OH), superoxide radical 및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특히 DPPH 및 ·O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각각 500 μg/mL, 100 μg/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홍화씨 추출물의 신경교세...
TAG Bioaccessibility, Gut microbiota, Microbial profiling, Short chain fatty acids
가뭄 스트레스 특이적인 cis-regulatory element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신규 프로모터 구축
김기환 ( Kihwan Kim ) , 김병규 ( Byeonggyu Kim ) , 신주형 ( Juhyung Shin ) , 김원찬 ( Won-chan Kim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1] 제64권 제1호, 39~48페이지(총10페이지)
가뭄은 작물의 성장과 생산성을 방해하는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 중 하나다.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식물이 불리한 환경 조건에서 스트레스에 나타내는 분자 조절 네트워크를 이해해야 한다. 비 생물학적 스트레스 (가뭄에 대응)에 대처할 수 있는 조합을 선별하기 위한 실험에서 스트레스 조건에서만 발현되는 5개의 가뭄 스트레스 유도성 프로모터를 선별하였으며, 이 중 36개의 cis-regulatory element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가뭄 스트레스에서만 발현되는 유전자의 프로모터에서 cis-regulatory element를 새롭게 조합하여 미세 제어 조절을 할 수 있는 2 개의 합성프로모터(BL1, BL2)를 제작하였다. 합성프로모터를 포함한 형질전환식물(BL1-GUS, BL2-GUS)의 분석은 합성프로모터가 건조 조건에서 형질전환식물 내의 G...
TAG Cis-regulatory element, Drought, Fine-controlled regulation, Synthetic promoter, 가뭄스트레스, 미세 제어 조절, 시스 조절 요소, 합성프로모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