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

 1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
 2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2
 3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3
 4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4
 5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5
 6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6
 7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7
 8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8
 9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9
 10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0
 11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1
 12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2
 13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3
 14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4
 15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5
 16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6
 17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7
 18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르네상스 시대 영국 시연 구 Sexuality and Misogyny in Donnes Poems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Donne에게 섹슈엘러티(sexuality)와 젠더(gender) 문제는 그가 살아온 삶 만큼이나 아주 열정적이고 변화무쌍하며 또한 불안정한 문제였다. 던은 아날로지(analogy)와 은유(metaphor)를 통해서 솔직하면서 간접적으로 던 자신만의 여성과 성에 관한 글들을 지속적으로 썼다. 그러나 던은 당시의 페트라르크식의 이상화된 여인을 찬미하고 중세 기사도의 여성숭배와 이상화하는 관습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으며, 여성의 아름다움을 찬미하기 보다는 오히려 여성을 한 남자의 정욕의 대상이자 혐오의 대상으로 묘사한다.
벨(Ilona Bell)에 따르면, 던은 시드니(Sidney), 스펜스(Spenser), 그리고 셰익스피어(Shakespeare)와 같은 그의 당대와 그 이전의 시인들과는 달리, 여성의 신체적 외모에만 머물지는 않는다고 지적한다(Bell 201). 그리고 다른 많은 가설이나 이데올로기적인 이유들 때문에, 20세기 비평가들은 일반적으로 던의 시에 등장하는 여성은 그림자 같은 인물로, 남성의 욕망에 대한 대상이나 반영 물, 자아정체성 확립과정의 명목, 시인 본인의 직업적 열망에 대한 은유, 그리고 남성 동인(coterie)모임에서의 흥분과 유희의 대상으로 추정한다. 또한 벨은 지난 20년 동안,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이 여성에 대한 던의 태도를 재조명해오면서, 던의 시에서 여성을 육체에서 이탈시키고 무시한 것은 시인이 아니라 바로 비평가 자신들이었다고 주장한다(201).
디파스퀘일(Theresa M DiPasquale)에 따르면, 던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여성 혐오의 문제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의견은 두 패로 나눠 진다고 말한다. 즉 벨이나 에스트린(Babara Estrin) 같은 비평가는 던의 시가 복잡하고 강력한 힘을 부여하는 여성의 이미지를 담고 있으며, 뮐러(Janel Mueller)는 여성에 대한 던의 접근은 그가 쓰고 있는 장르에 따라 다양하다고 주장한다. 한편 도처티(Thomas Docherty)나 홀스턴(James Holstun), 하비(Elizabeth Harvey)를 포함한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은 두 번째 그룹에 속하며, 던의 작품이 여성 타자(Other) 혹은 여성의 목소리를 침묵시키고, 제한하고, 복종시키며, 식민지화하고 착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두 번째 그룹의 비평가들에게 던의 여성혐오는 논쟁의 여지없이 명백한 것이며, 그들은 “민감한 남성으로서의 던의 아이콘을 깨부수고, 그의 산문과 시속에 숨어있는 의미를 밝히려”(seek to shatter the icon of Donne as sensitive male and to demonstrate the insidious workings of his prose and poetry) 한다(DiPasquale 688-9). 피쉬(Stanley Fish)도 이러한 부정적 평가에 찬성하면, 던을 자신의 언어의 남성적인 힘에 병적으로 사로잡혀 있는 인물로 진단하고 있다(DiPasquale 689).
현재까지 던에 대한 비평은 아주 다양하다. 그리고 던은 비평가들로부터 많은 이름으로 불려진다: 여성의 신체를 혐오하고 여성의 정신을 조롱한 여성혐오주의자(misogynist); 지성보다는 감성에 덜 관심을 가진 형이상학파(metaphysician); 자신의 이익을 위해 여성을 이용한 이기주의자이자 출세주의자(egoist and careerist); 자신의 시를 위해서라면 어떤 말도 기꺼이 하는 기지 꾼(wit) 또는 탁월한 언변을 가진 수사학자(rhetorician); 그리고 여성의 관점에 아주 주의 깊고 세심한 시인/연인(poet/lover). 이러한 다양한 평가를 받는 이유는 그의 시와 산문이 아주 다양한 쟝르와, 시점, 그리고 등장인물들을 포함하고 있고, 그의 언어는 아주 불가사의하고 형이상학적이고, 그리고 가끔 어떤 한 시에서나 한 시행 내에서도 여성에 대한 태도는 너무나 빨리 변화하기 때문이다(Bell 201). 그래서, 던 자신이 무엇을 생각하는 지를 정확하게 아는 것과 여성이나 성(gender)에 대한 지속적이거나 체계적인 하나의 관점을 찾아내는 것은 아주 어렵고 어쩌면 거의 불가능 하다.
이처럼 여성과 젠더에 대한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다양한 비평적 관점들이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섹슈엘러티와 여성혐오에 초점을 맞추어 던의 초기시들을 분석하고, 또한 여성과 성에 대한 시인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II. 본론
던의 많은 초기시들은 여성과 섹슈엘러티에 집착되어 있다. 이것은 그의 당대에 젠더(gender)와 성(sex)에 대한 고정관념을 반영해주며 또한 도전인 것이다. 던이 살았던 16, 17세기는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으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더욱 더 공고해지던 시기였다. 남성과 여성의 관계가 지배와 종속의 관계를 유지하고 여성의 주체성과 목소리는 상상할 수 없던 시대에서 던의 여성에 관한 태도는 그의 시를 통해서 유추해볼 수 있다.
풍자시(“Satires”)에서 볼 수 있듯이, 던은 도시생활에 아주 깊이 빠졌고, 섹스와 돈 그리고 권력의 유혹과 협상했다. 놀랍게도 여성과 성(gender)에 관해 가장 명확한 선언을 한 것은 바로 참된 교회 탐구를 다룬, “Satyre 3” 이다. “Satyre 3”은 교회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진실을 발견하는 방식으로 여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진실성을 보여준다: “그대는 동요하지 말고/ 온 힘을 다해 하나의 종교만, 강요당하더라도 오직 하나의 종교만을 허용해야 한다”(but unmoved thou / Of force must one, and forc’d but one allow, 69-70). 이 시는 결코 하나의 참된 교회를 결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여성에 관한 두 가지 핵심 요소에 대해, 이 시는 애매모호함이나 의심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는다. 첫째, 이 시는 한 명의 진짜의 정부를 찾는 것이 부인할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둘째, 이 시는 특정 여성들을 근거로 모든 여성에 대해 일반화하는 것은 어리석고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이다라고 선언한다. “Careless Phrygius”는 풍자된다. 왜냐하면 그가 모든 여성을 혐오하기 때문이다: “모두가 다 좋을 수는 없다며 이 모두를 혐오한다/ 마치 어던 여인들이 창녀임을 아는 자가/ 아무와도 결혼하지 않으려는 것처럼”(doth abhorre All, because all cannot be good, as one / Knowing some women whores, dares marry none, 62-64). Graccus 는 정반대 결정을 내리지만, 그도 또한 여성들을 구별하지 못한 것에 대해 조롱 받는다: “Graccus loves all as one, and thinks that so / As women do in divers countries goe / In divers habits, yet are still one kinde” (65-67). 모든 여성들이 똑같다라고 어리석게 추정해서, Graccus는 스스로 지적으로 세련되지 못하고 도덕적으로도 식별력이 없는 사람인 것으로 보여준다.
1590년대에 쓰여진 Elegies에서 던은 출세지향적이지만, 원칙과 신조를 가진 변호사이자 공무원으로, 유혹적이고 설득적인 연인으로, 그리고 점점 권위 있는 시인으로 표현된다. 일부 Elegies에서는 여성을 기만적이고, 지조가 없으며, 추하고, 또는 비이성적이다라고 조롱하고 비난한다. 이렇게 여성의 신체에 대한 혐오를 표현하는 반면 다른 엘레지에서는 영적인 영광과 지적인 기쁨을 가진 친밀감이나 성적 쾌락에 기뻐하기도 한다.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는 사고방식으로 남성들은 모든 면에서, 특히 성적인 면에서 여성을 통제하고 지배하고자 한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하에서 여성의 섹슈엘러티는 항상 남성의 섹슈엘러티보다 열등한 것으로서 통제 받고 지배 받아야만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가부장적 사회에서는 남성의 성적 지배와 통제를 벗어나 성적으로 방만하고 부정하며 과도한 성욕을 지닌 여성은 남성으로부터 극심한 비난과 냉소적인 공격을 받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여성에 대한 남성의 비난과 공격은 또한, 여성의 과도한 성욕과 그로 인한 여성의 배신에 대한 남성의 두려움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Primary Sources
Donne, John. John Donne: The Complete English Poems. Ed. A. J. Smith. London: Penguin, 1996.
Secondary Sources
이상엽. 「존 던의 양성평등적 사랑」. 『중세르네상스영문학』. 19 (2011): 69-94.
______. 「존 단의 『연가』에 나타난 사랑의 정치학: 여성 혐오를 중심으로」. 『밀턴연구』 13 (2003): 67-98.
최성희. 「남근 중심적 신화의 전복: 존 던과 사포 - 「사포가 필레니스에게」읽 기」를 중심으로 」. 『영미문학 페미니즘』 12.1 (2004): 227-48.
최재헌. 『다시 읽는 존 던』.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13.
______. 『존 던의 초기시 연구』.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12.
Bell, Ilona. "Gender matters: the women in Donnes poems."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Donne. Ed. Achsah Guibbory. Cambridge: Cambridge UP, 2006. 201-14.
Carey, John. John Donne: Life, Mind, and Art. London: Faber and Faber, 1990.
DiPasquale, Theresa M. "Donne, Women, and the Spectre of Misogyny." The Oxford Handbook of John Donne. Ed. Jeanne Shami, Dennis Flynn, and M. Thomas Hester. Oxford: Oxford UP, 2011. 678-89.
Fish, Stanley. “Masculine Persuasive Force: Donne and Verbal Power.” John Donne. Ed. Andrew Mousley. London: Macmillan P, 1999. 157-81.
Guibbory, Achsa. “Erotic poetry.”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Donne. Ed. Achsah Guibbory. Cambridge: Cambridge UP, 2006. 133-47
______. “‘Oh, let mee not serve so’: The Politics of Love in Donne’s Elegies.” John Donne. Ed. Andrew Mousley. London: Macmillan P, 1999. 25-44.
Harvey, Elizabeth. “Matrix as Metaphor: Midwifery and the Conception of Voice.” John Donne. Ed. Andrew Mousley. London: Macmillan P, 1999. 135-56.
Haskin, Dayton. “The Love Lyric [Songs and Sonets].” The Oxford Handbook of John Donne. Ed. Jeanne Shami, Dennis Flynn, and M. Thomas Hester. Oxford: Oxford UP, 2011. 180-205
______. “Donne’s Afterlife.”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Donne. Ed. Achsah Guibbory. Cambridge: Cambridge UP, 2006. 233-46.
Marotti, Arthur F. John Donne, Coterie Poet. Eugene: Wipf and Stock Publishers, 1986.
Post, Jonathan F. S. “Donne’s Life: A Sketch.” The Cambridge Companion to John Donne. Ed. Achsah Guibbory. Cambridge: Cambridge UP, 2006. 1-21.
Winny, James. A Preface to Donne. London: Longman House, 1970.
Young, R. V. “The Elegy.” The Oxford Handbook of John Donne. Ed. Jeanne Shami, Dennis Flynn and M. Thomas Hester. Oxford: Oxford UP, 2011. 134-48.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