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

 1  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1
 2  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2
 3  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3
 4  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4
 5  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5
 6  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건강과 식품영양 현대인의 식습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제일 먼저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은, 현대인이 많이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점점 양적으로는 덜 먹고 있지만, 우리의 신체적 열량 소모에 비하면 많이 먹는 것이다. 두번째로는, 현대인이 너무 기름지고 너무 달고 짜게 먹고, 과일과 야채와 식이섬유와 유제품은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식습관은 암과 심혈관 질환, 비만, 골다공증,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영국의 역학연구가들은 영양소가 암의 30-60%의 경우에 중대한 기여를 함을 입증했다. 건강한 식단이 암을 사라지게 할 수는 없지만 그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이다.
II. 현대인의 질병
1. 비만증
비만이란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의미한다.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가 30.1 이상인 경우, 현재체중이 이상체중을 20%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된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에너지 대상의 이상 등이 있다. 비만의 종류에는 원인에 따라서, 단순 비만과 증후성 비만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 비만은 과식과 운동 부족이 그 원인이며, 증후성 비만은 내분비, 시상하부성, 유전, 전두엽 및 대사성 등으로 발생한다.
비만도의 평가에는 체중을 측정하는 방법, 피부주름 두께 측정법(캘리퍼를 사용)이 있다. 비만도 지수를 평가하는 임상적인 방법에는 이상체중법(Modified Brocas method)으로 가장 쉽게 사용하는 방법이며 [신장(cm)-100]X0.9를 이상체중으로 계산하여 현재체중을 백분율화시키는 방법이다. 비만도= (실측체중-표준체중)/표준체중×100%로 계산한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것이다. BMI는 체지방과 관련이 되며 상대적으로 신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상은 BMI=20.1∼25이며 과체중은 BMI가 25∼29.9로 정의된다. 비만은 BMI가 30 이상인 것이며, 고도비만은 BMI가 40.1보다 클 때이다.
kaup지수는 2세 미만의 연령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며 18 이상이면 비만이다. 체중(g)/신장(cm)x100이다. Rohler지수는 학교에서 학생의 비만판정 지수로 많이 사용하며 체중(kg)/신장(cm)3x107으로 신장이 110∼129cm에서 180 이상이고 130∼149cm에서는 170 이상, 150cm 이상에는 160 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한다. 비만으로 인한 질병에는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등이 있다. 비만의 치료에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다.
2. 위암
위는 소화기관의 시발부로 음식내에 있는 발암물질과 가장 최초로, 쉽게, 오랫동안 접촉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암이 아주 잘 발생합니다.
위벽은 안쪽으로부터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의 4층으로 되어 있는데 위암은 이 중 점막층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입니다.
일단 점막에서 암이 생기면 점차 증식하여 옆으로 확대되는 동시에 점차 아래로 위벽을 뚫고 침윤하여 벽에 있는 임파관이나 혈관 내로 암세포가 침입하여 주위 임파절이나 다른 장기에 전이를 일으킵니다.
참고문헌
IV. 참고자료
▶현대인의 식습관 자료
http://vision2021.hihome.com/min91.htm
▶질병 자료
http://www.alric.org/ipforum/117%7E130/IP123371.hwp
http://www.empas.com
http://www.naver.com
▶해결방안자료
http://www.rlsi.go.kr/2000_work/Kor/Morgue/0143.htm
http://bric.postech.ac.kr/bbs/trend/0301/030121-1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