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사] 프리스의 자기 성찰

 1  [철학사] 프리스의 자기 성찰-1
 2  [철학사] 프리스의 자기 성찰-2
 3  [철학사] 프리스의 자기 성찰-3
 4  [철학사] 프리스의 자기 성찰-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철학사] 프리스의 자기 성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프리스(Fries, Jakob Friedrich)의 생애

Ⅱ. 프리스의 철학적 기반

Ⅲ. 프리스의 철학

Ⅳ. 맺는 말

본문내용
그의 철학은 칸트의 비판 철학의 영향 아래서 심리학에서 프래트너와 종교철학에서 야코비 야코비(1743~1819)는 칸트의 비판철학이 마치 궁극적 실재를 파악 할 수 없는 것처럼 말하는 것에 대하여, 그리고 합리론자들이 운명론과 무신론을 주장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하고 외부의 대상을 경험하는 것처럼 신, 자아, 존재를 경험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물자체의 직접적 계시에 의해서 가능하고 감정과 신념 혹은 신앙에 의해 이것을 발견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 슐라이어마허 슐라이어마허(1768~1834)는 칸트의 도덕의 요구로서의 물자체계의 존재 대신에 그의 종교론에서 “종교의 본질은 사유의 행위가 아니라 직관적 감정이며 종교는 우주를 직관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물자체계에 대한 직관적 감정으로서의 인식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의 영향을 받고 라인홀드 라인홀트(1758~1823)는 칸트에 한발 더 나아가서 표상의 능력인 하나의 원리로부터 범주뿐만 아니라 감성과 지성의 능력까지도 도출해 내려고 시도한다. 하지만 여전히 대상은 표상과 독립하여 존재하는 것으로 물자체이며 인식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 피히테 피히테(1762~1814)는 칸트와 마찬가지로 도덕의 요구로서의 물자체계로 시작하여 그것의 인식가능성에 대해서 자유와 의지를 가지는 절대적 자아가 보편적인 자아에 현현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현현은 인간의 윤리적인 본성에 의해 나타나며, 이것으로 인해 우리의 삶의 의미와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된다.
, 쉘링 쉘링(1775~1854)는 칸트와는 다르게 물자체계의 원리는 보편적인 자아에 뿌리 내리고 있어서 비슷한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삼중성의 법칙을 통해서 우리는 물자체계와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삼중성의 법칙으로부터 자연의 역동적이고 진화적인 모습을 추론해 내어 그것을 통해 실재 개념에 대한 인식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다. 또한 신으로부터 타락한 인간은 자신의 자아성을 벗고 절대자로 나아갈 때 신비적 직관은 가능하게 되며 그것을 인간의 이상으로 채택한다.
의 낭만주의적 성향 낭만주의자들은 “인공적인 것보다 자연적인 것을 강요된 것보다 자발적인 것을, 냉랭한 합리성 보다 경험과 감정을, 외적이며 형식적인 것보다 내적이며 상상적인 것”을 강조했다. ; Alasdair I. C. Heron, A Century of protestant Thought, p. 12, 목창균, 『현대 신학 논쟁』(서울: 두란노), p. 44에서 재인용.
과 헤겔 헤겔(1770~1831)는 칸트가 현상계와 물자체계에 대한 완전한 분리한 자리를 대신해서 역사 안에서, 특별히 정반합적인 역사의 흐름 속에서 우리는 물자체게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의 변증법적인 역사관에 반대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심리학적-비판 철학’을 주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의 철학을 단계 별로 살펴보도록 하자.

A. 지식의 유형

기초적인 지식의 유형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칸트와 흡사하다고 할 수 있고 칸트의 생각을 공유한다고 할 수 있다. 프리스는 우선 지식을 직접적이면서 본래적인 지식과 중재적이면서 반영하는 지식의 두 단계로 나눈다. 전자는 우리가 얻는 직접적인 지식의 과정을 설명해 준다. 그는 전자를 감각으로 주어진 경험적 직관과 시간과 공간을 통해 얻어지는 순수 직관과 경험적이지 않는 직접적인 형이상학적 지식으로 다시 구분 짓는다. 이러한 구분과 동시에 이를 획득하는 하나의 범주를 나누는데 이것은 선험적(a priori)으로 인간에게 주어 진 것이다. 후자는 판단의 형식을 제공해주는 지식이며 이것은 선험적 종합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선험적인 원리와 범주를 어떠한 근거로 사물에 적용하는지와 이 형식들의 객관적인 타당성에 관한 것을 문제 삼을 수 있다. 이것은 다음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참고문헌
Paul Edwards, "Fries, Jakob Friedrich." The Encychopedia Of Philosophy. vol,3
Frank Thilly, A History of Philosophy. 김기찬 역. 『서양철학사』
Crut Freetline, Geschichte der Phiophie. 강영계 역. 『서양철학사』
철학대사전. 서울: 한국이데아
Kelley L. Ross Fries Jakob Friedrich
Fries Jakob Friedri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