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

 1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1
 2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2
 3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3
 4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4
 5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5
 6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6
 7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7
 8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8
 9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9
 10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10
 11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11
 12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국문학] 밀턴의 실낙원 에서 그려진 ‘내면의 낙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失樂’ 이후의 새로운 낙원

2. 밀턴이 ‘내면의 낙원’을 결말로 제시한 이유

3. 새로운 낙원, 그러나 보다 ‘인간적인’ 낙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밀턴의 실낙원은 17세기 영국문학뿐 아니라 중세, 더 나아가 영문학사 전체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서사시로 손꼽히는 작품이다. 밀턴은 생전에 영국의 국민문학의 전통에 입각하여 기독교 정신에 근거를 둔 서사시를 쓰는 것을 자신의 사명이라고 여겼는데, 그가 말년에 실낙원이라는 대작을 남김으로써 그의 작가로서의 삶은 그의 소원대로 이루어진 셈이다. 그런데 밀턴과 실낙원을 이해하기 위해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그가 당시 영국 정치현실에 깊이 관여했었다는 사실이며, 또 한 가지는 그가 신실한 기독교인이었다는 점이다. 작가로서 자신의 삶의 토대이자 사고와 경험의 장이 되어준 환경은 그 작가의 작품을 보다 심도 있게 읽어내는 데 있어서 간과되어서는 안 될 부분일 것이다. 밀턴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실낙원을 통하여 그가 처한 사회적 환경 가운데서 겪어야만 했던 고민과 더불어 기독교인이라는 또 하나의 정체성을 지녔던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실낙원의 총 12권 중 마지막 두 권인 11권과 12권을 통해 새롭게 제시되는 소위 ‘내면의 낙원’에 초점을 맞추어, 밀턴이 실낙원의 대단원을 인류가 내면의 낙원을 얻는 것으로 설정한 의도와 원인, 그리고 그에 따라 작품 내에서 전체 주제와 관련하여 내면의 낙원이 차지하는 위치를 조명해보고, 끝으로 이 내면의 낙원이라는 것이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어떤 시사점을 던져주는지에 관하여 고찰하면서 글을 맺고자 한다.
참고문헌
문희경. 고전 영문학의 흐름: 고대에서 18세기까지. 고려대학교 출반부. 2004.
이종우. 존 밀턴. 영미문학의 길잡이(130-140). 창작과 비평사. 2001.
조신권. 존 밀턴의 문학과 사상: 서사시로 가는 길1. 동인. 2002.
최재헌. 다시 읽는 존 밀턴의 실낙원. 경북대학교 출반부. 2004.
John Milton. 실낙원. 범우사. 1996.
John Stott. 기독교의 기본진리. 생명의 말씀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