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 분석

 1  박목월 분석-1
 2  박목월 분석-2
 3  박목월 분석-3
 4  박목월 분석-4
 5  박목월 분석-5
 6  박목월 분석-6
 7  박목월 분석-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박목월의 시 나그네, 목마른 사슴 작품분석, 이성부의 시 벼, 김상미의 시 개미, 이용악의 시 전라도 가시내 작품분석, 정지용 시 바다2 작품분석, 황지우 시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남궁벽 시 폐허 작품분석
  • [현대시분석] 박목월-행간
  • 김영랑의 시 모란이 피기까지는, 유치환의 시 바위, 박목월의 시 바다로 기울어진, 최승호의 시 붕붕거리는 풍경, 최두석 시 성에꽃, 이상 시 거울, 박노해 시 시다의 꿈 작품분석, 황석우 시 혈의 시 작품분석
  • 김소월(시인) 시 진달래꽃, 김광균(시인) 시 와사등, 신경림(시인) 시 목계장터, 박목월(시인) 시 어머니의 향기, 이용악 시 낡은집,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춘수 처용단장, 류시화 외눈박이물고기 작품분석
  • [내면][내면과 내면적 상관성][내면과 내면의식][내면과 내면성][내면과 주요한 불놀이][내면과 박목월]내면과 내면적 상관성, 내면과 내면의식, 내면과 내면성, 내면과 주요한 불놀이, 내면과 박목월 분석(내면)
  • [작가의식][구인회][운영전][영영전][최고운전][김춘수][박목월][작가][작가론][작가연구]작가의식과 구인회, 작가의식과 운영전 및 영영전, 작가의식과 최고운전, 작가의식과 김춘수, 작가의식과 박목월 분석
  • [박목월, 박목월시, 박목월의 시] 박목월의 시세계, 박목월의 시 나그네, 박목월의 시 하관, 박목월의 시 집에는, 박목월의 시 갈밭마을의 명주고름 같은 분석
  • [박목월 시세계][박목월시 이데올로기와 어머니][박목월시 향토성과 세계성][박목월시 신화적 시간]박목월의 시세계, 박목월시의 이데올로기와 어머니, 박목월시의 향토성과 세계성, 박목월시의 신화적 시간 분석
  • [내면][내면의식][내면적 상관성][내면성][박목월][계몽][내면세계][내면기행][내면작업][내면의 힘]내면과 내면의식, 내면과 내면적 상관성, 내면과 내면성, 내면과 박목월, 내면과 계몽 분석(내면, 내면의식)
  • 박목월 시의 향토성과 세계성 분석
  • 소개글
    박목월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박목월 론
    1.여는말
    청록파의 ‘시사적 의의’를 밝히는 글에서 정한모는 “한국의 시가 지향해야 할 고향과 같은 것을 찾기 위하여 새로운 자연, 새로운 세계, 새로운 음악, 새로운 정서를 찾아 이들의 시는 출발하였고, 각기 자기대로의 작업을 통하여 한 에꼴(학파)로서의 특색 있는 업적을 이룩해 놓았다”고 지적하고, 그들 각자의 특성을 목월의 향토적 정서, 지훈의 禪 감각, 두진의 기독교 의식으로 요약해 놓았다. 정한모, ‘청록파의 시사적 의의’ , 현암사, 1968
    정한모의 견해에 따르면 목월은 “향토적인 자연의 풍경과 정서를 세련된 한국의 가락에 실어 상징의 차원”에 까지 끌어올린 것이다. 이 글을 읽었을 때 우리가 아는 목월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많은 이들의 목월에 대한 배경 지식은 딱 그 정도의 수준에서 머무르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시인은 40년 간 문학 활동을 하면서 5년마다 시집을 출간하며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학교 2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린 ‘가정’이란 시도 시인의 변모해 가는 모습 속의 한 가지다. 한국 시단의 중심으로 쉼 없이 변모해간 성실한 목월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우선 생애를 통해 문학 활동의 변화를 간단히 알아 본 후 작품 경향과 대표작을 살펴보겠다.
    2.생애와 문학
    시인 박목월의 본명은 영종(泳鍾)이다. 1916년 1월 6일 경북 경주군 서면 모량리에서 아버지 박준필과 어머니 박인재 사이의 맏이로 태어났다. 1929년 3월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30년 대구에 있는 기독교계 중학교인 계성학교에 입학을 한다. 학업 성적이 좋은 학생은 아니었으나 항상 용모단정하고 온순하고 성실하며 부지런한 보통 학생이었다. 하지만 그는 보통 학생이라고 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중학생의 신분으로 이미 동요시인으로 등단한 시인이었기 때문이다. 목월은 16세가 되던 1932년 중학교 3학년때, 아동 잡지 에 동요를 투고하고 1933년 봄 에 ‘통딱딱 통딱딱’이라는 동시를 처음 발표하였으며, 그래 6월 에 ‘제비맞이’가 현상 당선되면서 정식 동요 시인으로 등단을 하였다.
    19세가 되던 1935년 학교를 졸업하고 취직을 하기 직전 겨울 방학 때 목월은 동향의 선배인 김동리를 만난다. 1935년 김동리의 ‘화랑의 후예’ 가 신춘 문예에 당선되었고 두 문학인은 서로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문우인 동시에 문학의 열정을 자극하는 일종의 경쟁자 역할을 한다.
    그런 와중 운명 같이 18세 처녀 유익순을 만나고 결혼을 하게 되고 가난하지만 안정된 생활 속에서 목월은 더욱 열심히 책을 읽고 글을 썼는데 이 무렵에는 동시 뿐 만 아니라 성인시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목월이 성인 시인이 되고자 한 내적 계기는“ 동시로서는 내적 충족을 기할 수 없기 때문이었고, 외적 계기는 1932년 2월 창간된 지의 출현이었다. 필명을 목월로 하였다. 이 필명은 목월이 좋아했던 두 시인 중 수주(樹洲) 변영로에게서 나무 수자를 따서 나무 목(木)자로 바꾸고 소월(素月) 김정식에게서는 달 월(月)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목월은 ‘길처럼’과 ‘연륜’의 두 편을 투고하여 1939년 9월호에 첫 추천을 받게 된다. 당시 정지용은 선후기를 이렇게 쓴다.
    등을 서로 대고 돌아앉아 눈물없이 울고 싶은 리리스트를 처음 만나 뵈입니다. 그려 어쩌자고 이 험악한 세상에 애련 측측한 리리 시즘을 타고 나셨습니까.
    정지용이 목월의 시의 특성을 리리시즘으로 간파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후 목월은 1939년 12월에 ‘산그늘’로 두 번째 추천을, 그리고 1940년대 9월에 ‘가을 어스름’과 ‘연륜’으로 마지막 세 번째 추천을 받아 성인시에 등단하게 된다. 여기 까지가 목월이 태어나 동요 시인에서 시인으로 거듭나는 과정이다. 이후 생애는 문학 작품과 시를 중심으로 하므로 도표로 간략하게 제시하는 것이 휠 효과적이므로 도표화한다. 문흥술, , 「박목월」, 새미, 2002
    연도
    생애 문학 활동
    시집
    참고문헌

    김봉군외, ‘박목월론’ , 민지사, 1983
    김윤식외, 디딤돌 문학, 디딤돌, 2003
    문흥술, ‘박목월의 생애와 문학’, 「박목월」, 새미, 2002
    정한모, ‘청록파의 시사적 의의’ , 보성 문화사, 1985
    이승훈, ‘무상의 역정’, , 태학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