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호란丙子胡亂개론(1)

 1  병자호란丙子胡亂개론(1)-1
 2  병자호란丙子胡亂개론(1)-2
 3  병자호란丙子胡亂개론(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병자호란丙子胡亂개론(1)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병자호란 (丙子胡亂)
1. 인조반정
대북파에 의해 정권의 중심에서 소외되어 있던 서인들은 광해군의 정책에 반발하여 반정을 일으키니 이것이 인조반정이다. 광해군은 명나라가 재조지은을 요구하며 조선의 파병을 요구하자 이를 우회적으로 거절하였고, 파병 시늉만 내고 국제 정시를 주시하였다. 한 편, 조정에서는 안평대군을 옹립하자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에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폐위 시키고 안평대군을 죽이자, 서인들은 이를 폐모살제라 하여 반정의 첫 번째 이유로 삼았고, 이어 광해군의 행동은 명을 배신하는 행위라 하여 이를 두 번째 이유로 삼은 뒤, 반정을 모의한다. 서인 이귀, 김자점, 김류, 이괄 등은 반정을 모의, 1623년 3월 21일을 거사일로 정하고 모든 계획을 추진하였다. 도중에 이이반의 누설로 탄로될 위기에 놓였으나 예정대로 거사를 단행하였다. 이서는 장단에서, 이중로는 이천에서 군사를 일으켜 홍제원에서 김류의 군대와 합류하였다. 이 군대를 능양군이 친히 거느리고 이괄을 대장으로 하여 12일 밤에 창의문으로 진군하여 훈련대장 이흥립의 내응으로 반정군은 무난히 궁궐을 점령하였다.
이후 조선은 강력한 친명배금 정책을 내세우게 되었고, 실리 대신 명분을 택하여 당시 국제 정세를 읽지 못한 조선은 다시 한 번 전란에 휩싸이게 된다. 그리고 1927년 후금은 조선에 대해 1차 침공을 감행하게 된다.
2. 병자호란 전개 과정
1627년 후금의 조선에 대한 제1차 침입, 즉 정묘호란 때, 조선과 후금은 형제지국의 맹약을 하고 양국관계는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1632년 후금은 만주 전역을 석권하고 명나라 북경을 공격하면서, 양국관계를 형제지국에서 군신지의로 고칠 것과 황금·백금 1만 냥, 전마 3,000필 등 세폐와 정병 3만을 요구하였다. 또한 1636년 2월 용골대, 마부태 등을 보내어 조선의 신사를 강요하였으나, 인조는 후금사신의 접견마저 거절하고 8도에 선전유문을 내려, 후금과 결전할 의사를 굳혔다.
1636년 4월 후금의 태종은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청이라고 고쳤으며, 조선이 강경한 자세를 보이자 왕자, 대신, 척화론자를 인질로 보내 사죄하지 않으면 공격하겠다고 위협하였다. 그러나 조선은 주화론자보다는 척화론자가 강하여 청나라의 요구를 계속 묵살하였다.
12월 2일 이런 조선의 도전적 태도에 분개한 청나라 태종은 청, 몽골, 한인으로 편성한 10만 대군을 스스로 거느리고 수도 선양을 떠나, 9일 압록강을 건너 쳐들어왔다. 의주부윤 임경업은 백마산성을 굳게 지켜 청군의 침입에 대비하였으나, 선봉장 마부대는 이 길을 피하여 서울로 진격하였다. 13일에서야 조정에서는 청나라 군의 침입사실을 알았고, 14일 적은 개성을 통과하였다.
조정에서는 급히 판윤 김경진을 검찰사로, 강화유수 장신을 주사대장으로, 심기원을 유도대장으로 삼아 강화·서울을 수비하게 하였다. 또 원임대신 윤방과 김상용으로 하여금 종묘사직의 신주와, 세자비, 원손, 봉림대군, 인평대군을 비롯한 종실 등을 강화로 피난하게 하였다.
14일 밤 인조도 강화로 피난하려 하였으나 이미 청나라 군에 의해 길이 막혀, 소현세자와 백관을 거느리고 남한산성으로 피하였다. 인조는 훈련대장 신경진 등에게 성을 굳게 지킬 것을 명하고, 8도에 근왕병을 모집하도록 격문을 발하였으며, 명나라에 급사를 보내어 지원을 청하였다. 그러나 16일 청나라 선봉군이 남한산성을 포위하였고, 1637년 1월 1일 태종이 도착하여 남한산성 아래 탄천에 20만 청나라 군을 집결시켜, 성은 완전히 고립되었다.
성내에는 군사 1만 3000명이 절약해야 겨우 50일 정도 지탱할 수 있는 식량이 있었고, 의병과 명나라 원병은 기대할 수 없었으므로 청나라 군과의 결전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성 밖에는 청나라 군이 무고한 백성들을 죽이고 노략질하기를 일삼으며, 어미는 진중(陣中)에 잡아놓고 그 아이들은 추운 길바닥에 버려 거의 모두 굶어죽고 얼어 죽었다.
특히 병자년은 혹독한 추위가 오래 계속되어, 노숙한 장수·군사들은 추위와 굶주림에 기진하여 병들고 얼어 죽는 자가 늘어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내에서는 최명길 등 주화파와 김상헌 등 주전파 사이에 논쟁이 거듭되다가, 강화론이 우세하여 마침내 성문을 열고 항복하기로 하였다. 청나라 태종은 조선의 항복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우선 인조가 친히 성 밖으로 나와 항복하되, 양국관계를 악화시킨 주모자 2, 3명을 잡아 인도할 것을 요구하였다. 때마침 강화도가 적에게 함락된 소식을 들어, 어쩔 수 없이 최명길 등을 적진에 보내어 항복조건을 교섭하게 하였다. 1월 28일 이에 청군은 용골대·마부대를 보내 다음과 같은 강화조약 조항을 제시하였다.
1) 청나라에게 군신의 예를 지킬 것
2) 명나라의 연호를 폐하고 관계를 끊으며, 명나라에서 받은 고명, 책인을 내놓을 것
3) 조선 왕의 장자, 제2자 및 여러 대신의 자제를 선양에 인질로 보낼 것
4) 성절, 정조, 동지, 천추, 경조 등의 사절은 명나라 예에 따를 것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