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1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1
 2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2
 3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잡가의 담당층과 장르적 성격
1. 잡가의 개념
조선 후기는 신분제사회가 존재기반을 잃으면서 서민문화가 전면적으로 활성화되던 시기였다. 경제구조의 변동과 새로운 사상의 유입 등은 시민의식의 성장을 가져왔고 서민문화의 전성기를 이룰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잡가는 서민문화가 활성화되어 가던 19세기에 신분적으로는 하층민에 속하던 직업적인 소리패들이 놀이공간에서 부르던 잡다한 노래들을 가리킨다. 하층민의 신분에 속하던 이러한 소리패들은 가단을 형성해서 활동하던 중인출신의 소리패들과는 달리, 민속음악의 가락을 새롭게 변형시키고 가다듬으면서 민요, 무가, 시조, 가사, 판소리 등의 기존의 시가양식의 노랫말을 수용하여 놀이마당에서 부르는 음악으로 사용했다. 이러한 노래들은 내용상으로 보아서는 동일한 연관을 찾기 어렵지만 일정한 음악과 연결되어짐으로써 하나의 양식으로 확립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노래들은 복합적인 성격을 띨 수밖에 없게 된다. 19세기 이후에 놀이공간에서 불려진 이러한 잡다한 노래를 바로 잡가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를 가지는 잡가라는 명칭은 노래가 불려지던 당시부터 쓰여졌던 것 같다. 잡가란 말은 잡스런 노래란 뜻으로 이해될 수도 있지만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부르는 노래 정도로 파악하는 것이 좋을듯하다. 즉 잡가는 시조라 가사와 같이 하나의 통일된 작품 구성원리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는 여러 양식을 혼합하여 놀이공간에서 부르는 노래로써, 한편으로는 열린 장르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정제되지 못한 비체계적인 예술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2. 잡가의 장르 처리 문제
잡가가 이처럼 복잡한 양식을 가지는 데다가 문학적인 성격과 음악적인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명칭이 가지는 의미의 파악과 그 장르 처리에 있어서도 국악계와 문학계가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악계에서 말하는 잡가는 12잡가와 평시조사설시조 등의 노래가 포함되는데, 노래의 방식에 따라 잡가라고 불렀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국악계의 잡가개념은 曲에 따른 것으로서 문학 쪽에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문학 쪽에서 논의된 잡가의 장르적 성향에 대한 견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잡가는 가사의 하위장르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조윤제 교수는 『한국 시가의 연구』에서 우리 나라 시가를 향가, 장가, 시조, 가사로 분류하고 가사와 형식적 계통이 멀지 않기 때문에 가사의 일종으로 보아야 한다고 하면서 그 이유를 첫째, 가사가 俗化하여 唱曲化할 때 형식적 변동이 일어나게 되면, 둘째, 잡가 중 적벽가, 공명가, 유산가류의 격조는 가사의 격조와 같이 44조, 34조를 쓰고 있으며, 셋째, 운율이 균일하지 못하지만 내용상으로 변모된 것을 알 수 있다라고 하여 잡가를 가사의 하위갈래로 인정해야 한다고 했다.
둘째, 잡가는 광대나 서민들에 의해서 조선 후기에 새롭게 만들어진 시가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김사엽 교수는 직업적 가수에 의해서 창작되고 불려진 노래를 잡가라고 하였다. 김사엽,『 改稿國文學史』정음사, 1956
셋째, 잡가는 현재의 유행가와 같다고 생각하는 견해이다. 즉 잡가는 19세기 당시에 놀이공간에서 불려지는 여러 가지 형태의 노래를 지칭하는 명칭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잡가는 민요속요동요를 총칭함인 바 이를 또 역대(歷代)로 보면 노래별곡타령잡가라고 명칭하였다. 이병기, 『국문학개론』, 일지사, 1961
넷째, 잡가는 문학적 유형에 대한 명칭이 될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앞에서 가사의 하위장르로 구분했던 조윤제 교수는 『국문학개론』에서 잡가는 문학유형으로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잡가는 이를 시가의 유형적 명칭이라 할 수는 없다. 여기 잡가라 하는 것은 속가라 불러도 좋은 만큼 어떤 전형적 시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보통 가곡(歌曲)에서 사용되는 그 가사(歌詞)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유산가이팔청춘가적벽가라든지 하는 일군의 가사와 또 난봉가흥타령 등의 가사를 여기 잡가라고 부르고자 하는데, 사실상 이런 것들은 그를 부르는 곡조가 위주고 그 가사는 오직 그 곡조에 의가하여서만 존재할 수 잇는 것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