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과 양옥의 비교

 1  한옥과 양옥의 비교-1
 2  한옥과 양옥의 비교-2
 3  한옥과 양옥의 비교-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옥과 양옥의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옥과 양옥의 비교
Ⅰ. 序
주택은 인간이 거주하는 물리적 환경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이며, 따라서 그러한 물리적 대상에 문화라는 말을 붙인 주택문화라는 말은 성립되지 않는다. 반면에 우리는 주택을 매개로 형성되는 주거의 방식을 문화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주거문화라고 부를 수 있다. 곧, 주거문화란 삶의 양식이 주택을 비롯해서 사람이 거주하는 여러 장소의 형태와 공간에 관련되는 방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같이 주거문화는 한 사회를 특징짓는 하나의 문화로서 성립된다. 여기서 우리의 한옥과 양옥에 대해서 ‘역사적 접근방법’에서 살펴보려한다. ‘역사적 접근방법’은 주거문화를 이루는 두 성격 곧 항상성과 변화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Ⅱ. 韓屋과 洋屋의 比較
우리가 조선시대에 지어진 한옥을 보면서 지금 그곳에 살기에는 불편하리라고 예견하게 되는 것은 오늘날의 주거생활이 당시의 그것과 그만큼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안채와 사랑채로 나뉜 한옥의 구성이 독특하게 생각되는 것은 그 당시의 규범들과 현재의 그것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당시의 문화와 오늘날의 문화를 비교한다면 그만큼 한옥과 양옥의 차이점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할 수 있다. 즉 과거 농경, 대가족중심의 사회였던 것과 오늘날 산업, 핵가족중심의 사회였다는 것을 비교하면 될 것이다. 또한 역사적인 관점에서 배고픔에 시달려 왔던 지난 세대들을 이해한다면 전통한옥과 양옥과의 괴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1. 韓屋
우선 한옥은 세상에서 가장 과학적인 집이다.
바람 한 점 없는 날에도 한옥은 시원하다. 후원의 나무숲과 뒷산의 구릉을 통해 기류가 발생하고 찬 공기가 형성되는 까닭이다,. 사실, 한옥이 첨단 고학의 결정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일조량을 조절하기 위해 처마가 1.5~1.8m로 깊은 것도 그렇고, 잔디 대신 마사토를 깔아 마당에 반사된 빛을 쬐는 고급스런 조명 방식을 택한 것만 봐도 그렇다. 그 뿐인가. 유리창 대신 창호지를 쓰기 때문에 일정한 조도를 유지해 자연스럽게 시력을 보호해 주는 것 또한 과학의 산물이다. 천장에도 선조들의 뜻은 담겨 있다. 대청 마루는 입식 공간이고 방은 좌식 공간. 사람이 서 있을 때 정수리에서 사람 키만큼 떨어져 있어야 하는 것이 천장 높이의 원칙이다. 이는 기 순환과 관련이 있는데 너무 높으면 정수리에서 발생한 기가 빠져나가 허약해지고 너무 낮으면 기가 눌린다는 데 그 근거를 둔다. 소나무를 다듬어 황토로 빚은 한옥이 온돌과 마루라는 이중 구조를 갖고 있는 것도 엄동설한과 삼복더위를 이기기 위한 과학적인 배려다. 여기에 집 안인지 바깥인지 구분이 없는 툇마루와 대청 마루. 대청 마루와 방은 나지막한 문지방을 경계로 삼는데 여섯 짝 분합문을 대들보 걸쇠에 걸면 벽이 사라진다. 유럽이 20세기에 가 벽을 연구한 것에 비하면 우리 조상의 지혜는 훨씬 앞선 것이다. 또한 한옥이 주 가옥구조 였던 시대는 농경과 대가족중심의 사회였다. 즉 농경에 가장 알맞은 구조를 경험과 선조들의 지혜를 통해 만들어낸 것이다.
2. 洋屋
양옥은 해방과 6.25전쟁을 겪으면서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라는 명목으로 서양식 개량 주택이 마구잡이로 건립되었고 이에 따라서 한옥은 헐리기 시작했다. 이유는 동선의 비효율성. 주부가 아궁이. 부뚜막. 개수대를 오가며 마당과 마루를 거쳐 안방까지 오르내리는데 많은 에너지가 소비된다는 것이었다. 양옥은 단층 스레트집에서 서양식 양옥과 오늘날 고층아파트등의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이는 양적인 확대와 산업중심과 핵가족제도에 기인한 것이다. 우선 우리역사상 오늘날을 제외하고 언제나 물질적으로 빈곤한 삶을 살아왔다. 또한 과거 농경사회와는 달리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사는 집이 아니라 단지 가옥은 소비의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주거공간은 편리함을 위주로 선호하게되었다. 또한 핵가족제도로 인해 개개인의 삶이 존중되면서 가옥구조에 있어 상대적으로 폐쇄적이게 되었다.
3. 한옥과 양옥의 혼합
물질적으로 어느 정도 풍요한 지금은 “양옥의 한옥화”나 “양옥의 한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로 양옥을 한옥의 이미지로 개보수하는 방법이 있다.
즉, 채나눔의 형식과 툇마루나 대청, 안마당 등 현대 건축에선 보기 힘들어진 여유 공간을 도입하는 것이다. 채나눔은 양옥임에도 안채와 뒷채 등의 공간을 연결, 한옥의 혹은 자형 구조를 닮아 가려는 것이며 이 외에도 베란다 대신 툇마루를 만들거나 서까래 옹마루 등을 함께 갖추는 등, 한옥의 특성을 살리려는 것이다. 아파트나 단독 주택 등 양옥에 살고 있는 일반인들도 조금만 신경을 쓰면 한옥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수 있다. 우선 골조는 콘크리트와 철골이더라도 마감재는 황토와 목조를 사용하고, 내부 공간을 개조할 경우 방 출입문을 불갈기 분합문으로 바꾸어 공간을 넓게 사용하고, 직사광선을 확산시키는 유리창 대신 창호지로 바꾼다. 이렇게 하면 집안 분위기가 은은해지고 시력 보호에도 좋다.
한편, 양옥이라도 거실과 방의 높이를 달리 하면 기 순환을 도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아파트의 경우, 시공할 때 위층과 아래층을 요철 모양으로 만들면 된다. 현재 삼성 건설에서 추진중인 아파트가 바로 이 경우에 해당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