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선 _ 해에게서 소년에게

 1  최남선 _ 해에게서 소년에게 -1
 2  최남선 _ 해에게서 소년에게 -2
 3  최남선 _ 해에게서 소년에게 -3
 4  최남선 _ 해에게서 소년에게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최남선 _ 해에게서 소년에게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Ⅰ.작가소개 : 최남선 [崔南善, 1890.4.26~1957.10.10]
본관 동주(東州:鐵原), 호 육당(六堂), 자 공륙(公六), 아명 창흥(昌 興), 세례명 베드로이다. 자습으로 한글을 깨쳐 1901년(광무 5)부터 《황성신문》에 투고했고 이듬해 경성학당에 입학하여 일본어를 배웠다. 1904년 황실유학생으로 소년반장(少年班長)이 되어, 도쿄[東京]부립중 학에 입학했으나 3개월 만에 귀국했다. 1906년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와세다[早稻田]대학 지리역사학과에 들어가 유학생회보 《대한흥학회보 (大韓興學會報)》를 편집하면서 새로운 형식의 시와 시조를 발표했다.
1907년 모의국회 사건으로 퇴학, 이듬해 귀국하여 자택에 신문관(新文館)을 설립하고 인쇄와 출판을 했다. 다음해 잡지 《소년》를 창간하여 논설문과 새로운 형식의 자유시 〈해(海)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고, 한편 이광수의 계몽적인 소설을 실어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의 한 사람이 되었다. 1909년 안창호(安昌浩)와 함께 청년학우회 설립위원이 되고, 이듬해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를 창설하여 고전을 간행하고 20여 종의 육전소설(六錢小說)을 발간했다. 1913년 다시 《아이들 보이》를 창간했으나 이듬해 폐간되자 다시 《청춘(靑春)》을 발간하여 초창기 문학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919년 3·1운동 때는 독립선언문을 기초하고 민족대표 48인 중의 한 사람으로 체포되어 2년 6개월 형을 선고받았으나 다음해 가출옥했다. 1922년 동명사(東明社)를 설립, 주간지 《동명(東明)》을 발행하면서 국사연구에 전념했다. 1924년 《시대일보(時代日報)》를 창간, 사장에 취임했으나 곧 사임, 이듬해 《동아일보(東亞日報)》의 객원이 되어 사설을 썼다. 1927년 총독부의 조선사편찬위원회 촉탁을 거쳐 위원이 되고, 1932년 중앙불교전문학교 강사가 되었다. 1938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만몽일보(滿蒙日報)》 고문으로 있다가 1939년 일본 관동군이 세운 건국대학(建國大學) 교수가 되었고, 귀국 후 1943년 재일조선인 유학생의 학병지원을 권고하는 강연을 하기 위하여 도쿄로 건너갔다. 광복 후 우이동(牛耳洞)에 은거, 역사논문 집필에 전념하다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기소되어 1949년 수감되었으나 병보석되었다. 6·25전쟁 때 해군전사편찬위원회 촉탁이 되었다가 서울시사(市史) 편찬위원회 고문으로 추대되었고, 그후 국사관계 저술을 하다가 뇌일혈로 작고했다.
신문화 수입기에서 언문일치(言文一致)의 신문학운동과 국학(國學) 관계의 개척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이원(利原)의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를 발견하였다. 저서에 창작 시조집 《백팔번뇌(百八煩惱)》, 시조집 《시조유취(時調類聚)》, 역사서 《단군론(檀君論)》 《조선역사》 《삼국유사해제》 《조선독립운동사(朝鮮獨立運動史)》 등 다수가 있다.
Ⅱ.신체시(新體詩)
1.정의(定義)
한국의 신문학 초창기에 쓰여진 새로운 형태의 시가(詩歌)로 ‘신시’라고도 한다. 그 전의 창가(唱歌)와 이후의 자유시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종래의 고가(古歌)인 시조나 가사와는 달리 당대의 속어(俗語)를 사용하고, 서유럽의 근대시나 일본의 신체시의 영향을 받은 한국 근대시의 초기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시의 효시는 1908년 11월 《소년(少年)》 창간호에 실린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의 《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를 꼽으나, 이에 앞서 1905년 무렵 작자 미상의 신체시 《아양구첩(峨洋九疊)》 《원백설(怨白雪)》 《충혼소한(忠魂訴恨)》이 발표되었고, 1896년 이승만(李承晩)이 《협성회보(協成會報)》에 《고목가(枯木歌)》라는 신체시를 발표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육당의 일련의 신체시를 그 형태상으로 보면 대개 7·5조의 자수율(字數律)로서 이루어 놓은 정형시이다. 즉, 신체시는 창가적 정형성과 후렴이 있으나, 고전시가의 율문적(律文的) 표현을 지니므로 준정형시(準定型詩)라고 볼 수 있다.
2.형식(形式)
3.4조가 기본이 되는 구형을 깨뜨리고 7.5조 내지 3.4.5조의 새로운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것은 부분적 정형률은 가졌지만 전체가 일률적인 율조(律調)로 된 것이 아닌 점에서 자유시에 한 발 다가선 형태이다.
3.내용(內容)
개화 의식, 자주 독립과 민족정신, 신교육, 남녀평등 등의 사상을 담고 있다.
4.특징(特徵)
참고문헌
Ⅳ.참고문헌
-김은철, 한국근대시의 출발과 지향, 국학자료원, 2000.
-양승준, 양승국 공저. 한국현대시 400선-이해와 감상, 태학사, 1996.
-한철우 외 7인, 고등학교 문학(하) 교사용 지도서, 문원각, 200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1997.
-[출처] 번안소설(飜案小說) |작성자 재봉틀
-두산백과사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