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1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1
 2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2
 3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3
 4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
1. 중국식 마르크스주의 이철승, 『유가사상과 중국식 사회주의 철학』심산, 2002, 214-222쪽.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모택동의 “옛 것은 현재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古爲今用)”는 관점에 따라 전통과 현대를 유기적으로 연계시켜왔다. 초기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유학의 시조라 할 수 있는 공자를 비판했는데, 이는 전통을 부정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기여를 했다. 그들은 마르크스주의에서 역사적 유물론의 관점만 받아들였기에 학술 분야 역시 대부분 정치적인 관점으로 일관해왔다.
1923년 구추백에 의해 변증법적 유물론이 중국에 소개되고, 1930년대에 이달과 애사기 등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중국의 실정과 결합한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관한 책을 출판 한 후, 중국 실정에 맞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실제적으로 적용되었다. 1937년 모택동에 의해 저술된 「실천론」과 「모순론」의 출판을 계기로,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철저히 중국식 마르크스주의로 전환해 갔다.
중국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진리를 인간의 의지에 관계없이 존재하는 객관 대상을 인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실천과 인식의 끊임없는 변증법적 통일 과정으로 보았다. 그들에게 진리는 하나의 과정으로써, 역사의 과정에서 획득되는 것이다. 모택동과 등소평은 이러한 진리의 기준을 이성적 인식의 대상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사회적 실천으로 확장했다. 그들에게 있어 "실천이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기준"이었다.
모택동을 비롯한 중국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전통 사상, 특히 유학의 많은 부분이 자신들의 관점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고 마르크스주의철학과 긴밀히 결합해야 할 관계로 생각했다. 그들이 말한 유학과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공통점은 대동사상, 백성 중시하는 사상, 경세치용 사상, 지행통일 사상, 변증법 사상, 무신론 사상, 공평한 인재 등용 사상, 인간의 의지 중시 사상 등이다. 여기서의 인간 의지 강조는 물적 토대 없는 주관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역사의 객관 법칙을 인식하면서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관 의지다. 또한 중국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당시 중국이 당면한 많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보편 원리를 받아들이면서도 중국의 특성에 맞게 중국 혁명의 구체적인 실천과 결합하기 위해 노력했다.
2. 모택동
1) 생애
자 룬즈[潤之]. 후난성[湖南省] 샹탄현[湘潭縣] 사오산[韶山]에서 중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 서당에서 논어 등 사서를 배웠고 호남제일사범학교에서 공부한 다음, 북경대학 도서관 사서로 일했다. 1921년 상해에서 있었던 12명의 중국공산당 창당멤버의 한 사람이었다. 1933년 1월 당 중앙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35년 1월에는 당 중앙서기처 서기로, 10월에는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으로, 그리고 1943년 당 중앙위원회와 중앙정치국의 주석으로 선출되어 최고지도자로 활동하였다. 그의 지도 아래 중국공산당은 항일전쟁에서 승리했고 국민당을 사당화했던 장제스와의 내전에서 승리, 중화인민공화국을 창건하였다. 그 후 그는 중국사회의 사회주의적 개조,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등을 주도한 후, 1976년 9월 베이징에서 사망하였다.
2) 인식과 실천의 문제
모택동은 실천에 대해 인식 대상이 형성되는 기초이며 대상 인식에 대한 기초로써 인식 대상과 대상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통일되는 것이라고 했다. 실천은 그 자체가 하나의 객관 존재이면서도, 하나의 관계로서 철학적 반성을 필요로 한다. 「실천론」에서 “인식은 실천으로부터 시작하고, 실천을 통하여 이론적인 인식에 도달하며, 다시 실천으로 돌아간다” 모택동, 「실천론」,1권, 269쪽.
고 말하면서 인식과 실천이 서로 다른 성질이지만 끊임없이 상호 침투하는 것으로 여겼다. 인식 자체는 주관적 영역에 속하나, 인식은 사회적 실천에 의존할 때에야 비로소 성립하는 것이다. 또한 인식은 객관적 실천에 의존하지만, 능동성이 있는 것(자각능동성)이라고 했다. 객관을 농동적으로 반영하는 주관적 작용에 의해 주관과 객관의 통일을 이루면 인식 운동이 완성될 수 있음을 들며 주관과 객관의 통일을 중시했다.
모든 객관 세계의 변증법적 운동은 모두 인간의 인식 속에 반영될 수 있는 것이다. 사회적 실천 중의 발생·발전·소멸의 과정은 무궁하고, 인식의 발생·발전·소멸의 과정 역시 무궁하다. 그는 객관 현실 세계의 변화 운동이 영원히 완결되지 않듯이 실천 속에서 진리에 대한 인간의 인식 역시 영원히 미완일 거라 생각했다. 따라서 그는 이론과 실천, 주관과 객관, 인식과 실천이 구체적 역사에서 통일되기 위해 구체적 역사에서 행해지는 모든 잘못된 사상과 단절해야 할 것으로 생각했다.
3) 사회 적용 및 한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