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

 1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1
 2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2
 3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3
 4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4
 5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5
 6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6
 7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7
 8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8
 9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9
 10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10
 11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11
 12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12
 13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13
 14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14
 15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방언학] 백석 시의 방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면서
1.1 방언 시어화의 의미
1.2. 백석 시의 방언 지향

2. 백석시에서 방언 사용과 그 성격

3. 나오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1.1 방언 시어화의 의미
시에서 사용된 언어 즉, 시어는 일상언어와 다른 범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시어는 일상언어를 바탕으로 시어화 과정을 거쳐 시에서 새로운 생명을 얻어 시어로 의미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표준어만이 시어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방언 또한 시어로 사용될 수 있다.
이태준(1938)은 『문장강화』에서 문학어에 대한 관점을 설명하면서 표준어와 방언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태준은 문장에서 방언을 쓸 것인가 표준어를 쓸 것인가는 길게 생각할 필요도 없이 표준어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며 그 이유를 3가지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방언이 문장에서 필요한 때도 있다고 하였는데 “본래 작품은 그 제재나 배경, 등장인물을 생동하게 그려내어야 한다. 그를 위해 등장인물의 대화 같은 것에는 방언이 필요하나”는 것이다. 이러한 이태준의 문장에서 방언사용에 관한 논의는 “언문통일”을 위해 방언사용의 역기능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계몽주의적 입장을 견지한 것이며, 방언의 효용, 기능이 소설작품에서 지방색을 살리는 측면에서만 파악한 것이다.
또한 소월, 영랑, 백석 같은 시인들의 시에서의 방언사용에 대한 기능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태준의 지적은 이미 문학작품에서 방언의 표현적 의의를 알고 이를 문학의 언어로 형상화하는 문인들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소설에서는 김동인, 홍명희 등이 대표적인 작가이며, 시에서는 김소월, 김영랑, 백석, 한용운, 이용악 등이 있었다.
참고문헌
김우창, 「언어․사회․문체」, 『시인의 보석』(김우창전집 3), 민음사, 1993
김재용, 백석 전집(증보판), 실천문학사, 2003.
전봉관, 백석 시의 방언과 그 미학적 의미, 2000
이희중, 백석의 북방 시편 연구, 2004
강희숙, 백석의 시어와 구개음화,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