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1  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1
 2  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2
 3  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3
 4  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4
 5  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새 세대의 충격과 1960년대 소설
1
1960년대에 들어서 가장 중요한 문학적 변모는 1950년대의 순수문학적 경향에 대한 반성과 함께 대두한 사회에 대한 새로운 의식에 야기된 창작계의 변모라 할 수 있다.
6·25의 상흔으로부터 어느 정도 시간적 거리를 갖게 되고 또한 자유당 정권의 부패에 따른 저항의식 등이 휴머니즘을 기저로 싹터 나오는 등 그동안의 순수문학이 견지해온 문학의 독자성 ·순수성을 유지하면서 좌·우 대립으로 경색되고 상실되었던 사회적 공리성이 되살아나는 형태였다. 이외에도 서구문학에의 관심과 신인들의 기존 문단에 대한 비판도 거기에 한몫을 한다.
그렇다고 전반적인 특징이 모든 작가에게서 나온 것은 아니었다. 작가들에게는 제 특징들의 특정 측면들이 부분적으로 강조되면서 여러 특징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60년대 이전에 우수한 작품을 써온 작가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해왔고, 60년대에 등단한 신인들도 50년대 경향의 흔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1960년대 문학의 특징은 1960년대 후반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는 4·19와 5·16이라는 사회변혁적 소용돌이가 비교적 잠잠해지면서 그에 대한 문학인의 고민과 대응이 본격적으로 행해지는 데 있다.
1960년대 중반 이후 등장하는 신인들의 작품세계는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김승옥·이청준·최인호 등 내성적· 실험적 창작기법을 과감하게 도입한 모더니즘적 경향에 있는 부류와 신상웅·이문수·정을병 등 정통적인 사실적 수법을 지향하지만 전대와 다른 새로운 시대의식을 보이고 있는 부류가 그것이다. 그런 점에서 1960년대 문학의 새로운 흐름은 내성적 기교주의 문학(혹은 모더니즘적 경향)과 시민적 리얼리즘의 문학이라 할 수 있고, 그 이전부터 창작활동을 해온 작가들의 경향까지 포함하면 전통적 서정주의 문학(혹은 민족주의적 경향)을 또 하나의 부류로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2
새로운 세대에 가강 충격적인 작품인 최인훈의「廣場」은 1960년대 벽두 4·19혁명으로 탈바꿈한 사회가 변화의 모살을 앓던 시기에 11월부터『새벽』지에 발표된다. 1948년 이후 엄두도 낼 수 없었던 소재를 장면에서 다룬 점이 주목되는데, 분단과 전쟁과 후진국이라는 비참한 역사 앞에선 한 지식인의 고뇌가 깊이 담겨있는 작품이다.
‘밀실만 충만하고 광장은 죽어버린’ 남한과 ‘끝없이 복창만 강요하는’ 북한에서 안식처를 발견하지 못하는 이명준이란 지식인의 삶에서 보여주는 그의 도피는 비극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당시 4·19 열풍 후 젊은 층에서 대두한 새로운 문제의식을 표면화시킨 것으로 작품에 짙게 배어 관념마저도 탈출구를 분명하게 발견하지 못한 시대의식 반영이었다. 그러나 객관적 현실상황을 중시하지 못하는 개인적 관념의 세계에 갇혀 있는 주인공이지만, 당시 상황으로 불과 10여 년 전에 조성해놓은 민족의 비극이었기에 현실 자체의 문제로 돌아왔다.
최인훈의 「광장」이 갖는 이중적 측면은 1960년대 소설의 주요한 면모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