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

 1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1
 2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2
 3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3
 4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4
 5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5
 6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6
 7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7
 8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구비문학] 민담 속의 주체적 여성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0. 들어가며

1. 기존 제도에 문제제기하는 여성

2. 기존 제도 속에서 자아 실현의 방안을 모색하는 여성

3. 스스로 자각하고 성장하는 여성상

4. 나오며



본문내용
한국 여성의 전통적 모습은 어떠했을까? 라고 질문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모습은 현명한 아내, 자애로운 어머니로 형상화된 긍정적 여성상과 악녀, 우부(愚婦)의 부정적 여성상일 것이다. 이처럼 ‘전통적 여성상’이라 했을 때 우리가 떠올리는 여성의 모습은 기존 사회와 제도에 의해서 걸러진 여성의 모습인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 경우 가부장 사회와 남성의 시각에 의하여 타자화된 여성의 모습이 아닌 여성원형의 모습을 찾고자 했을 때 가장 먼저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가 민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신화나 전설이 집권세력이나 시대의식에 따라 변화되는 데 비해서 민담은 비교적 순수하게 기층 민중의 의식을 담지하고 있는 설화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민중들의 삶 속에 녹아들어 자연스럽게 구연되는 민담의 전승 상황과 관련되는 특징으로 민담 속에서는 그 시대를 지배하는 주도적인 이념에 반하는 민중의 현실적인 모습이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비교적 차원에서의 이야기일 뿐 민담 또한 전승과정에서 많은 의식적 수식과 수정이 가해지며 시대나 문화권의 의식의 상황에 따른 특성을 표현한다. 따라서 비록 수적으로는 기존 이념에 합치하는 민담이 다수를 차지할지라도, 민담의 이러한 반 제도적 시도 속에서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는 진취적 여성상을, 전승되는 이야기 중 가장 자유로운 형식을 구가할 수 있었던 민담의 특징으로부터 폭넓고 다양한 여성상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었다. 따라서 민담 속에서 드러나는 다채로운 여성의 모습들을 현대의 문제의식 속에서 재발견해보는 일 또한 전승되는 설화를 의미 있게 향유할 수 있는 방안이 되리라는 합의 하에 우리 조에서는 당면한 시대상황 속에서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주체적인 모습을 드러내보였던 여성의 모습을 찾아보기로 하였다.

참고문헌
『옛날이야기꾸러미』 / 최인학, 엄용희 [공]편저. 서울 : 집문당, 2003.

『한국의 민담 = Korean folktales』 / 최운식 편저, 서울 : 시인사, 1999.

『기센 여자가 팔자도 좋다-민담 속의 여인들』/ 박미라, 여난영 엮음, 서울: 여성사, 1995

『한국 여성의 전통상』中「한국민담 속의 여성원형상」/김열규 외, 민음사, 1985

「口碑說話에 나타난 여성의 ‘性的 主體性’ 문제」/ 李仁卿, 한국 구비문학회 동계 학술대회 논문,

『고소설연구』제 16집「계모형 가정소설의 서사구조적 원리와 존재양상 연구」/이윤경.

『한국민속학』27집 「구렁덩덩 신선비의 상징성-여성 의식세계를 중심으로」/신해진

『한국민속학』19집 「계모설화에 대하여」/최운식

『동양한문학 연구』제 18집 「설화에서 본 여성 주체의 자각과 성장」/ 곽정식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