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

 1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1
 2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2
 3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3
 4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4
 5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5
 6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6
 7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7
 8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8
 9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9
 10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10
 11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11
 12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학사] 민중사학에 대해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민중사학과 과학적 실천적 역사학
3. 민중사학의 변천과 흐름
4. 한국역사연구회
5. 맺음말
본문내용

모든 역사 연구는 사회적 실천이며, 연구자 자신의 의식 여부와는 상관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사회성을 띠지 않을 수 없다. 80년대 이전까지의 역사 연구가 고증에 치중하는 연구에 국한되었던 것은 역사 연구의 이러한 특징(당시의 정치 이데올로기와 대립하지 않는 역사 연구만이 발전하였던 상황)을 말해준다 하겠다. 이러한 역사와 사회성 간의 연계성은 80년대의 역사학의 연구 방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1980년 광주민중항쟁에서 1987년 6월 항쟁에 이르기까지 80년대는 민중의 사회적 진출이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했던 시기였다. 민중사학이 말하고 있듯이 민중사학의 관점에서 역사, 다시 말해 사회 변동의 주체는 민중이다. 80년대의 민중운동의 폭발적인 증가는 기존 민족사학에 민중이라는 새로운 자양분을 풍부히 공급하였다. 처음 민중사학을 제기한 이들은 전체 사회구성과 그 모순구조의 인식에 기초해 그 모순 해결의 주체를 민중으로 설정하고 그 민중이 계급적, 민족적 해방을 이루어 가는 과정으로 역사발전을 이해하는 역사 이론이었다.
민중사학에서 민중을 바라보는 관점은 광범위하다. 이 발표문에서 그 관점에 대해 모두 밝히기엔 너무나 미흡한 점이 많다. 여기서는 80년대 그리고 90년대 민중사학을 말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민중의 의미와 정의하는 기준 그리고 시대와의 소통에 대해 협소하게나마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성보, 민중사학 아직도 유효한가, 역사비평 1991년 가을호, 1991.
김인걸, 현대 한국사학의 과제―과학적 역사학의 비판적 계승, 20세기 역사학 21세기 역사학, 역사비평사, 2000.
권두좌담, 80년대 민중사학론 무엇이 문제인가, 역사문제연구소, 1989.
박찬승, 역사의 ‘진보’와 ‘진보’의 역사학, 한국 인문사회과학의 현재와 미래, 푸른숲, 1998.
이기동, 민중사학론, 현대 한국사학과 사관, 일조각, 1991.
이동기, 서평 과학적 실천적 역사학이란 무엇인가, 역사와 현실 1997년 12월
이세영, 한국사연구와 과학성, 청년사, 1997.
이윤갑, 서평 '과학적 실천적 역사학'운동의 성과와 과제, 역사비평 1989년 여름호, 1989.
이윤갑, 한국 현대의 민족사학의 전개와 민중사학, 한국학논집 Vol.22 No.1, 1995.
한국민중사연구회, 한국민중사1․2, 풀빛, 1986.
한국역사연구회 약사․창립취지문, www.koreanhistory.org
한국역사연구회 편, 한국사강의, 한울아카데미, 1989.
한국역사연구회 편, 한국역사입문, 풀빛, 199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