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

 1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1
 2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2
 3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3
 4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4
 5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5
 6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6
 7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7
 8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8
 9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9
 10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10
 11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임말

2.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의 개념

3. 한자병용과 한글전용 관련 정책의 변천 과정

4.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 논쟁

5. 한자병용과 교육, 한글전용과 교육

6. 북한의 언어정책 변화

7. 맺음말

8. 참고 자료 및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1. 들임말
국민들의 문자생활을 방향 짓는 문자정책은 국민 개개인의 삶은 물론 국가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말과 글은 가장 일차적이고 직접적인 정보소통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고와 인식을 지배하는 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자정책은 단순히 문자 사용에 관한 지침이라는 미시적 차원을 넘어, 역사의식과 자기정체성 그리고 국가의 미래상 등을 함께 포괄하는 거시적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1999년 문화관광부가 “공문서와 도로표지판에 한글과 한자를 병기하고 교육용 한자를 재조정하겠다”고 발표함으로써 한자병용과 한글전용의 해묵은 논쟁이 재기되었다. 논쟁은 처음 에는 한자병용 문제에서 촉발되었지만, 잠복해 있던 한자혼용론이 이를 계기로 표면화되면서 문자정책 전반에 대한 논쟁으로 확대된 것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한자병용론과 한글전용론의 정확한 개념을 알아보고 주요한 논쟁점을 살펴봄으로써 두 주장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윤학, 박이정 1996 『못다한 국어사랑 이야기』 p.113~114, 120~124, 143~149
김경일 공저, 박이정 2000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 p.58~61,64~68 300~301,304~306
최현배, 정음문화사 『한글만 쓰기의 주장』
김병기, 도서출판다운샘 『21세기, 한자는 필수다. 아직도 '한글전용'을 고집해야 하는가?』
박정도, 1998『한문과 생활』
이진우, 서문당 2002 『우리말이 우리말이 아니다.』
남성우, 정재영, 고려원 1990『북한의 언어생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