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

 1  [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1
 2  [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2
 3  [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3
 4  [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4
 5  [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5
 6  [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과 여성]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나혜석 `경희`, 정이현 `이십세기 모단걸`을 통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이란

* 식민지 시대와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적용

* 이십세기 모단걸

* 기대하는 방향



본문내용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은 주로 식민 시대 여성의 삶과 역사를 발굴하고 재해석하는 작업에서부터 다국적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충돌에 의해 새롭게 편성되는 식민성을 둘러싼 지형을 파악하는 데로 문제 의식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그 통치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는 점과, 같은 동양인으로 외모로는 구별하기 어려운 사람들 간에 일어난 지배 관계이며, 특히 역사적으로 대등한 관계를 맺어 오던 나라에 의해 지배당했다 조혜정,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2, 또 하나의 문화, 1994. 49쪽에서 인용.
는 점에서 일제에 의한 지배 상황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식민지 상황과는 좀 다른 식민지적 체험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일본 제국은 서구 열강을 적극적으로 모방하면서 식민지 지배에 나섰으며, 따라서 서구에 의해 직접적 지배를 받았던 다른 제3세계 사회의 경험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적어도 이 글에서 문제삼고자 하는 식민지 교육과 문화 산업의 면에서 그러하다.
일제 식민지 교육의 골자는 근대화를 통해 식민지 이전보다 훨씬 더 잘살 수 있게 된다는 진보주의 사관의 주입 조혜정, 앞의 책, 57쪽에서 인용.
이었다. 식민지적 지배 담론에 대한 저항 담론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서구적 진보관을 바탕으로 한 지배 담론의 힘은 막강했다. 동경이라는 ‘근대 사회’에서 엘리트로 양성된 식민지 시대 지식인들은 ‘근대적 지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이러한 ‘근대성’은 계몽적 합리주의를 근간으로 한다. 계몽주의 사상에 근거하고 있는 보편적 이성 이론은, 권력 혹은 재산을 가진 일부 주체집단의 경험을 인류의 전형적인 사례로 파악하여 규정된 보편주의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남성중심적 제국주의 권력은 제국에 예속된 식민지 남성 권력을 만들어내며, 그와 함께 여성성의 거세 및 타자화를 수행한다. 즉, 남성으로 상징되는 신문명, 근대라는 이름으로 그것이 결여된 여성을 구여성으로 거세시킨다. 여성은 가정의 영역에서 개화되는 방식을 통해 거세를 위장한 모습으로 신질서에 편입된다
참고문헌
가야트리 스피박, 윤정미 역, 「세 여성의 텍스트와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 『외국문학』31호, 열음사, 1992.
권명아, 「새로운 주체성의 서사를 위한 기획과 여성적 주체성의 서사」, 『여성문학연구』5호, 태학사, 2001.
김복순, 「‘딸의 서사’에 나타난 타자의 이중성」, 『인문과학연구논총』23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나병철,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2004.
이경순, 「진 리이스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영미문학 페미니즘』1집, 영미문학 페미니즘학회, 1995.
,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외국문학』31호, 열음사, 1992.
이덕화, 「신여성문학에 나타난 근대체험과 타자의식」, 『여성문학연구』6호, 태학사, 2001.
조혜정,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2, 또 하나의 문화, 1994.
태혜숙,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