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

 1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1
 2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2
 3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3
 4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4
 5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5
 6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6
 7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7
 8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대부 가사의 전개 양상과 서술방식의 변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대부 가사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2. 사대부 가사의 주제별 전개 양상
3. 사대부 가사의 서술방식

Ⅲ. 결론
본문내용
이 작품의 전체는 사계절의 경치를 바탕으로 님을 그리는 강렬한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제1단락은 서두 부분으로 평생을 함께 살기로 한 님을 이별하고 애태우는데 무심한 세월이 너무 빨리 흘러감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제2단락에서는 봄에 님은 나를 잊고 있지만, 시적 화자는 님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봄에 핀 매화를 꺾어서 님에게 보내고, 님에게 나를 기억시키고자 한다. 제3단락에서는 여름에 님이 입을 옷을 지어 보내고자 하지마는 현실적으로 님은 먼 곳에 있기 때문에 보낼 수 없는 안타까운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4단락에서는 가을철에 달빛과 별빛으로 푸른 빛을 발산하여 님 계신 어두운 곳을 낮과 같이 만들고자 한다. 제5단락에서는 추운 겨울철에 추위에 떨고 있을 님을 생각하고 따뜻한 양지의 봄을 님에게 실어 보내고자 한다. 제6단락은 결말 부분으로 님에게 접근하기 위해서 변신하여 범나비가 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이 작품의 서술방식은 시간적 질서에 따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순서대로 이어져 있다.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봄에는 매화, 여름에는 님의 옷, 가을에는 淸光, 겨울에는 陽春을 통해 님과의 만남을 시도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이런 현실적인 소재로 님을 만날 수가 없어서 결말 부분에서는 범나비로 변신하여 님의 곁에 가서 자신의 사랑하는 마음을 알리겠다고 한다. 작품 내에서 시적 화자의 심정 변화는 현실적인 문제가 점점 추상적으로 확대되어 심화되고 있다. 즉 현실적인 매화와 님의 옷에서 추상적인 청광과 양춘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시적 화자가 지닌 님의 부재인 현실과 대립하는 감정은 점점 깊어진다. 점차 현실과 대립이 심해진 시적 화자는 현실의 좌절을 극적으로 변환시키는 표현법을 결말 부분에 와서 사용하게 된다. 결말 부분에서는 골수에 깊이든 병을 잊기 위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범나비'가 되어서 님의 옷에 날아가 님을 섬기겠다고 한다. 결말 부분에서는 님을 만나고자 하는 마음을 현실에서 해결할 수 없으므로 존재의 차원을 달리한 변신의 세계에서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의 서술방식은 현실적인 불가능을 해결하기 위해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사계절에 님을 그리는 마음을 주로 표현하여 의미단락을 연결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서술방식은 본사 부분의 어느 한 단락의 내용을 늘이거나 줄여도 작품의 질서는 그대로 유지된다. 그러나 작품 속에 한 단락을 빼거나 생략해 버리면 작품의 서술방식은 크게 어긋나게 된다. 이러한 작품들은 각 단락의 작은 의미들이 모여서 작품 전체의 큰 의미가 된다. 그리고 각 단락을 선후관계와 인과관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작품 내에서 선후관계의 질서는 존재하고 있으나, 인과관계의 질서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서술방식으로 된 16세기 사대부가사의 작품으로는 , , 등이 있다. 그래서 연쇄적 서술이란 사계절의 경치, 오륜, 열두 달 등의 각 단락의 구체적인 내용을 표현하는데 편리한 서술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상보. “사대부와 가사”, 국문학 연구 총서4 교육학회 편, 태학사
최상은. “연군가사의 짜임새와 미의식”, 신편고전시가론, 새문사
조동일외 6명, 한국문학강의, 221~225
혜진서관, 국문학 개론, 142~148
유해춘, “16세기 사대부가사의 연구”
최상은. 조선사대부가사의 미의식과 문학성, 보고사
이승남. 사대부가사의 갈등표출 연구, 역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