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

 1  [[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1
 2  [[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2
 3  [[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3
 4  [[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4
 5  [[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5
 6  [[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사]] 한국 문학사 근현대 시기 구분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서구에서는 19세기 말에서부터 20세기의 작가들을 “modern” 작가로 취급하고 있고, 우리 말의 현대작가라는 함축이 담긴 소설은 20세기에 들어와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는 작가를 지칭하고 있다. 그러나 작품 경향에서도 “modern”이라는 말을 붙여 줄 작가에 대해 참작되는 바는 있는 것 가다. 예를 들면, 토마스 하디를 “modern novelist”라고 부르기는 주저되지만 조셉 콘라드를 그렇게 부르는 데는 별 이의가 없기 때문이다.
“근대”와 “현대”를 우리말에서 이왕 구별해서 쓰고, 그 뜻하는 바의 함축이 다르다는 것 인정한다면 우리 문학사에도 구별해서 쓰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갑오경장 이후의 개화기 문학과 1920년대 문학을 근대문학으로, 1930년대 이후의 문학을 현대문학으로 지칭하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근대소설과 현대소설은 어떤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정의를 내리기는 어려운 일이겠지만, 다음 세 항목에 걸쳐 그 차이를 지적해 보자. 첫째, 현대소설은 형식적 실사주의에 입각한 관찰만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세계를 표현하려 한다. 형식적 실사주의의 기반은 실증주의에 있다. 따라서 가시의 물증성과 논리성이 중시된다. 현실에서의 개연성이 무시된 이야기는 거부되며, 스토리의 인과성이 중시된다. 이에 반하여 현대소설은 사물과 사건에 반응하는 이간의 심리를 중시하며, 인간 존재의 의미에 관심을 둔다. 이것은 특히 20세기 초에 나타난 프로이드의 심층 심리학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도스토예프스키, 카프카, 앙드레 지드, 프루스트, 까뮈, 사르트르, 버지니아 울프 등의 작가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인간의 사회적 조건을 거시적으로 파악하고 역사 진행의 정당성을 당위론적으로 관찰하고 있는 사회 사실주의의 소설은 이와는 다른 의미에서 현대소설로 산정해 넣을 수 있을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소설 자체보다는 달성해야 할 목적에 집착한 나머지 양질의 작품을 많이 생산해내지 못한 현실을 어떻게 변명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참고문헌
김상태, 『한국현대문학론』, 평민사, 1994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임규찬, 『문학사와 비평적 쟁점』,태학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