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

 1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1
 2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2
 3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3
 4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4
 5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5
 6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6
 7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7
 8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8
 9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9
 10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10
 11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11
 12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12
 13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세국어] 중세국어의 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격조사

ⅰ. 격조사
ⅱ. 격조사의 종류
가. 주격조사
나. 대격조사
다. 속격조사
라. 처격조사
마. 여격조사
바. 구격조사
사. 공동격조사
아. 호격조사

Ⅱ. 보조조사

ⅰ. 보조조사
ⅱ. 보조조사의 종류
본문내용
Ⅰ. 격조사

ⅰ. 격조사

격이란 문장 속에서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이 서술어에 대하여 가지는 자격을 이르는 것으로, 체언에 관계하는 기본적인 문법범주의 하나이다. 격의 기능은 문법적 기능과 처소적 기능의 두 가지로 대별되어 왔다. 문법적 기능은 격이 체언과 결합하여 구체적인 의미를 나타내지 못하고 오직 문장 내에서 다른 문장성분과의 관계만을 나타낸다고 하여 추상적 기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문법적 기능으로서의 격은 ‘격’이라는 문법범주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체언을 서술어와 관계 맺게 한다.)을 말하는 것이다. 반면, 처소적 기능은 격이 체언에 결합하여 구체적으로 ‘장소’(처소)나 ‘시간’따위의 정확한 의미를 나타내므로 구체적 기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문법범주로서의 ‘격’을 담당하는 것이 격조사라고 할 때, 이 격조사의 지위에 대해서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곡용어미라 하여 활용어미와 대등한 굴절접사로 간주하는 견해로부터 비록 의존형식들이지만 독립성도 얼마간은 가진 단어로 분류하기까지 다양하다. 다만 국어에서 격조사는 굴절어미로 다루기보다는 단어에 가깝다는 사실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만약 조사가 굴절어미라면, 이것이 생략될 경우 실제로 체언 자체의 격 범주가 정해질 수 없어야 하는데, 밑에 예문을 보면,
예문) 내 옷♡ 니피고 내 冠♡ 쓰이고 내 宮의드려 풍류 사♡ 뫼화 (석상이십사, 27)
이 책☺ 대단히 비싸니, 겉장♡ 잘 싸라.
♡자리에는 대격 조사가, ☺자리에는 주격조사가 쓰여야 한다는 것을 바로 짐작 할 수 있고, 이는 곧 조사에 의해서만 그 선행체언의 격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국어의 조사는 단어에 가까운 성질을 지녔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고영근, , 집문당 (2006)
고영근․남기심, , 집문당 (2002)
안병희․이광호, , 학연사 (2000)
이익섭․채완, , 학연사 (2005)
안병희, , 문학과 지성사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