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

 1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1
 2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2
 3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3
 4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4
 5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5
 6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6
 7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7
 8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8
 9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9
 10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10
 11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11
 12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12
 13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13
 14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14
 15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몽신화’ 의 통합 3



2. ‘주몽신화’를 통해 본 ‘고구려’ 6

1) 고구려의 건국세력 6

2) 고구려의 정치발전 단계 7

3) 고구려 건국신화의 형성과 의미(왕자의 집단기억으로서의 건국신화) 7



3.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8

1)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 8

2)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민족주의, 순혈주의의 ‘환상’을 넘어서 10



15
본문내용
주몽신화의 현대적 의미
- 신화 속에 나타나는 주몽의 ‘조화와 통합’의 리더십



고구려 건국신화, 즉 주몽신화는 현재 세 계열의 자료들이 전승되고 있다. 첫째 「광개토대왕비」,「염모 묘지」(「모두루 묘지」) 등의 고구려 당대의 비문(碑文)과 묘지명(墓地銘)자료이다. 이 자료들은 고구려의 판도 내에서 전승되던 고구려 건국신화의 원형에 가장 가까운 자료로 인정해도 좋을 것이다. 둘째 『삼국유사』,『삼국사기』,『제왕운기』등 고구려 소멸 이후 기록된 자료들이다. 마지막으로 『위서』,『양서』,『주서』등 중국 문헌의 자료들이 있다.
최근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인해 고구려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서점에는 관련서적이 쏟아지고 있고, 방송사들은 경쟁적으로 고구려에 대한 드라마를 제작 방영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의 건국 신화를 드라마화한 은 40~50%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주몽’은 많은 시간이 흐른 오늘날에도 잊혀지지 않고 계속해서 재생산되고 있다.
E.H.Carr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라 하였다. 우리는 과거를 통해 현재의 고민의 해답을 구한다. 그렇다면 과연 ‘주몽신화’는 현대의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왜 우리는 ‘주몽신화’를 기억해야 하는가.


1. ‘주몽신화’ 의 통합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여러 자료들에 흩어져있는 ‘주몽신화’를 모아 하나의 텍스트로 구성, ‘주몽신화’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해 보았다. 『삼국유사』를 기본으로 삼아, 고구려 당대의 비문과 묘지명인 「광개토대왕비(廣開土大王碑)」와 고구려 소멸 이후 기록된 자료인 『삼국사기』, 『제왕운기』, 『동국통감』의 ‘주몽신화’ 중, 『삼국유사』에 기록되지 않은 것들을 덧붙였다. 표에 색을 넣은 부분은 자료가 다른 것 들을 하나로 통합하지 않고 모두 실은 부분이다.
참고문헌


이복규, 『부여․고구려 건국신화 연구』, 집문당, 1998
이강래 옮김, 『삼국사기 Ⅰ』, 한길사, 1998
정구복 편저, 『인물로 읽는 삼국사기(三國史記)』, 동방미디어, 2000
이지영, 『한국 건국신화의 실상과 이해』, 월인, 2000
이종욱, 『한국사의 1막 1장 건국신화』, 휴머니스트, 2004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 문학과 지성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