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

 1  [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1
 2  [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2
 3  [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3
 4  [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4
 5  [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5
 6  [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동북공정] 동북공정의 전개과정, 전략과 중국의 고구려에 관한 입장 및 한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입장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관

Ⅱ. 중국의 고구려사에 관한 논리

Ⅲ. 동북공정의 전개 과정

Ⅳ. 동북공정의 경제적 전략
1. 중국과 북한 간 경제관계의 특징
2. 중국의 대(對)북한 원조
3. 중국의 대(對)북한 투자

Ⅴ. 동북공정 우리의 입장과 비판
본문내용
ꡐ동북공정ꡑ의 주역 중 한 명인 마대정(馬大正) 변강사지연구중심 전문가위원회 위원장은 「고대 중국고구려 역사총론」에서 중국동북지구의 소수민족인 고구려는 주변의 약탈을 일삼아 타민족이나 고구려인민에게 큰 재난을 불러 일으켰다고 하였으며, 2~300년간 한족(漢族)에 융합된 대중국가족의 일원이 된 중국공민인 조선족으로의 회복요구에 방심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이어 그는 「고대중국 고구려 역사 속론」(2003)에서 국내외의 고구려연구성과와 특히 남북한 학계에서의 ꡐ비학술적 경향ꡑ(민족주의 경향과 故土回歸)을 지적하고 고구려사 연구의 학술적인 제언을 내세우고 있다.
동북공정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고구려사 연구에 있어서 몇 가지 관련된 문제들」에서 그는 고구려의 부족상태에 있었던 선조들은 일찍부터 주나라에 조공했으며, 한(漢)대에는 현도군에 소속 되었고 한(漢)은 고구려현(縣)의 지방관리를 통해 고구려인들을 관할하였고. 기원전 37년 고구려는 현도 관할 범위 내에 정권을 세우고 그 이름을 고구려로 하였으나, 실제는 한(漢) 현도군 관할범위내의 한 개의 소수민족 정권이었다고 주장한다. 그 구체적인 근거로는 첫째, 고구려 민족의 기원은 예맥설, 부여설, 고이설, 상인설, 염제설 등이 있는데, 모두 주?진나라 때에 중국 동북 지방에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일찍이 고구려가 건국하기에 앞서 한 왕조는 동북의 넓은 지역에 대해 행정관리를 실시한 바 있는데, 기원전 108년 전후로 현도, 낙랑, 임둔, 진번 4개 군을 세워서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북부를 관할하게 하였고, 후에는 4개 군을 현도군치로 옮겼으며, 현도군내의 큰 현의 하나였던 고려현은 줄곧 현도군 혹은 요동군에 속해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고구려 멸망 후 대부분의 고구려 유민들은 한(漢)족과 융합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고구려와 중원왕조의 관계는 지방정권과 중앙정권의 관계이며, 그러기에 수(隋)나 당(唐)이 고구려를 정벌하는 것은 침략전쟁이 아닌 중앙에서 지방통치를 강화하기 위한 일종의 통일전쟁이라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