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

 1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1
 2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2
 3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3
 4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4
 5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5
 6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6
 7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7
 8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8
 9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9
 10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10
 11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11
 12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유학론] 성리학 사단칠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사단칠정
2. 사단칠정 논변과 퇴계ㆍ율곡 성리학의 정립
3. 영남학파의 순수도덕주의 성향과 기호학파의 범도덕주의 성향
결 론 : 현대적 조명

본문내용
1. 사단칠정

중국에서 사단 칠정의 문제는, 성리학의 '이기 심성론'(理氣心性論)의 탐구에 있어 하나의 과제로 다루어지기는 했어도 태극론(太極論)과 같은 우주론에 비해 그다지 비중있게 다루어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사단과 칠정의 발생 과정을 이기론적으로 해명하는 문제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올랐으며 이것은 대규모 논쟁으로까지 전개되었다. 이 논쟁은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사이에서 처음 발생하였고 나중에 이이(李珥)와 성혼(成渾) 사이에서 다시 논의됨으로써 새로운 국면의 논쟁으로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된 쟁점이 되었던 것은 사단이 이(理)에 속하는가 아니면 기(氣)에 속하는가 하는 문제와, 이(理)가 과연 발동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두가지 문제였다. 16세기 말에 발생하였던 이 논쟁은 당대의 저명한 성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학계 전체의 문제로 확대되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성리학자가 이 문제를 다루었을 정도로 한국 유교의 전개 과정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2. 사단칠정 논변과 퇴계ㆍ율곡 성리학의 정립

대부분이 재지 중소지주(在地中小地主) 출신이거나 향리(鄕吏) 출신인 고려의 신흥 사대부 계층은 북송(北宋) 이래의 성리학을 수용하여 당시 피폐해 있던 고려사회의 개혁을 위한 이념 및 철학적 배경 이론으로 활용하다가 공민왕(1351~1374년 재위)이 추진한 일련의 개혁 정치 과정에서 고려 사회의 운용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갖는 하나의 중심 세력으로 등장한다. 그렇게 사회 개혁에 매진하던 고려의 성리학계는 조선의 개국을 맞아 두 진영으로 양분된다. 새 왕조에 참여하여 유교적 세계관을 적극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참여파 학자들과 고려 왕조에의 절의를 강조하며 새 왕조에의 참여를 거절한 절의파(節義派) 학자들로 나뉘어 입장 차이를 보이다가, 포은 정몽주의 암살 사건 이후로 절의파 진영의 유학자들은 향촌 사회로 뿔뿔이 흩어져 제도권의 지평선 밖으로 사라진다.
참고문헌
김홍경, 『조선초기 관학파의 유학사상』(한길사, 1996)
김기현 역, 『유학과 현대 세계』(서광사, 1998),
이성무, 『조선시대당쟁사』(I) (동방미디어, 2000)
윤사순, 「기호 유학의 형성과 전개」:『기호학파의 철학사상』(예문서원, 1995)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I), 110쪽, 109쪽, 112쪽.
고영진, 『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풀빛, 1999)
이동희, 「기호 성리학의 형성과 전개」:『기호학파의 철학사상』(예문서원, 1995), 3
김기현, 『조선조를 뒤흔든 논쟁』(하), 65~66
박성수, 『이야기 독립운동사』(교문사, 1996)
윤사순, 「기호 유학의 형성과 전개」: 『기호학파의 철학사상』, 21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