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

 1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1
 2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2
 3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3
 4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4
 5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5
 6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6
 7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7
 8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8
 9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근대 국어, 음운사] 근대 국어 음운(표기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머리말
2. 표기의 몇 문제
2.1 어두자음군 표기와 된소리 표기
2.2 어중 모음간 ㄹㄴ 표기
2.3 ㅅ, ㄷ 종성 표기
2.4 어간 말 자음군 표기
2.5 어중 유기음 중철 표기
2.6 모음 ㆎ, ㅐ, ㅔ, ㅢ 의 표기
본문내용
2.4 어간 말 자음군 표기
근대국어의 어간 말 자음군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ㆍㄱ이 선행하는 경우 : ㄳ
ㆍㄴ이 선행하는 경우 : ㄵ, ㄶ
ㆍㄹ이 선행하는 경우 : ㄺ, ㄻ, ㄼ, ㄾ, ㄿ, ㅀ
ㆍㅁ이 선행하는 경우 : ㅲ (체언 어간 말음으로만 쓰임)
ㆍㅂ이 선행하는 경우 : ㅄ
ㆍㅅ이 선행하는 경우 : ㅺ
근대국어에서 위의 어간 말 자음군은 모음이 후행하면 자동적으로 연철방식을 통해 두 자음을 모두 실현시키지만 자음어미가 후행하면 반드시 실현시키지 않는다. 동시에 표기상으로도 탈각이나 중화음의 과정을 보여 준다.

2.4.1 ㄳ
자음어미가 후행하면 ㅅ이 탈락하고 ㄱ만이 표기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무성자음을 선행시키는 어간 말 자음군들은 어중에서 자음이 후행할 때 어간 말 자음의 제1자음 또는 제2자음은 자동적으로 탈락하며 자음이 세 개일 때는 제1자음이, 두 개일 때는 제2자음이 탈락한다는 음운규칙에 따른 표기라고 할 수 있다.
예) 낙주를 다리고져(두중 12:34) 뎌 삭바 사마(번박 상 11) 낙대 간(竿, 왜어 하 15)
참고문헌
국립국어연구원, [국어 시대별 변천 연구],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