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

 1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1
 2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2
 3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3
 4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4
 5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5
 6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6
 7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7
 8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8
 9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9
 10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10
 11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11
 12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음운] 된소리 현상과 그 변천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된소리의 기원과 변천사
1)고대국어
2)중세국어
(1)전기 중세어의 된소리 계열 발생 연구의 특성
(2)각자병서와 합용병서
①각자병서
②합용병서
③각자병서, 합용병서와 된소리의 관계 연구
(3)중세국어의 된소리 현상
①된시옷 현상과 그 근거
②‘ㅎ’ 된소리 현상
③‘ㅈ’ 된소리 현상
④‘ㆀ’ 된소리 현상
3)근대국어
(1)어두 합용병서의 혼란
① 이체(異體)의 원활한 발생
②표기의 혼동
(2)‘ㅎ’의 된소리 존재
(3)어두자음군의 본격적인 된소리화
4. 현대국어
1)된소리되기 정의
2)된소리되기 현상
3)규정 외 현실에서의 된소리
(1)말머리의 된소리
①현상
(2)방언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서론
한글은 글자 그대로 읽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발음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음운현상이 일어나곤 한다. 그 중 경음화는 앞소리와 뒷소리가 연결되면서 뒷소리가 경음으로 발음되는 것을 말한다. 이 음운현상은 때로는 규칙에 부합하여 자연스럽게 발음나기도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을 곳에서도 된소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사회가 각박해져감에 따라 경음화 빈도가 많아지고 앞으로 이 정도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음화는 현대국어에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라, 근대국어, 더 나아가 중세국어에서부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우리는 된소리의 역사와 함께 현대국어에서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의 언어 생활을 스스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본론
1.된소리의 기원과 변천사
1)고대국어
고대국어에는 된소리 계열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이 성립되기 위한 두 가지 증거가 존재하는데,
첫째, 만약 당시 된소리 계열이 존재했다면, 중국 중고음의 전탁계열이 동음에 된소리 계열로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 전탁은 동음(東音)에 원칙적으로 평음으로 반영되
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동음(東音)에는 된소리가 하나도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사실은 동음 성립시에는 아직 국어에 된소리 계열이 없었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다.
둘째, 한자차용표기에서도 된소리의 표기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 다.

2)중세국어
(1)전기 중세어의 된소리 계열 발생 연구의 특성
15세기 이전에 자음체계에서 된소리 계열의 등장한다는 주장을 이기문, 박병채 등이 하고 있
으며, 15세기 이후에 된소리 계열이 등장했다는 주장을 허웅이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주장
다. 명확한 근거를 대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제 3의 주장인 15세기에 된소리가 생성
되었다는 발언이 나오고 있다.
전기 중세어에 된소리 계열이 등장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고대어에 된소리계열이 없었고,
후기 중세어에서 상당량의 어두 된소리가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이 가능할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된소리계열의 사용이 빈번했던 후기 중세어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었다.

(2)각자병서와 합용병서
①각자병서
각자 병서는 둘 이상의 자음이나 모음을 아울러 쓰는 것 중 같은 문자들을 아울러 쓰는
것을 말한다.《훈민정음》〈해례〉에 의하면, 동일한 문자의 병용(竝用)을 각자병서라 하
고, 이 각자병서는 첫소리[初聲]에만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들은 한자음에 나타나는 전
탁(全濁)의 표기에 잠시 쓰이다가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 이후인 15세기 후반부터
쓰이지 않았다. 그 후 16세기에 잠시 사용되다가 17세기에는 된소리 표기에 간혹 보였
다.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 이후에는 된소리(경음) 표기에는 각자병서가 사
용될 수 있음이 확정되었다.
②합용병서
합용병서는 서로 다른 둘 또는 세 글자를 결합하여 쓰는 것이다. 합용병서에는 초성, 중
성, 종성 합용병서가 있는데, 초성 합용병서에는 [ㅺ, ㅼ, ㅽ]/[ㅳ, ㅄ, ㅶ]/[ㅴ, ㅵ]', 중
성 합용병서에는 'ㅘ, ㅝ, ㅙ, ㅞ' 등, 종성 합용병서에는 'ㅧ, ㄺ, ㄻ, ㄼ, ㅭ'이 있다. 중
세 문헌에는 [ㅺ,ㅼ,ㅽ][ㅳ,ㅄ,ㅶ,ㅷ][ㅴ,ㅵ]의 세 가지 합용병서를 사용하였다. 15세기에는
'ㅅ, ㅂ, ㅂ+ㅅ+ㄱ'의 세 계열이 있다가 임진왜란 이후 세 체계는 무너지고, 17세기에는
'ㅂ+ㄷ'계열이 새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 후 1933년에 제정된 '한글맞춤법'에서는 합용
병서가 완전히 폐지되고 각자병서(ㄲ, ㄸ, ㅃ, ㅆ, ㅉ)로 국어의 된소리 표기가 통일되었
다. ≪훈민정음≫에 나타나는 용어인 병서의 하나로, 첫소리나 가운뎃소리나 끝소리를
서로 다른 낱자 둘 또는 셋을 가로 나란히 쓰는 방법을 말한다.(보기:, , , , 과,
홰, , ).
③각자병서, 합용병서와 된소리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이기문(2002),『국어사개설』. 태학사
박동근(2003),『말머리에 나타나는 된소리 연구』.건국대학교.
김광해 외(1999).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김무림(1987). 「사잇소리와 어중경음화의 음운적 기술」. 고려대 석사논문.
김선희(1992). 「국어 경음의 음운론적 실체」. 『어학연구』28-1.
박영목․한철우․윤희원(1996).『국어교육학 원론』. 교학사.
양순임(1996). 「현대국어의 사잇소리 덧나기와 된소리되기」. 『우리말 연구』제6집.
오정란(1987). 「경음의 국어사적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유재원(1989). 「현대 국어의 된소리와 거센소리에 대한 연구」. 『한글』203.

『디지털 한글 박물관』 . 이익섭(서울대학교)
『디지털 한글 박물관』 . 박창원(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 한글 박물관』 . 이상혁(고려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