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

 1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1
 2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2
 3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3
 4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4
 5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5
 6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6
 7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7
 8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8
 9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9
 10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10
 11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학사] 미드 상징적 상호작용론으로 바라본 현대 전위예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이란?
1) 미드 소개
2)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기본 개념
2. 미드의 관점으로 본 현대 전위예술
1) 전위예술이란?
2) 전위예술의 세계
a. 백남준의 ‘비디오아트’
b. 마르셀 뒤샹의 ‘샘’
c. 도널드 저드의 ‘특수한 오브제’
d. 댄 플래빈의 ‘형광등’
e 앤디워홀의 ‘상업예술’
3) 콜라병의 상징성?
a. 일상생활의 콜라병
- 콜라가 담기면 음료수, 쓰레기통에 있으면 쓰레기
b. 부시맨의 콜라병
- 신이 내려준 하나의 도구, 분쟁을 일으키는 물건
c. 앤디 워홀의 콜라병
- 예술 작품, 콜라병에 담긴 함의는? 현대소비문화의 표현 -
d. 앤디 워홀 비판
- 예술이 아니라 장난질?
3. 결론
- 현대 전위예술은 상징적 상호작용의 힘을 보여주는 극단적인 사례이다.
본문내용
2)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기본 개념
■ 상징적 상호작용에서의 세 가지 특성.
① 행위자와 세계간의 상호작용.
② 행위자와 세계를 동태(動態)적인 과정으로 파악.
- 사회화는 인간이 사고능력을 발전시키고 문화를 발전시키는 동태적인 과정이며 단순히 행위자가 정보를 받는 일방적인 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행위자가 자신의 욕구에 따라 정보를 형성하고 적용하는 동적인 과정임.
③ 사회세계를 해석하는 행위자가 그러한 해석의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중시.
A. 미드에 있어서 연구 단위는 ‘행위’인데 그것은 인간 행위의 드러난 면과 감추어진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 주의, 인지, 상상, 추리, 정감 등은 모두 행위의 일부로서 이해되며 행위는
인간행동에 포함된 전체 과정을 포괄한다고 할 수 있다.
B. 그는 인간의 정신능력이 언어(상징적 범주에 포함됨)를 만들어내고 이것이 자극과 반응 사이에서 어떻게 반응할 것 인지를 결정하게 해준다고 하였다.
: 미드는 [정신, 자아, 사회]가 행동에 기초가 되며 행위자들이 의미 있는
상징을 공유하는 일은 사회생활의 존재를 위해서 중요하다고 주장함.
a. 정신 : 대부분의 행위에 있어 자극과 반응사이의 정신과정에 의한 중재가 있음을 설명.
인간은 상호간의 상황에 끊임없이 적응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특정의 상징이 갖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정신적 능력을 가졌다. (예를 들어 인간의 싸움에 있어 상대편이 주먹을 올리는 일은 단순한 몸짓이 아니라 의미 있는 상징이 될 수 있는데 같은 행위도 일어나는 장소에 따라 다르게 해석 될 수 있으므로 우리는 그 배경
에 비추어서 의미를 해석 할 수 있는 정신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의미 있는 상징은 이와 같이 신체적 상징의 형태나 또는 언어적 형태를 띨 수도 있는데 사실 하나의 사회적 산물인 언어가 있음으로써 결국 정신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며 정신은 의미 있는 상
징을 사용하여 자기 자신과 나누는 내면적인 대화라고 정의한다.
b. 자아 : 미드는 자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두 요소로 I 와 Me를 들고 있다.
이것들은 자아속의 과정으로, ‘me'는 행위자가 인식하고 있는 자아의 일부분으로 남들의 조직화 된 태도가 내면화 된 것 또는 일반화된 타자가 내면화 된 것이며/ I는 행위가가 인식하고 있지 못한 자아의 일부이며 행위가 완료된 뒤에야 그것을 인식할 수 있다. (I는 개인이 자신의 경험 속에서 감지한 공동체의 조직화된 태도에 대해 개인이 반응한 것이며 I는 결코 완전히 계산 가능한 어떤 것이 아니다. I는 'me’를 불러내며 또 'me'에 반응하는 행위자의 즉각적 반
응을 말한다.)
: 자아는 이러한‘I'와 ‘Me'사이의 관계의 산물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