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

 1  [교육사회]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1
 2  [교육사회]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2
 3  [교육사회]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3
 4  [교육사회]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4
 5  [교육사회]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통념

Ⅰ. 학벌주의에 대한 기능주의
………………… 1) 학벌주의에 대한 반응
2) 반응에 대한 근거
3) 대안책
Ⅱ. 학벌주의에 대한 갈등주의
………………… 1) 학벌주의에 대한 반응
2) 반응에 대한 근거
3) 대안책
Ⅲ. 학벌주의에 대한 지위집단이론
………………… 1) 학벌주의에 대한 반응
2) 반응에 대한 근거
3) 대안책
본문내용
학벌주의에 대한 일반적 통념
학벌주의는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단어이다. 명문대 위주의 학연으로 능력을 검증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사람들이 사회적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제제기를 할 부분은 위에서 말했듯 능력에 관계없이 요직을 차지하고 있는 부분, 또한 능력이 있는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학연관계가 없어 그런 요직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 두 가지가 있다.


Ⅰ. 기능주의 학자인 A의 반응과 대안

기능주의 이론에서 교육의 본질은 교육을 통해 공민성을 계발하고 그것을 통해 각 사회분야에 적합한 사회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의 본질을 이루어 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 교육기관을 통해서만 공민성 계발을 체계적,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에서는 다양한 과목을 통해 학생들에게 적성을 찾게 해주며, 여러 가지 평가 기준을 통해 학생들에게 자신의 실력을 가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역할은 교육기관인 학교에 의해서 가장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는 이 모든 기능을 실행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학교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등 지시적인 과목 뿐 아닌 미술, 체육, 가정과 같은 다양한 과목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며 적성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형식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한다.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실력을 수시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각종 평가제도 또한 마련한다. 이것의 목적은 성적과 교과목을 기준으로 질서유지이론가들이 강조하는 사회인으로서 학생들을 분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능주의 이론에 따라 학벌주의를 분석하면, 학벌주의 자체는 부정적이지 않다. 학벌주의라는 것은 좋은 학벌을 가진 사람이 사회의 요직을 담당하게 되는 것과 같이 사회에서 학벌이 아주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통념 상 이러한 흐름을 부정적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기능주의 이론 상 옳지 않다. 그 이유는 학벌주의를 통해 직업을 얻은 사람의 경우, 사회의 다양한 직업 중에서도 많은 지식을 요하는 전문직을 하기 위해서 학교교육을 통해 부단한 노력을 했고, 그 결과 좋은 학벌을 얻어 자신의 전문가적인 자질을 평가받아 그러한 직업군에 배치되었기 때문이다. 즉, 학벌이 그들이 그 분야에서 이들이 전문가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는 것과 그들의 성실함 전문가적 능력을 말해주는 보증수표라는 것이다. 학벌이 좋은 사람들이 지식을 요구하는 직업에서 두각을 나타낸다는 것은 실제로 학연을 따지지 않는 각종 국가고시 등에서 기타 학교들 보다 명문대 출신들의 합격률이 높다는 데서도 알 수가 있다. 이미 이렇게 분배를 위한 보증수표가 있는데, 굳이 또 한 번 시간과 비용을 들여 개개인의 능력을 재평가한다는 것은 또 하나의 낭비일 뿐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기능주의 학자 A는 학벌주의 사회를 정책적으로 타파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을 낼 것이다. 즉, 이 학자는 학벌주의의 당위성을 주장하며 학벌주의를 옹호한다.
그러나 기능주의 학자들은 그들의 의견에 대한 비판인 ‘학교만 좋고 실질적인 능력은 갖추어지지 않는 사람들이 단지 대학 간판만으로 좋은 요직을 차지하지 않는가?’라는 비판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게 된다. 즉,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능주의자들은 외국의 대학처럼 입학요건과 같이 졸업요건도 강화하자는 대안을 내놓는다. 졸업요건을 까다롭게 하면 개개인이 확실한 실력을 갖추게 되어 학교 간판만으로 중요 요직을 차지했다는 비판이 많이 약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학벌주의를 타파하지 않으면서도 비판을 줄일 수 있다.


Ⅱ. 갈등주의 학자인 B의 반응과 대안

학생들을 사회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 요소로 키워내는 것이 교육의 본질이라는 기능주의의 입장과는 달리 하나의 인격적인 존재로서 여기는 교육을 하자는 것이 갈등주의의 입장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교육기관의 역할은 학생들을 인격적인 존재로 존중하는 인본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 즉, 갈등주의 하의 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기능주의와 상반된다.
갈등주의 입장에 따라 학벌주의를 분석하면 이것은 매우 불합리한 사회현상이다. 기본적으로 학교교육은 학생들에게 공평한 자아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기 보다는 기존의 개인적 배경을 증폭시키는 곳이 된다. 따라서 학벌주의 하에서 이익을 얻지 못한 사람들은 그 울타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이상 평생 동안 낙오자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또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능력 중에는 학교에서 배운 지식적인 요소 외에도 실무능력을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