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

 1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
 2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2
 3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3
 4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4
 5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5
 6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6
 7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7
 8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8
 9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9
 10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0
 11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1
 12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2
 13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3
 14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4
 15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5
 16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6
 17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 철학 사상] 노장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자의 생애
2.
3. 속 주요사상

1. 장자의 생애
2.
3. 속 주요사상
본문내용
Ⅲ. 《노자(老子)》속 주요사상
1. 도(道)
노자는 “천지만물은 유에서 생겨나고, 유는 무에서 생겨난다.(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라고 하며, 도를 만물(萬物)이 존재하기 이전에 존재하는 우주 만물의 근원과 법칙이라 설명했다. 이 명제는 먼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만물에서 출발한다. 노자가 보기에 만물은 각기 다르고 지극히 복잡하지만, 복잡한 사물은 모두 간단한 사물로부터 발전한 것이다. 즉, 만물은 모두 간단한 사물에서 발생하며 이 간단한 사물이 위에서 말하는 ‘유(有)’이다. 또한 형상이 있는 ‘유(有)’의 시작은 형상이 없는 ‘무(無)’라고 본다. 따라서 노자는 우주 최초의 기원은 ‘무’이며, ‘무’는 즉 ‘도’를 말한다. 결국 도가 만물을 발생하게 하는 근원인 것이다.

∘ 도(즉, 無)의 성질

1) 도는 형상(形象)이 없는 것이다.

■■ 視之不見, 名曰夷, 聽之不聞, 名曰希, 搏之不得, 名曰微. 此三者, 不可致詰, 故混而爲一.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이(夷)라 하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희(希)라 하며, 만 져도 만져지지 않는 것을 이름하여 미(微)라 한다. 이 세 가지는 생각하여 헤아릴 수 없는 것으로 뒤섞 여 나누어지지 않는 하나이다.

이(夷)는 자취가 없는 것이고, 희希(微)는 소리가 없는 것이며, 미(微)는 형질이 없는 것이다. 이 세 가지는 모두 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아무런 형상도 없고 어떠한 자취도 없다.
.......

5. 교육사상(敎育思想)

1) 교육에 대한 기본 요구 - ‘道’는 ‘自然’을 본 받는다.(道法自然)
儒 ․ 墨의 사람은 ‘사회적’인데 반하여 노자는 사람은 ‘자연적’ 또한 자연에 순응해야 함을 주장한다. 즉,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는 말이 노자의 교육에 대한 기본 요구이다.

① 소박한 상태로 돌아가 욕심을 부리지 말라. - 見素抱朴,少私寡欲
인간의 가장 이상적인 상태는 지식과 도덕을 갖춘 상태가 아니라 어린 아이와 같은 무지의 원시적인 소박상태로, 아무런 욕심이 없는 소박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노자교육의 목표이다.
......
참고문헌
-참고 문헌-
1.《중국 고대철학의 이해》, 이강수, 지식산업사
2.《장자 30구》, 이인호, 도서출판아이필드
3.《장자》, 조관희 역해, 청아출판사
4.《동양교육 고전의 이해》, 김효선 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5.《노장철학강의》, 김충열, 예문서원
6.《노자철학과 도교》, 허항생, 예문서원
7.《중국사상의 근원》, 장기윤, 문조사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