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

 1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1
 2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2
 3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3
 4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4
 5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5
 6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6
 7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7
 8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성리학자의 도덕론
1. 화담 서경덕
2. 신제 주세붕
3. 남명 조식
4. 퇴계 이황
5. 율곡 이이
6. 성리학자들의 도덕론 정리

Ⅱ. 실학자의 도덕론
1. 성호 이익
2. 담헌 홍대용
3. 연암 박지원
4. 다산 정약용
본문내용
Ⅰ. 성리학자의 도덕론
1. 화담 서경덕
화담 서경덕은 송심교수의서에서 문예도 일종의 문학이며 문예를 하는 사람은 다스리고자 하는 바 예가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역량을 다하된 마침내는 물러나 그칠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또한 지나치게 예에만 치중함으로써 선비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마는 일은 있어서도 안된다는 것이다. 문예에 있어서도 분수를 알아서 그쳐야 할 곳에 그침으로써 한갓 예에만 흐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주렴계의 문사에 나타난 이론과 상통한다. 또 성정을 즐겁게 하기 위해 시를 짓더라도 완물상지하는 지경에 이르지 않도록 분수를 지켜야 한다는 의미에서 정이천의 작문해도설과 일치하는 이론이다.
2. 신제 주세붕
주세붕은 한중량에게 답신을 보낸 답한학정중거에서 공자가 선성왕의 도를 술이부작한다고 한 바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노래는 다시 성현의 뜻과 가르침을 이어받아 그대로 서술하여 전하자는 의도에서 지었을 뿐이라는데 그 요점이 있다. 술이부작이라고 한 공자의 교훈에 따라 감히 허황된 생각을 나타내는 불필요한 창작을 하기보다는 문학 창작을 통하여 성현의 도를 바르게 전함으로써 가능한 한 수기화속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문학창작의 최선의 목표를 둔 것으로서 신제는 물론 성리학자들의 문학관의 특징적인 일면을 잘 나타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문학관은 한마디로 올바른 사장정신의 추구라고 정리할 수 있다.
3. 남명 조식
그는 약성청송서에서 시짓는 일을 완물상지하기 쉬운 것으로 보았다. 문예에 치중하게 되면 선비 본래의 뜻을 해치게 되어 학문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고 보는 점에서 정이천과 동일한 관점을 견지했다고 볼 수 있다.
성리학자들은 대개 문예의 공교로움을 일삼지 않았을 뿐 아니라 성현의 도를 전할 수 없을 경우 즉, 문장을 통해 도를 나타내기 어렵다고 생각 할 경우 저술도 즐겨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술이부작이라고 한 공자의 가르침을 신봉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정인홍의 남명선생집서에는 남명이 그다지 술작을 좋아하지 않았던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4. 퇴계 이황
퇴계는 “유가의 의미는 스스로 분별되는 것이니, 문예에 공교로운 사람은 선비가 아니며 과거에 급제함을 취(取)하는 사람은 선비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세상의 허다한 영재가 세속적 학문(속학,俗學)에 빠져 들고 있으니, 다시 어떤 심한 이 (속학에 물들지 않은 사람) 가 있어서 이과거의 구덩이를 헤쳐 벗어날 수 있겠는가?” 하였다.
참고문헌
정요일, 한문학비평론, 집문당, 1990
하고 싶은 말
성리학자와 실학자의 도덕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를 참고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