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

 1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1
 2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2
 3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3
 4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4
 5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5
 6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6
 7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7
 8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8
 9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9
 10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10
 11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불교윤리] 뇌사 & 장기이식의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뇌사의 개념
1.2 뇌사의 정의와 판단조건 및 현황
1.3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점
2 본론
2.1 국내의 현황 및 국외의 사례
2.1.1 국내 현황
2.1.2 국외 사례
2.1.3 뇌사 판정 후 살아난 사례
2.2 불교적 관점
2.2.1 뇌사
2.2.2 장기이식
2.2.3 뇌사와 장기이식 통합한 결과
2.3 기독교적 관점
2.3.1 뇌사
2.3.2 장기이식
2.4 뇌사자 장기기증 찬성
2.5 뇌사자 장기기증 반대
3 결론
3.1 우리들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1.1 뇌사의 개념

뇌사(腦死, brain death)는 외상과 같은 심각한 사고를 당해 뇌간을 포함한 전반적인 뇌 기능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호흡을 유지시켜 주기만 한다면 완전히 사망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아무런 인지도 할 수 없어 사실상 죽은 것이나 다름이 없다. 뇌간을 포함한 뇌 기능이 완전히 정지했다는 점에서 식물인간과는 다르다.

1.2 뇌사의 정의와 판단조건 및 현황

① 뇌간사설: 뇌간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되었을 때를 인정하려는 설.뇌간이 생명의 중추라는 입장이다.
② 전뇌사설: 뇌간을 포함한 전뇌의 기능이 불가역적으로 소실된 상태로 식물인간과 뇌사를 구분할 수 있다. 뇌사판정에 신중을 기할 수 있다.
③ 대뇌사설: 대뇌기능인 정신작용의 불가학적 소실을 뇌사로 보려는 설. 인격을 특징 지우는 정신작용이 소실되면 개인으로서 인간은 죽었다고 본다.

전뇌사설이 세계적 입법의 경향이다. 우리 법에도 뇌사자를 뇌 전체의 기능이 살아 날 수 없는 자를 뜻하며 전뇌사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다음으로 뇌사의 선행조건과 판단조건을 살펴보면 이렇다.


1. 원인질환이 확정되어 있고 치료 될 가능성이 없는 기질적인 뇌병변이 있어야 한다.
2. 깊은 혼수상태(deepcoma)로서자발호흡이없고인공호흡기로호흡이유지되고있어야한다.
3. 치료 가능한 급성약물중독(마취제,수면제,진정제,근육이완제등기타독극물), 대사성 또는 내분비성장애(간성혼수,유독성혼수,저혈당혼수,뇌병증등)의 증거가 없어야 한다.
4.저체온상태(직장온도섭씨32도 이하)가 아니어야 한다.
5.쇼크(shock)상태가 아니어야 한다.


1. 외부 자극에 전혀 반응이 없는 깊은 혼수상태
2. 자발호흡의 비가역적 소실
3. 양 안 동공의 확대고정
4. 뇌간반사의 완전 소실
5. 자발운동, 제뇌강직, 제뇌피질강직, 경련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6. 무호흡검사 :자발호흡이 소실된 이후 자발호흡의 회복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임상검사

-각국의 뇌사판정 현황
뇌사를 법적으로 인정하는 국가는 프랑스, 호주, 이탈리아, 그리스, 노르웨이, 스페인 등이다. 미국의 경우 45개 주에서 뇌사를 인정하고 있다.
특히 미국 대통령 자문위원회는 1981년에 신체의 생리적 시스템이 더 이상 통합적으로 구성되지 않는 순간이 죽음이며 뇌만이 그러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선언했다.(이는 미국 대통령 자문위원회가 죽음의 시점에 대한 생물학적 논증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1999년에 국회를 통과했고, 2000년 2월 9일부터 시행된 에서 뇌사를 인정하고 있으며, 대한의사협회에서는 1993년 3월 4일 을 마련했다.
에 의해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판정이 법률적으로 인정되긴 했지만, 이 법률의 시행 이후 뇌사자로부터의 장기기증이나 장기
참고문헌
이원로외 저(98~109)『과학 대논쟁: [뇌사 인정 임박-생명의 끝은 어디인가]』
김중호『장기이식과 종교』글 참조
곽만연(2003 45~104)『장기이식를 위한 불교의 생명윤리사상 연구』
신원하『뇌사에 대한 신학윤리학적 묵상』글 참조
김진모『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윤리신학적 고찰』참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